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운영체제 (LNX,WIN)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인프라 Ansible과 Terraform 활용 자동화 관리

by 날으는물고기 2024. 3. 17.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인프라 Ansible과 Terraform 활용 자동화 관리

인프라 스트럭처 관리와 자동화를 위해 널리 사용되는 도구 중 대표적으로 Ansible과 Terraform이 있습니다. 이 두 도구는 기능적으로 유사해 보일 수 있지만, 사용 사례와 접근 방식에서 중요한 차이점이 있습니다.

Ansible

  • 유형: 구성 관리 및 자동화 도구.
  • 개발자/회사: Red Hat.
  • 주요 사용 사례: 소프트웨어 배포, 서버 구성 관리, 그리고 운영 체제 및 애플리케이션 구성 요소의 상태 관리.
  • 작동 방식: Agentless 아키텍처를 사용하여, 중앙 서버에서 SSH를 통해 대상 서버에 명령을 전송합니다. YAML을 사용한 선언적 언어로 플레이북을 작성하여 작업을 정의합니다.
  • 장점: 간단하고 사용하기 쉬운 문법, 즉각적인 시작이 가능하며, 다양한 플랫폼 및 서비스와의 호환성이 뛰어납니다.
  • 단점: 상태 관리와 복잡한 종속성 관리에 있어서 Terraform에 비해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Terraform

  • 유형: 인프라스트럭처를 코드로 관리(IaC) 도구.
  • 개발자/회사: HashiCorp.
  • 주요 사용 사례: 클라우드 인프라스트럭처의 프로비저닝 및 관리. AWS, Google Cloud Platform, Microsoft Azure 등 다양한 클라우드 제공 업체의 리소스를 관리하는 데 사용됩니다.
  • 작동 방식: Declarative configuration language를 사용하여 인프라를 정의합니다. Terraform은 이 구성 파일을 사용하여 지정된 인프라 상태를 달성하기 위한 계획을 생성하고 실행합니다.
  • 장점: 클라우드 독립적인 인프라 관리, 강력한 상태 관리 및 종속성 해결 능력을 제공합니다. 다양한 클라우드 제공 업체와 서비스를 거의 무제한으로 지원합니다.
  • 단점: 초기 학습 곡선이 더 높을 수 있으며, 구성 관리에 비해 직접적인 지원이 덜합니다.

차이점 및 활용 유형

  • 접근 방식: Terraform은 인프라를 코드로 관리하는 IaC 접근 방식을 취하며, 클라우드 서비스의 프로비저닝과 관리에 중점을 둡니다. 반면, Ansible은 구성 관리와 애플리케이션 배포에 더 초점을 맞춥니다.
  • 상태 관리: Terraform은 인프라의 현재 상태를 추적하고, 이상적인 상태로 만들기 위한 변경 사항을 계획하고 적용하는 강력한 상태 관리 기능을 제공합니다. Ansible은 상태를 추적하지 않으며, 명령 실행 시 기대하는 상태를 선언적으로 정의합니다.
  • 용도: Terraform은 클라우드 인프라의 생성 및 관리에 더 적합하며, Ansible은 기존 인프라 내에서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고 구성하는 데 더 적합합니다.

 

두 도구는 서로 보완적일 수 있으며, 많은 조직에서는 클라우드 인프라를 프로비저닝하기 위해 Terraform을 사용

한 다음, Ansible을 사용하여 해당 인프라 위에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를 배포하고 관리합니다. 이러한 통합 접근 방식은 인프라와 애플리케이션 수준에서의 자동화와 관리를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온프레미스(On-premises) 인프라와 클라우드 서비스를 함께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클라우드(Hybrid Cloud) 접근 방식은 조직의 IT 인프라가 유연성, 확장성, 비용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이러한 환경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최적화하기 위해서는 전략적 계획과 실행이 필요합니다. 다음은 온프레미스와 클라우드 환경을 함께 사용할 때 고려해야 할 몇 가지 주요 전략입니다.

1. 요구 사항 및 목표 파악

  • 비즈니스 및 기술적 요구사항 이해: 애플리케이션과 데이터의 특정 요구 사항(보안, 컴플라이언스, 성능 등)을 파악합니다.
  • 장기적인 IT 목표 설정: 비즈니스 성장, 비용 절감, 운영 효율성 등 장기적인 목표에 기반한 전략을 수립합니다.

2. 데이터 및 애플리케이션 분류

  • 애플리케이션 및 데이터 인벤토리: 온프레미스와 클라우드에서 실행할 애플리케이션과 데이터를 분류합니다.
  • 마이그레이션 적합성 평가: 특정 애플리케이션과 데이터를 클라우드로 이전할지, 온프레미스에 유지할지 결정합니다.

3. 통합 및 호환성 확보

  • 네트워크 연결성: 온프레미스 데이터 센터와 클라우드 환경 간의 안정적이고 보안된 연결성을 확보합니다.
  • API 및 인터페이스 관리: 다양한 환경에서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가 원활하게 통신할 수 있도록 API와 인터페이스를 관리합니다.

4. 보안 및 컴플라이언스

  • 보안 정책 통합: 데이터 보호, 액세스 제어, 암호화 등을 포함한 일관된 보안 정책을 적용합니다.
  • 컴플라이언스 준수: 업계 표준 및 법적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지 확인합니다.

5. 비용 관리 및 최적화

  • 비용 모니터링 및 분석: 클라우드 리소스 사용량을 모니터링하고, 비용을 최적화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합니다.
  • 온디맨드 및 예약 인스턴스 활용: 비용 효율적인 클라우드 리소스 관리를 위해 온디맨드, 예약 인스턴스, 스팟 인스턴스 등을 적절히 활용합니다.

6. 자동화 및 오케스트레이션

  • 인프라 자동화 도구 활용: Terraform, Ansible 등의 도구를 사용하여 인프라 관리를 자동화합니다.
  • CI/CD 파이프라인 구축: 지속적인 통합(CI) 및 지속적인 배포(CD)를 위한 파이프라인을 구축하여 애플리케이션의 배포 및 업데이트를 자동화합니다.

7.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평가

  • 성능 및 가용성 모니터링: 시스템의 성능과 가용성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합니다.
  • 피드백 및 개선: 사용자 및 시스템 피드백을 기반으로 지속적인 개선을 추진합니다.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환경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전략을 체계적으로 실행하고, 지속적으로 환경을 평가 및 조정해야 합니다. 이는 비즈니스의 변화하는 요구 사항을 충족하고, 기술 발전에 따라 인프라를 최적화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