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진짜 하고 싶은 것”을 찾아가는 청소년과 지켜보는 부모의 성장 여정

728x90

끌림과 진짜 하고 싶은 것의 차이

끌림(일시적 관심)

  • 초기에 강한 흥미와 호기심을 느끼는 상태
  • 새로움, 자극, 즉각적인 만족감에서 비롯됨
  • 도파민 분비로 인한 일시적 즐거움
  •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감소하는 경향

진짜 하고 싶은 것

  • 일관성 있게 반복할 수 있고 지속적으로 의미를 찾는 활동
  • 권태와 어려움을 겪어도 계속하고 싶은 것
  • 단순한 흥미를 넘어 자아실현, 가치 추구와 연결됨
  • 많은 반복을 통해 비로소 '나의 것'이 됨

일관성의 중요성

일관성 있는 반복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청소년 시기에 특히 중요합니다.

  1. 실력과 전문성 형성
    • 어떤 분야든 반복 연습이 없으면 실력이 늘지 않음
    • 뇌의 신경망을 강화하여 처음엔 어려웠던 것도 자연스럽게 할 수 있게 됨
  2. 자기 신뢰와 자신감 형성
    • 작은 성공 경험이 쌓이면서 '나는 할 수 있다'는 자기효능감 발달
    • 실패를 극복하고 다시 도전하는 회복탄력성 강화
  3. 습관과 자기관리 능력 발달
    • 반복은 행동을 습관으로 만들어 의지력이 약할 때도 지속 가능하게 함
    • 자기통제력과 인내심 발달

권태의 이해와 극복

권태란?

  • 한때 강하게 끌렸던 것이 더 이상 흥미롭지 않게 느껴지는 상태
  • 반복과 익숙함에서 오는 무기력감
  • 모든 사람이 필연적으로 경험하는 감정

권태의 가치

  • 권태는 성장의 필수 과정이자 전환점
  • 권태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더 깊은 의미와 가치를 발견할 수 있음
  • 권태를 이겨내고 계속할 때 진정한 실력과 전문성이 쌓임

신념과 고집의 차이

신념

  • 자신의 가치관과 목표에 기반한 확고한 의지
  • 외부 상황에 흔들리지 않으면서도 합리적 수용이 가능
  • 성장과 변화를 포용하는 유연성 보유

고집

  • 합리적 판단 없이 한 방향만 고수하는 태도
  • 변화와 조언을 무시하고 자기중심적으로 행동
  • 수용력이 부족하고 성장이 정체됨

청소년기에 필요한 핵심 능력

  1. 하고 싶지 않아도 해야 할 일을 참고 반복하는 힘
    • 이는 자기조절력, 인내력, 책임감의 토대가 됨
    • 미래의 성공과 행복을 위한 필수 역량
  2. 권태를 극복하는 경험
    • 권태기에 포기하지 않고 한 번 더 시도해보는 경험
    • 이 과정에서 더 깊은 의미와 즐거움을 발견할 수 있음
  3. 신념과 수용의 균형
    • 자신의 신념을 가지되, 더 나은 방향과 변화에 열린 마음 유지
    • 다양한 관점을 수용하며 성장하는 태도

청소년 시기에는 단순히 '끌리는 것'과 '진짜 하고 싶은 것'을 구분하는 능력이 중요합니다. 끌림은 출발점일 뿐, 일관성 있는 반복과 권태 극복을 통해 진정한 자신의 것이 됩니다. 이 과정에서 해야 할 일을 참고 반복하는 능력, 신념과 고집의 차이를 이해하는 지혜, 그리고 권태를 성장의 기회로 삼는 태도가 형성됩니다.

300x250

무엇보다, 일관성과 반복은 미래의 성공과 행복을 위한 가장 강력한 도구입니다. 청소년들이 이를 일찍 깨닫고 실천한다면, 자신만의 확고한 길을 찾아갈 수 있을 것입니다. 앞서 정리한 ‘청소년의 끌림 vs 진짜 하고 싶은 것, 일관성, 권태, 신념과 고집의 차이’ 등 핵심 주제를 바탕으로, 이번에는 ① 청소년이 스스로 알고 실천해야 할 내용② 부모의 역할과 지원 방법 두 가지 관점입니다.

👩‍🎓 청소년이 알아야 할 것과 실천할 방향

‘진짜 하고 싶은 것’을 찾는 과정은 시간이 걸리는 여정이다

  • 처음에 "이게 내 길이야!"라고 생각한 것도 시간이 지나면 흥미를 잃을 수 있습니다.
  • 중요한 것은 처음의 끌림보다, 그 과정 속에서 어떤 감정을 느꼈는지, 어떤 의미를 발견했는지입니다.
  • 자신에게 자주 물어보세요.
    • "이걸 왜 하고 싶었지?"
    • "지금 재미는 없지만, 끝났을 때 뿌듯할까?"
    • "다시 도전하고 싶은 마음이 드는가?"

