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격코드실행'에 해당되는 글 160건
- 2017.05.12 MS 5월 보안 위협에 따른 정기 보안 업데이트
- 2017.04.13 MS 4월 보안 위협에 따른 정기 보안 업데이트
- 2017.03.24 IIS 6.0 WebDAV 서비스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 주의
트윗하기 | |||
□ 5월 보안업데이트 개요(총 10종)
o 발표일 : 2017.05.10.(수)
o 등급 : 긴급(Critical) 8종, 중요(Important) 2종
o 업데이트 내용
제품군 | 중요도 | 영향 | KB번호 |
Windows 10, Server 2016, Edge | 긴급 | 원격코드실행 | 4016871 등 4개 |
Windows 8.1, RT 8.1, Server 2012 R2 | 긴급 | 원격코드실행 | 4019215 |
Windows Server 2012 | 긴급 | 원격코드실행 | 4019214 |
Windows 7, Server 2008 R2 | 긴급 | 원격코드실행 | 4019264 |
Windows Server 2008 | 긴급 | 원격코드실행 | 4018196 등 9개 |
Internet Explorer | 긴급 | 원격코드실행 | 4016871 등 8개 |
.NET Framework | 중요 | 인증우회 | 4016871 등 8개 |
Office, Office Services, Web Apps, Skype | 중요 | 원격코드실행 | 2596904 등 28개 |
Adobe Flash Player | 긴급 | 원격코드실행 | 4020821 |
Windows Defender | 긴급 | 원격코드실행 | - |
o 참고사이트
- 한글 : https://portal.msrc.microsoft.com/ko-kr/security-guidance
- 영문 : https://portal.msrc.microsoft.com/en-us/security-guidance
Windows 10, Server 2016, Edge 보안 업데이트
□ 설명
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o 관련취약점 :
- 다중 권한상승 취약점(CVE-2017-0212, 0213, 0214, 0233, 0241, 0246, 0263)
- 다중 원격코드실행 취약점(CVE-2017-0266, 0272, 0277, 0278, 0279)
- 다중 정보노출 취약점(CVE-2017-0077, 0190, 0258, 0259, 0267, 0268, 0270, 0271, 0274, 0275, 0276)
- 다중 서비스거부 취약점(CVE-2017-0171, 0269, 0273, 0280)
- 다중 메모리손상 취약점(CVE-2017-0221, 0224, 0227, 0228, 0229, 0230, 0234, 0235, 0236, 0238, 0240)
- 브라우저 스푸핑 취약점(CVE-2017-0231)
o 영향 :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 긴급
o 관련 KB번호
- 4016871, 4019472, 4019473, 4019474
□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Windows 8.1, RT 8.1, Server 2012 R2 보안 업데이트
□ 설명
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o 관련취약점 :
- 다중 권한상승 취약점(CVE-2017-0213, 0214, 0246, 0263)
- SMB 원격코드실행 취약점(CVE-2017-0272, 0277, 0278, 0279)
- 다중 정보노출 취약점(CVE-2017-0077, 0190, 0258, 0259, 0267, 0268, 0270, 0271, 0274, 0275, 0276)
- 다중 서비스거부 취약점(CVE-2017-0171, 0269, 0273, 0280)
o 영향 :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 긴급
o 관련 KB번호
- 4019215
□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Windows Server 2012 보안 업데이트
□ 설명
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o 관련취약점 :
- 다중 권한상승 취약점(CVE-2017-0213, 0214, 0246, 0263)
- SMB 원격코드실행 취약점(CVE-2017-0272, 0277, 0278, 0279)
- 다중 정보노출 취약점(CVE-2017-0077, 0190, 0220, 0245, 0258, 0267, 0268, 0270, 0271, 0274, 0275, 0276)
- 다중 서비스거부 취약점(CVE-2017-0171, 0269, 0273, 0280)
o 영향 :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 긴급
o 관련 KB번호
- 4019214
□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Windows 7, Server 2008 R2 보안 업데이트
□ 설명
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o 관련취약점 :
- 다중 권한상승 취약점(CVE-2017-0213, 0214, 0244, 0246, 0263)
- SMB 원격코드실행 취약점(CVE-2017-0272, 0277, 0278, 0279)
