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보호 (Security)

API, Database Credential 및 JWT Token 보호 조치

by 날으는물고기 2024. 5. 5.

API, Database Credential 및 JWT Token 보호 조치

OAuth: Secure Access Without Sharing Credentials - BotPenguin

JWT (JSON Web Tokens)와 PostgreSQL 데이터베이스 크리덴셜 유출은 심각한 보안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특히 JWT의 경우, 서명 키(Signing Key)가 유출되면 악의적인 사용자가 유효한 토큰을 생성하여 시스템에 무단으로 액세스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철저한 보호 조치가 필요합니다. 다음은 JWT 서명 키와 PostgreSQL 데이터베이스 크리덴셜의 보안을 강화하기 위한 몇 가지 핵심 조치입니다.

JWT 서명 키 보호

  1. 강력한 키 생성: 서명 키는 충분히 길고 무작위로 생성되어야 합니다. 공격자가 예측하거나 브루트 포스 공격으로 찾아낼 수 없는 수준이어야 합니다.
  2. 키 관리 시스템 사용: AWS KMS, HashiCorp Vault와 같은 키 관리 시스템을 사용하여 서명 키를 안전하게 저장하고 관리합니다. 이러한 시스템은 키의 보안적 저장, 생성, 회전을 자동화하여 보안을 강화합니다.
  3. 정기적인 키 회전: 정기적으로 서명 키를 변경(회전)하여 만약의 키 유출 시 피해를 최소화합니다. 키 회전 절차를 자동화하여 지속적으로 보안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4. 접근 권한 최소화: 서명 키에 대한 접근 권한을 엄격하게 관리하며, 오직 필요한 서비스와 개인만이 접근할 수 있도록 합니다.
  5. 감사 로그 관리: 키 접근 시도와 사용에 대한 감사 로그를 생성하고 주기적으로 검토하여 비정상적인 활동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합니다.

PostgreSQL 데이터베이스 크리덴셜 보호

  1. 환경 변수 사용: 데이터베이스 크리덴셜을 소스 코드나 구성 파일에 직접 저장하지 말고, 환경 변수를 통해 안전하게 관리합니다.
  2. 역할 기반 접근 제어(RBAC):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역할 기반 접근 제어를 설정하여 사용자와 애플리케이션의 최소 권한 원칙을 준수합니다.
  3. 암호화 연결 사용: 데이터베이스와의 모든 통신은 SSL/TLS를 통해 암호화하여 데이터의 노출 위험을 줄입니다.
  4. 암호화된 저장소 사용: 데이터베이스 파일이 저장되는 저장소를 암호화하여, 물리적인 접근을 통한 데이터 유출 가능성을 차단합니다.
  5. 접근 로그 및 감사: 데이터베이스 접근 시도와 활동에 대한 로그를 기록하고 주기적으로 검토하여 비정상적인 접근 시도를 조기에 발견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러한 조치들을 통해 JWT 서명 키와 PostgreSQL 데이터베이스 크리덴셜의 보안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런 보안 조치들은 정기적인 보안 감사와 함께 시행되어야 하며, 최신 보안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되어야 합니다.

 

Kubernetes (k8s) 환경에서 베어메탈 시스템을 포함한 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을 관리하면서, 환경 변수를 통해 중요한 설정값을 관리하는 것은 편리하지만 보안상의 주의가 필요합니다. 환경 변수에 민감한 정보를 저장하는 경우, 그 정보가 노출될 위험이 있으므로 적절한 보안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다음은 Kubernetes 환경에서 환경 변수를 사용하여 중요한 값을 안전하게 관리하는 방법에 대한 몇 가지 권장 사항입니다.

