본문 바로가기

악성코드101

유명 포털 사이트 위장한 피싱 웹사이트 주의 안랩, 사용자 아이핀 계정 탈취·악성코드 유포 가짜 웹사이트 발견http://www.boannews.com/media/view.asp?idx=48023&skind=5 ▲ 가짜 및 정상 로그인 페이지 비교 안랩(대표 권치중, www.ahnlab.com)은 최근 사용자 아이핀 계정 탈취, 악성코드 유포 목적의 정교한 가짜 포털 웹사이트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이에 사용자는 △의심 웹 사이트 방문 및 메일/SNS내 URL실행 자제 △응용프로그램 최신 버전 유지 △백신 업데이트 및 실시간 감시 필수 등의 주의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아이핀 계정 탈취 피싱 사이트 사례]공격자는 유명 포털 로그인 화면으로 위장한 피싱 사이트를 제작하고, 사용자의 아이핀(i-PIN) 정보 탈취를 시도했다. 먼저 사용자가 메일, SN.. 2015. 10. 1.
2015년 가장 주목해야 할 보안위협 5가지 악성코드·랜섬웨어·APT·취약점·금융보안·IoT 보안위협 등더욱 정교화된 보안위협으로 발전·확산 예상http://www.boannews.com/media/view.asp?idx=44994 ▲ 지난해 기승을 부렸던 보안위협들은 2015년 더욱 지능화되고 정교화된 보안위협으로 발전·확산될 것으로 예상된다. 보안위협 하나. 악성코드·랜섬웨어의 고도화 및 피해 확산안랩은 올해 악성코드는 공격 대상별 타깃형·맞춤형 유포와 함께 동작방식이 점차 진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예를 들어 스피어피싱(Spear Phishing) 이메일을 연말에는 송년회 모임 안내로, 연초에는 새해인사로, 해당 시기에 맞춰 발송하거나 첨부파일명과 내용도 실제 모임을 안내하는 문서로 만들어 악성코드를 유포시키는 방식이다. 보안위협 둘. IoT의.. 2015. 1. 7.
공유 폴더와 시스템의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탈취하는 SMB 웜 도구 주의 개요최근 미국 영화社 해킹 사고에서 SMB 웜 도구를 이용하여 공유 폴더 및 시스템의 아이디 및 패스워드가 유출됨에 따라 국내 출현 가능성에 대비 주의 필요[1]영향 받는 소프트웨어Microsoft Windows 모든 운영체제해결 방안사용자의 경우, 악성코드로 인한 피해 예방을 위해 백신을 설치하고 최신 업데이트 상태로 유지취약점을 통해 악성코드가 전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운영체제와 응용 프로그램을 최신 업데이트 상태로 유지공유 폴더 사용을 자제하고 취약한 패스워드보다는 영문, 숫자, 특수문자를 조합한 8자리 이상의 비밀번호 설정 권고기업 시스템 관리자의 경우, 444번 및 445번 포트 모니터링 및 해당 SMB 웜 도구를 이용하여 전파되는 하드디스크 파괴형 악성코드에 의한 시스템 파괴에 대비하여 정.. 2014. 12. 29.
한국수력원자력 MBR 파괴 악성코드 공격받아 최근 국내 주요 원전시설을 운영하는 한국수력원자력(이하 한수원)이 마스터 부트 레코드(이하 MBR)를 삭제하도록 설계된 악성코드에 감염되어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악성코드는 한글 워드 프로세서(HWP) 취약점을 통해 감염되었으며, 한수원 임직원들이 악성 첨부파일을 실행하도록 하기 위한 다양한 사회공학적 공격 기법이 사용되었습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공격은 임직원들에게 전송된 스피어피싱 이메일에서부터 시작되었으며 첨부파일 실행시 2가지 악성코드를 설치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습니다.MBR 파괴 공격의 감염 경로 악성코드에 대한 설명이 악성코드의 진단명은 TROJ_WHAIM.A이며, 감염된 시스템의 MBR을 파괴합니다. MBR 파괴 이외에도 감염된 시스템에서 특정 파일을 덮어쓰기 하는 기능과 감염된 시스.. 2014. 12. 27.
USB는 PC보안 구멍..취약성 심각하다 "USB는 PC보안 구멍..취약성 심각하다"http://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510977 독일 보안 업체 시큐리티리서치랩의 암호보안 전문가 카르스텐 놀(Karsten Nohl)은 6일 서울 양재동 더케이 호텔에서 개최된 국제해킹컨퍼런스 'POC 2014'에서 "USB 저장장치의 보안 취약성이 심각한 상황"이라고 설명하면서 이같이 말했다. 카르스텐 놀의 설명에 따르면, USB 저장장치는 USB 컨트롤러 부분과 컨트롤러 펌웨어, 플래시 스토리지로 구분된다. 컨트롤러 펌웨어의 설계 취약점을 이용해 펌웨어를 변조하면, USB 저장장치에 원격으로 악성코드를 담을 수 있다. 문제는 이렇게 변조된 USB 저장장치가 저장 기능 이외의 용도로도 쓰일 수 있다는 것이다. 출처 :.. 2014. 11.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