- 다중 정보노출 취약점(CVE-2017-0077, 0175, 0190, 0220, 0242, 0245, 0258, 0267, 0268, 0270, 0271, 0274, 0275, 0276)
- 다중 서비스거부 취약점(CVE-2017-0171, 0269, 0273, 0280)
o 영향 :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 긴급
o 관련 KB번호
- 4019264
□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Windows Server 2008 보안 업데이트
□ 설명
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 원격코드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o 관련취약점 :
- 다중 권한상승 취약점(CVE-2017-0213, 0214, 0244, 0246, 0263)
- SMB 원격코드실행 취약점(CVE-2017-0272, 0277, 0278, 0279)
- 다중 정보노출 취약점(CVE-2017-0077, 0175, 0190, 0220, 0242, 0245, 0258, 0267, 0268, 0270, 0271, 0274, 0275, 0276)
- 다중 서비스거부 취약점(CVE-2017-0171, 0269, 0273, 0280)
o 영향 :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 긴급
o 관련 KB번호
- 4018196, 4018466, 4018556, 4018821, 4018885, 4018927, 4019149, 4019204, 4019206
□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Internet Explorer 보안 업데이트
□ 설명
o 이용자가 Internet Explorer로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웹 페이지를 열람할 경우, 원격코드실행이 허용되는 취약점
o 관련취약점 :
- 인증우회 취약점(CVE-2017-0064)
- 다중 메모리손상 취약점(CVE-2017-0222, 0226, 0228, 0238)
- 브라우저 스푸핑 취약점(CVE-2017-0231)
o 영향 :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 긴급
o 관련 KB번호
- 4016871, 4018271, 4019214, 4019215, 4019264, 4019472, 4019473, 4019474
□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NET Framework 보안 업데이트
□ 설명
o 공격자에 의해 .NET Framework 구성요소에서 비정상적인 유효성 검사가 이루어질 경우, 원격코드실행이 허용되는 취약점
o 관련취약점 :
-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CVE-2017-0248)
o 영향 : 인증우회
o 중요도 : 중요
o 관련 KB 번호
- 4016871, 4019112, 4019113, 4019114, 4019115, 4019472, 4019473, 4019474
□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Office 보안 업데이트
□ 설명
o 이용자가 특수 제작된 악성 Office 파일을 열람하는 경우, 원격코드실행이 허용되는 취약점
o 관련취약점 :
- 메모리손상 취약점(CVE-2017-0254, 0264, 0265)
- SharePoint XSS 취약점(CVE-2017-0255)
- 원격코드실행 취약점(CVE-2017-0261, 0262, 0281)
o 영향 :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 중요
o 관련 KB 번호
- 2596904, 3114375, 3118310, 3162040, 3162054, 3172458, 3178729, 3191835, 3191836, 3191839, 3191841, 3191843, 3191858, 3191863, 3191865, 3191880, 3191881, 3191885, 3191888, 3191890, 3191895, 3191899, 3191904, 3191909, 3191913, 3191914, 3191915, 3212221
□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Adobe Flash Player 보안 업데이트
□ 설명
o 지원되는 모든 버전의 Windows 8.1, Windows Server 2012, Windows Server 2012 R2, Windows RT 8.1, Windows 10 및 Windows Server 2016에 설치된 Adobe Flash Player의 취약점을 해결
o 관련취약점 :
- Adobe 보안 업데이트 APSB17-15에 설명된 취약점
o 영향 :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 긴급
o 관련 KB번호
- 4020821
□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Windows Defender 보안 업데이트
□ 설명
o 공격자가 Malware Protection Engine에서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파일을 검색하게 할 경우, 원격코드실행이 허용되는 취약점
o 관련취약점 :