환경 변수와 보안

  1. Kubernetes Secrets 사용: Kubernetes Secrets을 활용하여 민감한 정보를 안전하게 저장하고 접근할 수 있습니다. Secrets는 데이터를 Base64 인코딩하여 저장하지만, 암호화되지는 않으므로 etcd에서도 이를 암호화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2. ConfigMaps과의 분리: 비밀번호, API 키 등 민감한 정보는 Secrets에 저장하고, 비민감한 설정 정보는 ConfigMaps에 저장합니다. 이를 통해 필요한 정보를 적절한 보안 수준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3. 환경 변수 대신 Volume 마운트 사용: 특히 파일로 제공되는 민감한 정보의 경우, Secrets 또는 ConfigMaps을 Pod의 Volume으로 마운트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방식은 환경 변수를 통한 직접적인 노출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4. 암호화된 통신 사용: 클러스터 내부 통신과 클러스터 접근에는 TLS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암호화합니다. 이는 민감한 정보가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될 때의 노출 위험을 줄입니다.
  5. 접근 권한 관리: RBAC (Role-Based Access Control)을 활용하여, Secrets와 ConfigMaps에 대한 접근을 엄격하게 제어합니다. 필요한 서비스와 사용자에게만 최소한의 권한을 부여하여 무단 접근을 방지합니다.
  6. 네임스페이스 별 분리: 애플리케이션의 배포 환경을 네임스페이스를 통해 분리하여 관리합니다. 이는 보안 및 관리의 편의성을 높이며, 각 애플리케이션의 Secrets 관리를 더욱 효과적으로 할 수 있게 합니다.
  7. 감사 로그 및 모니터링: Kubernetes API 서버의 감사 로그를 활성화하고 정기적으로 검토하여 민감한 객체의 비정상적인 접근이나 변경 시도를 감지합니다. 또한, 이상 징후 감지를 위한 모니터링 도구를 사용하여 클러스터의 보안 상태를 지속적으로 관찰합니다.
  8. 정기적인 보안 감사 및 업데이트: Kubernetes 클러스터와 애플리케이션의 보안 설정을 정기적으로 감사하고, 새로운 보안 패치 및 업데이트를 적시에 적용합니다.

Kubernetes 환경에서 중요한 값을 안전하게 관리하는 것은 복잡할 수 있으나, 위의 권장 사항을 따름으로써 보안 위험을 최소화하고 안전한 애플리케이션 운영 환경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조치들은 환경 변수를 통한 중요한 값의 관리뿐 아니라, 전반적인 Kubernetes 클러스터의 보안 강화에도 기여합니다. 추가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몇 가지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추가 보안 고려 사항

  1. 시크릿 관리 도구 사용: HashiCorp Vault, AWS Secrets Manager, Google Cloud Secret Manager 같은 외부 시크릿 관리 도구를 사용하여 민감한 정보를 더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도구들은 종종 자동화된 시크릿 회전, 세밀한 접근 제어, 감사 로깅 등 추가 보안 기능을 제공합니다.
  2. 환경 구성 자동화: 인프라스트럭처 애즈 코드(Infrastructure as Code, IaC) 도구를 사용하여 클러스터와 애플리케이션의 배포를 자동화함으로써, 환경 설정의 일관성을 유지하고 잠재적인 인간의 실수를 줄일 수 있습니다.
  3. 취약점 스캔 및 컴플라이언스 체크: 정기적으로 컨테이너 이미지와 클러스터 설정에 대한 취약점 스캔을 수행하여 보안 취약점을 조기에 발견하고, 적합한 컴플라이언스 체크를 실행하여 산업 표준 및 법규 준수 여부를 확인합니다.
  4. 컨테이너 보안 강화: PodSecurityPolicies (PSP) 또는 그 후속 기능을 사용하여 Pod 수준에서의 보안 정책을 적용합니다. 이는 Pod가 실행할 수 있는 작업을 제한하여 보안 리스크를 최소화합니다.
  5. 네트워크 폴리시 적용: 네트워크 폴리시를 정의하여 Pod 간 및 외부 통신을 제어합니다. 이는 불필요한 네트워크 접근을 차단하고, 클러스터 내의 통신을 보안 상의 요구사항에 맞게 제한합니다.
  6. 멀티 팩터 인증 (MFA) 및 강력한 인증 기법: 클러스터 접근 시 멀티 팩터 인증을 요구하고, API 호출에 대해 강력한 인증 기법을 적용합니다. 이는 무단 접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이와 같은 보안 조치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적용함으로써, Kubernetes 환경에서 중요한 값과 시스템 전체의 보안을 효과적으로 강화할 수 있습니다. 각 조치의 구현은 조직의 특정 요구사항, 인프라스트럭처, 그리고 보안 정책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해당 환경에 맞는 최적의 방안을 선택하여 실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환경 변수 또는 설정 값이 웹 애플리케이션의 응답에 포함되어 클라이언트에 노출되는 문제는 매우 심각한 보안 취약점이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Next.js와 같은 서버 사이드 렌더링 프레임워크에서는 환경 변수를 잘못 사용하면 민감한 정보가 웹 페이지의 소스 코드에 그대로 노출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보호 조치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며, 아래에서 몇 가지 중요한 방법을 소개합니다.

