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안솔루션8

기업 보안 위협을 키우는 잘못된 통념, 흔한 착각과 대응 전략 IT 환경에서 자주 오해하거나 방치되는 “ 잘못된 통념”에 대한 각 항목마다 보안 관점에서 고려해야 할 점검 포인트와 실무적인 활용사례를 통해 조직 내 보안 수준을 한층 높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1. "우리는 해킹 대상이 아니다."중소기업, 비영리 단체, 개인 등 규모나 성격이 작거나 특별하지 않다고 여겨 스스로 해커의 관심 대상에서 벗어난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음문제점랜섬웨어: 무차별 공격 대상 중 하나로 누구든 걸릴 수 있음공급망 공격: 협력사나 하청사로 침투하여 최종 타깃을 공격하는 방식 증가봇넷용 좀비화: 취약한 시스템은 악성코드에 감염되어 다른 공격을 위한 중계점(Proxy)로 악용될 수 있음개선 방안위험 기반 접근(Risk-based Approach) 도입자산 식별 → 위협 및 취약점.. 2025. 2. 8.
네트워크 장비, 보안솔루션 이벤트 메일수신 자동화 활용 방안 네트워크 장비나 보안솔루션 등 이벤트나 정기적인 리포트를 메일로 발송해주는 기능은 기본적으로 존재합니다.하지만, 메일을 자주 사용하지 않은 경우 놓치거나 잘 활용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메일서버 없이 메일을 수신받고 해당 정보를 내부적으로 운영중인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이나 다양한 클라우드 알람 서비스로 자동화 활용하기 위한 방법으로 간단하게 Python을 통해서 예시를 만들어 보고자 합니다. Python을 사용하여 메일 발송 서버와 같이 데몬으로 25번 포트를 대기하고 메일 발송 요청이 수신되면 실제로 메일을 발송하지 않고 로그로 기록하는 코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간단한 SMTP 서버를 구현하는 것입니다. smtpd 모듈을 사용하여 이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먼저 smtpd 모듈을 가.. 2023. 9. 15.
2021년 랜섬웨어 스페셜 리포트 (최근동향, 공격사례, 대응전략) 1. 랜섬웨어의 최근 동향 1.1 랜섬웨어 동향 및 시사점 1.2 랜섬웨어의 확산 1.3 랜섬웨어의 공격 벡터 1.4 랜섬웨어 공격 사례 2. 랜섬웨어에 대한 이해 2.1 랜섬웨어의 종류별 특징 2.2 랜섬웨어의 공격 시나리오 2.3 랜섬웨어의 기술적 대응과 한계 3. 기업 담당자의 눈으로 바라본 랜섬웨어 3.1 설문조사 개요 및 요약 3.2 세부 조사결과 3.3 설문조사 총평 4. 랜섬웨어 방어 및 대응 전략 4.1 랜섬웨어의 관리적 대응 방안 4.2 랜섬웨어의 기술적 대응 방안 4.3 랜섬웨어의 감염 분석 4.4 랜섬웨어 대응을 위한 투자 전략 4.5 랜섬웨어 공격 피해 최소화를 위한 사후 대응 전략 5. 랜섬웨어 전용 솔루션에 대한 고찰 5.1 랜섬웨어 기본 점검항목 5.2 랜섬웨어 대응 솔루션들 .. 2021. 9. 2.
중소기업 랜섬웨어 보안강화 지원확대 금품 요구 악성프로그램(랜섬웨어) 대응 역량 결집, 안전한 디지털전환과 뉴딜지원 - 관계부처 합동 「금품요구악성프로그램(랜섬웨어) 대응 강화방안」, 기반시설, 중소기업 보안 강화 추진 - ▶국가중요시설 : 기반시설 지정 확대 및 정부출연연구원 등 보안 강화, ‘소프트웨어개발보안 중심지’ 구축 등 소프트웨어 공급망 보안 제고 등 ▶중소기업 지원확대 : ‘데이터금고’ 보급으로 중소기업 복사본(백업) 지원, ‘금품 요구 악성프로그램 대응 3종 묶음(패키지)’ 지원 등 ▶일반국민 : 컴퓨터(PC) 원격점검 ‘내 컴퓨터 돌보미 서비스’ 지원 등 ▶정보공유 : 산업분야 간, 국가 간 금품요구악성프로그램 정보공유 활성화 ▶피해지원‧수사강화 : ‘전국단위 피해지원 체계’, ‘전담수사체계’ 구축 ▶핵심기술력 확보 : 해.. 2021. 8. 11.
웹셸 탐지 및 방어 솔루션 해킹당한 웹서버 중 90% 이상 웹서버에서 웹셸 발견 웹 보안의 기본은 웹셸 탐지 및 방어...웹셸 방어 솔루션 살펴보니http://www.boannews.com/media/view.asp?idx=46468&kind=0 KISA 인터넷침해대응센터에 따르면, 해킹당한 웹서버 중 웹셸이 발견된 웹서버는 90% 이상이다. 지난해 2월 26일 의사협회 8만명, 치과의사협회 5만 6천명, 한의사협회 2만명 등 총 15만 6천명의 개인정보가 유출됐다. 이 3개 협회 홈페이지는 공격자가 악성코드를 웹사이트에 심어서 관리자 권한을 획득한 후, 웹셸을 이용해 개인정보를 탈취한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3월 7일 113만명의 개인정보가 유출된 티켓몬스터의 경우에도 공격자가 홈페이지 게시판 등에 웹셸을 심어 해킹했다. 이와.. 2015. 6. 9.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