- Malware Protection Engine 원격코드실행 취약점(CVE-2017-0290)
o 영향 :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 긴급
□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
o 참고사이트
- https://technet.microsoft.com/library/security/4022344
□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 최신 엔진 버전 : 1.1.13704.0
트윗하기 | |||
이미 한 달 동안 악용된 워드 제로데이, 패치 나왔다
http://www.boannews.com/media/view.asp?idx=54229&kind=4
OLE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CVE-2017-0199 취약점
이미 여러 멀웨어와 결합된 채 활발히 악용되고 있어...패치 필수
□ 4월 보안업데이트 개요(총 10종)
o 발표일 : 2017.04.12.(수)
o 등급 : 긴급(Critical) 9종, 중요(Important) 1종
o 업데이트 내용
KB번호 | 중요도 | 발생 위치 | 영향 |
KB 2589382 | 긴급 | Office, Office Services, Web Apps | 원격 코드 실행 |
KB 3211308 | 긴급 | Windows Vista, Server 2008 | 원격 코드 실행 |
KB 4014661 | 긴급 | Internet Explorer | 원격 코드 실행 |
KB 4014981 | 긴급 | .NET Framework | 원격 코드 실행 |
KB 4015217 | 긴급 | Windows 10, Server 2016 | 원격 코드 실행 |
KB 4015549 | 긴급 | Windows 7, Server 2008 R2 | 원격 코드 실행 |
KB 4015550 | 긴급 | Windows 8.1, RT 8.1, Server 2012 R2 | 원격 코드 실행 |
KB 4015551 | 긴급 | Windows Server 2012 | 원격 코드 실행 |
KB 4017094 | 중요 | Silverlight | 정보 노출 |
KB 4018483 | 긴급 | Adobe Flash Player | 원격 코드 실행 |
[KB 2589382] Office 보안 업데이트
□ 설명
o 이용자가 특수 제작된 악성 Office 파일을 열람하는 경우, 원격 코드 실행이 허용되는 취약점
o 관련취약점 :
- 다중 원격 코드실행 취약점(CVE-2017-0106, 0199)
- 권한 상승 취약점(CVE-2017-0195)
- DLL 로드 취약점(CVE-2017-0197)
- 스푸핑 취약점(CVE-2017-0207)
- 메모리 손상 취약점(CVE-2017-0194)
- 보안 기능 우회 취약점(CVE-2017-0204)
o 영향 :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 긴급
□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
o 참고사이트
- 한글 : https://support.microsoft.com/ko-kr/help/2589382
- 영문 : https://support.microsoft.com/en-us/help/2589382
o 관련 KB 번호
- 2589382, 3101522, 3118388, 3127890, 3127895, 3141529, 3141538, 3172519, 3178664, 3178702, 3178703, 3178710, 3178725, 3191827, 3191829, 3191830, 3191845, 3191847, 3212218
□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KB 3211308] Winddows Vista, Server 2008 보안 업데이트
□ 설명
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 원격 코드 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o 관련취약점 :
- 스크립팅 엔진 메모리 손상 취약점(CVE-2017-0158)
- 다중 정보 노출 취약점(CVE-2013-6629, CVE-2017-0058, 0168, 0192)
- Hyper-V 서비스 거부 취약점(CVE-2017-0184)
- 다중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CVE-2017-0163, 0180, 0199)
- 다중 권한 상승 취약점(CVE-2017-0155, 0166)
o 영향 : 원격 코드 실행
o 중요도 : 긴급
□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
o 참고사이트
- 한글 : https://support.microsoft.com/ko-kr/help/3211308
- 영문 : https://support.microsoft.com/en-us/help/3211308
o 관련 KB 번호
- 3211308, 3217841, 4014652, 4014793, 4014794, 4015067, 4015068, 4015195, 4015380, 4015383
□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KB 4014661] Internet Explorer 보안 업데이트
□ 설명
o 이용자가 Internet Explorer로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웹 페이지를 열람할 경우, 원격 코드 실행이 허용되는 취약점