권태는 ‘실망’이 아니라 ‘전환점’이다

  • 권태를 느끼는 건 이상한 게 아닙니다. 모든 사람, 심지어 어른도 느낍니다.
  • 중요한 건 "이건 재미없어"로 끝나는 게 아니라, 그 권태를 이겨낸 다음에 무엇이 남는지를 보는 것입니다.
  • 팁: 권태를 겪을 때 할 수 있는 행동들
    • 기록하기: 지금 무엇이 지겹다고 느껴지는지 적어보세요.
    • 패턴 바꾸기: 같은 활동이라도 방법을 바꾸면 리프레시 됩니다.
    • 작은 보상 설정: 목표를 나눠서 달성했을 때 자신에게 작은 보상을 주세요.

일관성은 재능보다 더 큰 힘이 된다

  • ‘좋아하는 일’을 찾아야 한다는 압박감보다, 지금 하고 있는 일을 일정 기간 반복하는 힘이 중요합니다.
  • 일관성 있는 반복은 자기효능감, 집중력, 뇌 회로까지 바꿔줍니다.
  • "매일 20분이라도 한다", "싫어도 주 2회는 해본다"는 작은 규칙이 결국 실력을 만들어줍니다.

신념과 고집의 차이를 구별할 줄 알아야 한다

  • 신념은 자기 성장을 위한 원칙이고, 고집은 조언과 변화에 귀를 닫는 것입니다.
  • 본인의 판단을 믿되, 다른 사람의 피드백도 열린 마음으로 들어보는 태도가 중요합니다.
  • "나는 왜 이걸 고수하려는 걸까?"를 자주 스스로 묻는 습관을 들이세요.

👨‍👩‍👧‍👦 부모가 도와야 할 방향과 실천 방법

즉각적인 성과보다는 '반복하는 힘'에 주목하기

  • “왜 포기했니?”, “처음엔 그렇게 좋아하더니 왜 안 해?”라는 말은 청소년의 자존감에 큰 상처가 됩니다.
  • 대신 이렇게 표현해 보세요.
    • “지금 좀 지겨워도 계속하는 게 쉽지 않지. 그래도 참 잘하고 있어.”
    • “처음처럼 재미는 없겠지만, 이만큼 왔다는 게 대단한 거야.”
  • 핵심은 결과보다 ‘지속하고 있다는 사실’을 인정해주는 것입니다.

권태를 부정하지 말고, 함께 분석해주기

  • “그만두면 안 돼!”라는 말은 갈등만 유발할 수 있습니다.
  • 권태를 겪는 자녀에게는 이렇게 접근해보세요.
    • “요즘 이거 좀 재미없어졌어?”
    • “예전엔 뭐가 제일 재미있었는지 기억나?”
    • “혹시 다른 방식으로 해보면 좀 나아질까?”
  • 권태는 성장의 징후라는 것을 부모가 이해하고, 아이가 감정을 정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신념을 응원하되, 유연성을 가르치기

  • 아이가 고집을 부릴 때, 억누르기보다는 “이건 너의 신념인지, 고집인지 어떻게 구별할 수 있을까?”라는 질문을 던져보세요.
  • 정답을 주기보다, 스스로 생각하고 판단하게 하는 질문 중심 대화가 중요합니다.
  • “넌 어떤 상황에서도 이걸 유지하고 싶은 이유가 있니?”라고 물어보면, 신념의 깊이를 가늠할 수 있습니다.

실패 경험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도록 안내하기

  •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게 하려면, 부모가 실패를 ‘배움의 기회’로 보는 태도를 보여야 합니다.
  • 아이가 중도 포기하거나 실수했을 때
    • “실패했구나” 대신 “이번엔 어떤 점이 어려웠어?”라고 물어보세요.
    • “그걸 알았다는 것도 큰 배움이야”라고 마무리하면 자기성찰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함께 걷는 성장의 길

청소년에게는 자신이 진짜 하고 싶은 것을 '찾는 것'보다 '지속하며 만들어가는 과정'이 더 중요합니다.

부모는 그 과정에서 결과보다 반복, 흥미보다 일관성, 포기보다 성찰을 바라보며 옆에서 지지해야 합니다.

🔑 청소년에게 필요한 것은 ‘해도 되는 용기’,
👣 부모에게 필요한 것은 ‘지켜보는 인내’입니다.

728x90
그리드형(광고전용)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