환경 변수 보호 전략

  1. 클라이언트 사이드에서 사용할 환경 변수 명확히 분리: 애플리케이션에서 클라이언트 사이드와 서버 사이드에서 사용할 환경 변수를 명확히 분리합니다. 예를 들어, Next.js에서는 NEXT_PUBLIC_ 접두사를 붙인 환경 변수만 클라이언트 사이드에서 접근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서버 사이드에서만 사용되는 변수는 이러한 접두사를 붙이지 않아야 합니다.
  2. 서버 사이드 코드에서 민감한 정보 필터링: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민감한 정보를 필터링하는 로직을 구현합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정보를 반환할 때 비밀번호, API 키 등의 민감한 데이터는 응답에서 제외해야 합니다.
  3. 환경 변수 직접 노출 방지 로직 검토: 개발 과정에서 코드 리뷰를 철저히 수행하여 환경 변수가 직접적으로 노출될 수 있는 코드가 없는지 확인합니다. 특히, 새로운 기능 개발이나 외부 라이브러리의 사용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사전에 차단합니다.
  4. 안전한 환경 변수 관리 시스템 사용: 환경 변수의 관리 및 배포에 있어서 안전한 접근 방식을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서버 사이드에서만 처리되어야 하는 변수는 배포 과정에서 서버 환경에만 주입되도록 구성하고, 클라이언트 사이드 코드에서는 절대 접근할 수 없도록 합니다.
  5. 보안 감사 및 툴링 사용: 정기적인 보안 감사를 통해 의도치 않게 노출될 수 있는 민감한 정보를 찾아내고, 자동화된 보안 스캐닝 도구를 사용하여 코드 베이스를 분석함으로써 잠재적인 보안 취약점을 사전에 발견하고 대응합니다.
  6. 보안 교육 및 인식 제고: 개발 팀 내에서 보안에 대한 교육과 인식을 지속적으로 강화하여, 개발자들이 보안 사고의 위험성을 인식하고 민감한 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 습관을 기를 수 있도록 합니다.
  7. 환경 설정과 관련된 보안 정책 수립: 환경 변수의 사용과 관리에 대한 명확한 지침과 정책을 수립하여, 모든 개발자와 관리자가 이를 준수하도록 합니다. 이러한 정책은 환경 변수의 안전한 생성, 저장, 접근 방법 및 사용 사례를 명시해야 하며, 특히 민감한 정보를 처리하는 방식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을 포함해야 합니다.
  8. 안전한 기본값 설정: 가능한 경우, 환경 변수가 설정되지 않았을 때 안전한 기본값을 사용하도록 애플리케이션을 구성합니다. 이렇게 하면 환경 변수 설정이 누락되었을 경우에도 시스템의 보안 상태가 유지될 수 있습니다.
  9. 환경 변수 변경 사항 추적: 환경 변수의 변경 사항을 추적하고 감사 로그를 남겨 무단 변경을 방지합니다. 이를 위해 환경 변수 관리 도구를 사용하거나, CI/CD 파이프라인에서 환경 변수의 변경 사항을 체크하는 단계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10. 에러 메시지와 로깅에서의 정보 노출 최소화: 에러 메시지나 로그에 민감한 정보가 포함되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예외 처리 로직을 구현하여 에러 발생 시 민감한 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며, 로깅 시에도 민감한 정보를 필터링하거나 익명화합니다.
  11. API 및 데이터 전송 보안 강화: API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때는 SSL/TLS와 같은 안전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암호화합니다. 또한, API 엔드포인트에 적절한 인증 및 권한 부여 메커니즘을 적용하여 무단 접근을 방지합니다.