o 관련취약점 :
- 권한 상승 취약점(CVE-2017-0210)
- 다중 메모리 손상 취약점(CVE-2017-0201, 0202)
o 영향 : 원격 코드 실행
o 중요도 : 긴급
□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
o 참고사이트
- 한글 : https://support.microsoft.com/ko-kr/help/4014661
- 영문 : https://support.microsoft.com/en-us/help/4014661
o 관련 KB 번호
- 4014661, 4015217, 4015219, 4015221, 4015549, 4015550, 4015551, 4015583
□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KB 4014981] .NET Framework 보안 업데이트
□ 설명
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비정상적인 유효성 검사가 이루어질 경우, 원격 코드 실행이 허용되는 취약점
o 관련취약점 :
-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CVE-2017-0160)
o 영향 : 원격 코드 실행
o 중요도 : 긴급
□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
o 참고사이트
- 한글 : https://support.microsoft.com/ko-kr/help/4014981
- 영문 : https://support.microsoft.com/en-us/help/4014981
o 관련 KB 번호
- 4014981, 4014982, 4014983, 4014984, 4015217, 4015219, 4015221, 4015583
□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KB 4015217] Windows 10, Server 2016 보안 업데이트
□ 설명
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 원격 코드 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o 관련취약점 :
- 다중 메모리 손상 취약점(CVE-2017-0093, 0158, 0200, 0205)
- 다중 정보 노출 취약점(CVE-2013-6629, CVE-2017-0058, 0167, 0188, 0192, 0208)
- 다중 서비스 거부 취약점(CVE-2017-0164, 0178, 0179, 0182, 0183, 0184, 0185, 0186, 0191)
- Hyper-V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CVE-2017-0162, 0163, 0180, 0181)
- 다중 권한 상승 취약점(CVE-2017-0156, 0165, 0166, 0189, 0211)
- 다중 보안 기능 우회 취약점(CVE-2017-0159, 0203)
o 영향 : 원격 코드 실행
o 중요도 : 긴급
□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
o 참고사이트
- 한글 : https://support.microsoft.com/ko-kr/help/4015217
- 영문 : https://support.microsoft.com/en-us/help/4015217
o 관련 KB 번호
- 4015217, 4015219, 4015221, 4015583
□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KB 4015549] Windows 7, Server 2008 R2 보안 업데이트
□ 설명
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 원격 코드 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o 관련취약점 :
- 스크립팅 엔진 메모리 손상 취약점(CVE-2017-0158)
- 다중 정보 노출 취약점(CVE-2013-6629, CVE-2017-0058, 0168, 0192)
- 다중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CVE-2017-0163, 0180, 0199)
- 다중 서비스 거부 취약점(CVE-2017-0182, 0183, 0184, 0191)
- 다중 권한 상승 취약점(CVE-2017-0155, 0156, 0166)
o 영향 : 원격 코드 실행
o 중요도 : 긴급
□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
o 참고사이트
- 한글 : https://support.microsoft.com/ko-kr/help/4015549
- 영문 : https://support.microsoft.com/en-us/help/4015549
□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KB 4015550] Windows 8.1, RT 8.1, Server 2012 R2 보안 업데이트
□ 설명
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 원격 코드 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o 관련취약점 :
- 스크립팅 엔진 메모리 손상 취약점(CVE-2017-0158)
- 다중 정보 노출 취약점(CVE-2013-6629, CVE-2017-0058, 0167, 0168, 0169, 0188, 0192)
