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보호 (Security)424

728x90
크리덴셜 스터핑: 당신의 비밀번호를 노리는 자동 공격 “3단계 보안 습관” 한 번의 로그인으로 무너지는 일상 “비밀번호 재사용이 왜 위험할까?” 현실 사례로 보는 크리덴셜 스터핑 요즘 급증하고 있는 크리덴셜 스터핑(Credential Stuffing) 공격을 일반 이용자 관점에서 이해하고, 실제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보안수칙을 알아봅니다. 복잡한 보안 용어는 쉬운 설명으로, 필요한 조치는 체크리스트로 담았습니다.1. 크리덴셜 스터핑이 뭐예요?유출된 아이디·비밀번호(자격 증명, Credential)를 공격자가 자동 프로그램으로 여러 사이트에 마구 대입(Stuffing) 하며 로그인에 성공하는 공격이에요. 왜 위험할까요?많은 사람이 여러 사이트에서 같은 비밀번호를 써요.과거에 A사이트에서 유출된 비밀번호가, B·C사이트에도 통하면 한 번에 여러 계정이 털릴 수 있어요.자동화 도구.. 2025. 10. 24.
정보보호 거버넌스 중심의 ESG 경영관리 평가체계 및 보안 평가항목 가이드 ESG(환경(Environment)·사회(Social)·지배구조(Governance)) 경영관리에서 평가항목은 표준화된 틀은 없지만, 주요 ESG 평가 기관 및 국내 가이드라인들을 참고하면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핵심 항목들이 있습니다. 아래에 ESG 경영관리에서 자주 쓰이는 평가축과 세부항목들을 개념, 점검 포인트, 활용 사례입니다.ESG 평가체계의 기본 구조 및 배경ESG는 비재무 요소를 기업의 지속가능성과 리스크 관리 관점에서 점검하는 틀입니다.다양한 ESG 평가 기관(예: MSCI, Sustainalytics, 국내 한국기업평가, KCGS 등)의 모델이 있으나, 각 기관마다 가중치, 세부지표, 정성평가 방식 등이 다릅니다.국내에서는 K-ESG 자가진단 가이드라인 등도 제시되어 있으며, 27개 사회가치.. 2025. 10. 20.
Dark Web 위협 인텔리전스 운영, 다크웹 유출 모니터링 대응 플레이북 개요와 배경① 정의다크웹 모니터링은 Tor·I2P 기반 마켓/포럼/채널, 크랙/덤프 저장소, 초대형 Paste/텔레그램 등 비가시 채널에서 자사 관련 노출 징후(계정, 소스코드, DB 덤프, 내부명, 설계문서, 액세스 토큰 등)를 탐지·경보·대응하는 활동입니다.② 왜 필요한가침해 후 데이터 재유출·2차 협박을 사전 포착고객/파트너 데이터 유출 시 법규 통지·완화 근거 확보공격자 TTP·유통 가격·구매자 반응 등 위협 인텔리전스 보강③ 한계전체 커버리지 불가(폐쇄 포럼, 초대제, 휘발성 링크)미탐/오탐 존재 → 지속 튜닝과 인력 개입이 필수툴 분류와 선택 기준① 제품 유형(혼합 사용 권장)엔드투엔드형 플랫폼: 수집+분석+알림+대응 연계가 일체형데이터 피드형: 다크웹 인텔 데이터/API만 제공(내부 SIEM.. 2025. 10. 13.
피싱 사이트 식별 체크리스트와 실전 명령어(WHOIS, TLS, HTML 분석) TL;DR 체크리스트도메인 유사도(typosquatting/IDN)·등록일이 최근인지 확인HTTPS/인증서 체인·SAN·발급일/만료일 이상 여부폼(action) 전송 대상이 현재 도메인과 다른지 확인JS 난독화(atob/eval/fromCharCode)·클립보드/키보드 후킹·우클릭 차단onpaste 금지, autocomplete=off 등 비정상 UX 패턴리다이렉션 다단계·URL 단축기·Referrer 불일치리소스 도메인 혼종(정상 CDN/로고 + 공격자 도메인으로 전송)콘텐츠 품질(오타·번역체·어색한 로고, 이미지로 된 텍스트)사회공학 프리텍스트(계정정지/환급/택배비·QR·콜백 유도)조치: 차단(IoC) → 로그확인(접속·POST) → 계정/토큰 무효화 → 신고/테이크다운분류 체계기술적 관점: 도메인/.. 2025. 10. 10.
금융보안원 “금융권 SW 공급망 보안 플랫폼” SBOM·버그바운티·통합관리 한눈에 보는 핵심 요약무엇을 하나요?금융보안원이 「금융권 SW 공급망 보안 플랫폼」을 2025년 하반기 구축, 2025년 말 시범 운영, 2026년 본격 운영을 추진합니다. 목표는 취약점 통합관리와 정보공유를 통해 패치 갭(패치 발표~적용 사이 시간)을 최소화하고, 금융권 자율보안 생태계를 조성하는 것입니다.핵심 기능은?취약점 통합관리: 패치 개발→검증→배포→적용 전 과정을 원스톱으로 관리하고 신속 공유.SBOM 관리체계: 배포·사용 SW의 구성요소 명세(SBOM)를 기반으로 신규 취약점 영향도 즉시 분석.버그바운티(VDP 포함): 제보 보상 및 공개 정책으로 제로데이 발굴과 안전한 신고 문화 활성화.누가 함께하나요?금융사·SW 개발사·화이트해커가 보안 파트너로 참여하는 오픈 플랫폼, 그리고 금감원·KI.. 2025. 10. 4.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