이러한 방법들은 개발 및 운영 환경에서 환경 변수와 민감한 정보의 안전한 관리를 위한 기본적인 프레임워크를 제공합니다. 중요한 것은 이러한 보호 조치들이 단순히 일회성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검토되고 개선되어야 한다는 점입니다. 보안은 고정된 상태가 아니라 지속적인 과정이며, 새로운 위협과 취약점에 대응하기 위해 정기적인 업데이트와 교육이 필요합니다.

 

마지막으로, 모든 보안 조치에도 불구하고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을 항상 염두에 두고 사고 대응 계획을 준비해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는 잠재적인 보안 사고가 발생했을 때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현대 웹 개발에서 클라이언트 측에서 상당한 양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는 것은 일반적인 패턴이 되었습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고 서버의 부하를 줄일 수 있지만, 동시에 민감한 정보가 노출될 위험을 증가시킵니다. 보안 관점에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민감한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조치와 도구 사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보호 조치

  1. 데이터 최소화: 클라이언트에 전송되는 데이터는 필요한 최소한의 정보로 제한해야 합니다. 사용자에게 꼭 필요한 정보만을 선택적으로 전송하고, 민감한 정보는 서버 측에서 처리합니다.
  2. 데이터 마스킹과 익명화: 실제 값을 숨기기 위해 데이터를 마스킹하거나 익명화합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식별 정보를 부분적으로만 노출하거나 전혀 다른 값으로 대체하여 전송합니다.
  3. 접근 제어 및 인증 강화: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는 데이터에 대한 접근 제어를 엄격히 적용합니다. 사용자 인증과 함께, 역할 기반 또는 속성 기반의 접근 제어(RBAC, ABAC)를 통해 민감한 데이터에 대한 접근을 제한합니다.
  4. SSL/TLS를 통한 데이터 암호화: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에 전송되는 모든 데이터는 SSL/TLS를 사용하여 암호화해야 합니다. 이는 데이터가 전송 중에 도청되거나 수정되는 것을 방지합니다.

보안 문제점 찾기 및 자동화 도구

보안 문제를 찾아내고 해결하기 위해 여러 자동화 도구와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도구들은 코드의 취약점을 스캔하고, 잠재적인 보안 위협을 식별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1. 정적 코드 분석 도구 (SAST): SAST 도구는 소스 코드를 분석하여 보안 취약점을 식별합니다. 예를 들어, SonarQube, Checkmarx, Fortify 등이 있습니다. 이 도구들은 코드가 실행되기 전에 문제점을 찾아냅니다.
  2. 동적 애플리케이션 보안 테스팅 (DAST): DAST 도구는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을 대상으로 취약점을 검사합니다. OWASP ZAP, Burp Suite 등이 널리 사용됩니다. 이들은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외부 공격 시뮬레이션을 통해 문제점을 찾아냅니다.
  3.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 보안 테스팅 (IAST): IAST 도구는 애플리케이션의 테스트 및 운영 단계에서 실시간으로 코드를 분석하고 취약점을 식별합니다. Contrast Security와 같은 도구가 이에 해당합니다.
  4. 소프트웨어 구성 관리 (SCM) 시스템 통합: GitHub, GitLab, Bitbucket과 같은 SCM 시스템은 보안 스캔을 위한 통합 옵션을 제공하여, 풀 리퀘스트(PR) 단계에서 코드 취약점을 자동으로 식별할 수 있게 합니다. 이러한 통합을 통해 개발 초기 단계에서 보안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할 수 있습니다.
  5. 컨테이너 보안 스캔 도구: Docker 이미지와 같은 컨테이너의 보안 취약점을 검사하기 위한 도구도 있습니다. Clair, Trivy, Anchore Engine 등이 있으며, 컨테이너 이미지를 분석하여 알려진 취약점을 식별합니다.
  6. 종속성 관리 도구: 프로젝트의 종속성을 분석하고 알려진 보안 취약점이 있는 라이브러리의 사용을 경고합니다. npm audit, Snyk, Dependabot과 같은 도구들이 이를 위해 사용될 수 있습니다.
  7. 웹 애플리케이션 방화벽 (WAF): WAF는 애플리케이션 레벨에서의 공격을 탐지하고 차단하는 보안 시스템입니다. 애플리케이션 데이터의 노출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Cloudflare, AWS WAF 등이 있습니다.