- 다중 서비스 거부 취약점(CVE-2017-0178, 0179, 0182, 0183, 0184, 0185, 0186, 0191)
- Hyper-V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CVE-2017-0162, 0163, 0180)
- 다중 권한 상승 취약점(CVE-2017-0156, 0165, 0166, 0211)
- ADFS 보안 기능 우회 취약점(CVE-2017-0159)
o 영향 : 원격 코드 실행
o 중요도 : 긴급
□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
o 참고사이트
- 한글 : https://support.microsoft.com/ko-kr/help/4015550
- 영문 : https://support.microsoft.com/en-us/help/4015550
□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KB 4015551] Windows Server 2012 보안 업데이트
□ 설명
o 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 원격 코드 실행을 허용하는 취약점
o 관련취약점 :
- 스크립팅 엔진 메모리 손상 취약점(CVE-2017-0158)
- 다중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CVE-2017-0163, 0180, 0199)
- 다중 서비스 거부 취약점(CVE-2017-0182, 0183, 0184, 0185, 0186, 0191)
- 다중 정보 노출 취약점(CVE-2013-6629, CVE-2017-0058, 0168, 0169, 0188, 0192)
- 다중 권한 상승 취약점(CVE-2017-0166, 0211)
o 영향 : 원격 코드 실행
o 중요도 : 긴급
□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
o 참고사이트
- 한글 : https://support.microsoft.com/ko-kr/help/4015551
- 영문 : https://support.microsoft.com/en-us/help/4015551
□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KB 4017094] Silverlight용 보안 업데이트
□ 설명
o 공격자가 jpeg 라이브러리를 메모리에서 정상적으로 다루지 못하게 할 경우, ASLR 보안기능 우회에 필요한 정보가 노출되는 취약점
o 관련취약점 :
- libjpeg 정보 노출 취약점(CVE-2013-6629)
o 영향 : 정보 노출
o 중요도 : 중요
□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
o 참고사이트
- 한글 : https://support.microsoft.com/ko-kr/help/4017094
- 영문 : https://support.microsoft.com/en-us/help/4017094
□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KB 4018483] Adobe Flash Player 보안 업데이트
□ 설명
o 지원되는 모든 버전의 Windows 8.1, Windows Server 2012, Windows Server 2012 R2, Windows RT 8.1, Windows 10 및 Windows Server 2016에 설치된 Adobe Flash Player의 취약점을 해결
o 관련취약점 :
- Adobe 보안 업데이트 APSB17-10에 설명된 취약점
o 영향 : 원격 코드 실행
o 중요도 : 긴급
□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
o 참고사이트
- 한글 : https://support.microsoft.com/ko-kr/help/KB4018483
- 영문 : https://support.microsoft.com/en-us/help/KB4018483
□ 해결책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 패치 적용
트윗하기 | |||
□ 개요
o Microsoft社의 Windows Server 2003 R2 (IIS 6.0)에서 사용되는 WebDAV 서비스에서 버퍼 오버플로우 취약점이 발견 [1]
o 공격자는 해당 취약점을 악용하여 원격 코드 실행 등의 피해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대응 방안에 따른 조치 권고
□ 내용
o WebDAV 서비스의 ScStoragePathFromUrl 함수에서 발생하는 버퍼 오버플로우 취약점(CVE-2017-7269)
□ 영향을 받는 제품 및 버전
o Windows Server 2003 R2 IIS 6.0 버전의 WebDAV 서비스
□ 대응 방안
o 서버 내 WebDAV 서비스 비활성화
o WebDAV 서비스를 비활성화 할 수 없는 경우, 운영체제 및 IIS 버전 업그레이드 권고
※ Windows Server 2003 R2 버전은 더 이상 보안 업데이트를 지원하지 않음
□ 기타 문의사항
o WebDAV : HTTP 프로토콜의 확장으로, 월드 와이드 웹 서버에 저장된 문서와 파일을 편집하고 관리하는 사용자들 사이에
협업을 용이하게 해주는 서비스
□ 기타 문의사항
o 한국인터넷진흥원 인터넷침해대응센터: 국번없이 118
[참고사이트]
[1] https://github.com/edwardz246003/IIS_explo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