자동화를 통한 보안 강화

자동화 도구를 사용하는 것 외에도, CI/CD 파이프라인에 보안 단계를 통합함으로써 개발 생명주기의 모든 단계에서 보안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코드를 저장소에 푸시할 때마다 자동으로 SAST를 실행하고, 빌드 프로세스 중에 종속성 스캔을 수행하며, 배포 전에 DAST로 동적 분석을 실시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자동화된 보안 검사는 개발 팀이 보안 취약점을 빠르게 식별하고 수정할 수 있게 해주며, 보안 문제가 생산 환경으로 이어지는 것을 방지합니다.

 

보안은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며, 자동화 도구와 절차를 적절히 활용함으로써 개발 팀은 보안 리스크를 관리하고 민감한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습니다. 개발 초기 단계부터 보안을 고려하는 문화를 조성하고, 지속적인 교육과 훈련을 통해 개발자들이 보안 베스트 프랙티스를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Google Workspace 관리자는 Google Cloud Platform(GCP)에서 제공하는 OAuth 2.0 클라이언트 ID 및 비밀을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접근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클라이언트 ID와 비밀은 Google API에 액세스할 때 사용됩니다. IP 주소 제한과 같은 보안 기능은 일반적으로 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버 수준에서 구현됩니다.

 

그러나 GCP에서 제공하는 일부 서비스를 통해 특정 IP 주소에서만 접근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는 기능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Google Cloud VPC 서비스를 사용하여 특정 네트워크 트래픽만 허용하도록 방화벽 규칙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설정은 Google OAuth 클라이언트 ID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으며, 대신 Google Cloud상에서 호스팅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에 대한 접근을 제어하는 데 사용됩니다.

 

Google Workspace 관리자가 OAuth 클라이언트 ID를 사용하여 개발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IP 주소 제한을 직접 설정하는 기능은 Google Workspace 관리 콘솔에서 직접적으로 제공되지 않습니다. 보안을 강화하고 특정 IP 주소에서만 액세스를 허용하려면, 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버 수준에서 해당 기능을 구현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웹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웹 서버(예: Apache, Nginx)의 설정을 통해 특정 IP 주소에서의 접근만을 허용하도록 구성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Google OAuth 키를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IP 주소 기반 접근 제한은 애플리케이션의 구현 또는 호스팅 환경에서 제공되는 기능을 통해 설정해야 하며, Google Workspace 관리자 콘솔에서 직접 설정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보안 요구사항에 따라 적절한 네트워크 보안 구성과 애플리케이션 수준의 인증 및 접근 제어 메커니즘을 구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Google OAuth 2.0 클라이언트 ID 및 비밀 키를 사용할 때, Google Cloud Platform(GCP)의 API 및 서비스에 대한 접근을 관리하는 기본 메커니즘은 OAuth 2.0 인증 프로토콜을 통한 것입니다. 이 프로토콜은 사용자 인증 및 권한 부여를 처리하지만, 기본적으로 IP 주소 기반의 접근 제한 기능을 직접 제공하지 않습니다.

 

개별 클라이언트 ID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IP 주소를 기반으로 접근을 제한하려는 경우, 여러 방법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제한은 주로 애플리케이션 레벨이나 네트워크 인프라 레벨에서 구현되어야 합니다.

  1. 애플리케이션 레벨에서의 구현: 애플리케이션이 특정 IP 주소에서만 Google API에 접근하도록 하려면, 애플리케이션의 로직에 IP 주소 검사 기능을 구현해야 합니다. 이는 서버 사이드 스크립트나 미들웨어를 통해 구현할 수 있으며, 요청이 허용된 IP 주소 목록에 속하지 않는 경우, OAuth 토큰 요청을 차단합니다.
  2. 네트워크 인프라 레벨에서의 구현: Google Cloud Platform 내에서 호스팅되는 서비스의 경우, Google Cloud의 VPC 방화벽 규칙을 사용하여 특정 IP 주소에서의 인바운드 및 아웃바운드 트래픽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이는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는 IP 주소를 제한하는 데 사용할 수 있지만, OAuth 클라이언트 ID 자체에 대한 직접적인 제한이 아닙니다.
  3. API 게이트웨이 사용: API 요청을 관리하고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Google Cloud Endpoints 또는 Apigee와 같은 API 게이트웨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API 게이트웨이를 사용하면 IP 주소 기반의 접근 제한, API 키 검증, 요청 속도 제한 등 다양한 보안 정책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요약하자면, Google Cloud Platform에서는 OAuth 클라이언트 ID 별로 직접 IP 주소 제한을 설정하는 기본 기능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IP 주소 기반의 접근 제한을 구현하려면 애플리케이션 레벨이나 네트워크 인프라 레벨에서 추가적인 구현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보안을 강화하고 민감한 데이터 및 자원에 대한 접근을 제어하는 데 유용할 수 있습니다.

 

Google Cloud Platform(GCP)에서는 API 사용과 관련된 로그를 수집하고 모니터링하여 비정상적인 행위를 탐지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여러 도구와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기능을 통해 사용자는 보안 위협을 식별하고 대응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API 사용 로그를 수집 및 모니터링하고 비정상적인 행위를 탐지하는 방법에 대한 개요입니다.

1. 로그 활성화 및 수집

  • Cloud Logging 활성화: GCP의 Cloud Logging은 기본적으로 많은 GCP 서비스에 대한 로그를 자동으로 수집합니다. 사용자는 Google Cloud Console에서 Cloud Logging을 활성화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API 요청, 응답, 에러 등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습니다.
  • API 활동 로그: Google Cloud의 API 활동 로그를 통해 GCP 리소스에 대한 API 호출 정보를 수집합니다. 이러한 로그에는 호출된 API의 이름, 호출 시간, 요청자의 신원, 호출 결과 등이 포함됩니다.

2. 로그 기반 알림 설정

  • Cloud Monitoring과의 통합: Cloud Logging과 Cloud Monitoring을 통합하여 특정 로그 이벤트나 패턴이 발생했을 때 알림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비정상적으로 높은 API 호출 빈도나 예상치 못한 지리적 위치에서의 API 요청 등이 감지될 경우, 즉시 알림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로그 기반 메트릭 생성: 사용자는 Cloud Logging에서 수집한 로그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 정의 메트릭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특정 로그 이벤트의 발생 빈도나 패턴을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

3. 로그 데이터 분석 및 비정상 행위 탐지

  • BigQuery로 로그 분석: 수집된 로그 데이터를 BigQuery에 내보내어 더 광범위하고 복잡한 분석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BigQuery는 대규모 데이터 세트에 대한 SQL 쿼리를 지원하며, 로그 데이터에서 비정상적인 패턴이나 행위를 식별하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 Google Cloud의 Security Command Center: Security Command Center를 사용하여 GCP 환경 전반에 걸친 보안 위협과 취약점을 중앙에서 관리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 Security Command Center는 Cloud Logging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포함하여 다양한 보안 관련 데이터 소스를 분석하여 위협을 탐지하고 경고합니다.

4. 보안 정책 및 규칙 적용

  • Cloud IAM(Identity and Access Management): API 사용에 대한 접근 제어를 세밀하게 관리하기 위해 Cloud IAM을 사용하여 사용자, 그룹, 서비스 계정에 대한 권한을 설정합니다. 이를 통해 불필요한 API 접근을 최소화하고 보안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 VPC Service Controls: VPC Service Controls를 사용하여 API 호출 및 데이터 전송에 대한 보안 경계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는 API 요청이 허가된 네트워크 경계 내에서만 이루어지도록 하여 데이터 유출 위험을 감소시킵니다.

 

이러한 접근 방법을 통해 Google Cloud에서 API 사용 로그를 효과적으로 수집, 모니터링하고, 비정상적인 행위를 탐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를 통해 보안 위협에 대응하고 GCP 리소스의 보안 상태를 지속적으로 개선할 수 있습니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