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버구축 (WEB,DB)

x86 솔라리스10 오라클 10g 설치 (Oracle 10g Installation)

by 날으는물고기 2009. 6. 12.

x86 솔라리스10 오라클 10g 설치 (Oracle 10g Installation)

728x90

[출처정보]
작성자 : 썬구루, 
http://cafe.naver.com/symantecedu 카페
소   속 : 바쉬텍 교육센터 ( http://www.vashtechedu.com )

솔라리스10 기반의 오라클 10g 를 설치하는 방법을 올려 놓습니다.
오라클 공부하시는데 많은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

------------- 설치환경 ------------
OS : VMware 기반의 솔라리스10 x86
메모리 : 720M
HDD : 15GB

1. /etc/system 커널초기화 파일

# vi /etc/system  (수정후 리부팅이 한번 필요)

/etc/system 파일
set shmsys:shminfo_shmmax=4294967295
set shmsys:shminfo_shmni=100
set semsys:seminfo_semmni=100
set semsys:seminfo_semmsl=256
set rlim_fd_cur=1024
set rlim_fd_max=8196

-- /etc/system 파일 설명 --
shmsys:shminfo_shmmax : 단일 공유메모리의 세그먼트(segment) 크기를 지정한다.
shmsys:shminfo_shmmni : 생성 될 수 있는 공유메모리 세그먼트의 개수
semsys:seminfo_semmni : 세마포어 식별자의 최대개수.
semsys:seminfo_semmsl : 세마포어 식별자당 System V 세마포어 최대개수.
rlim_fd_cur : 하나의 프로세스가 열수있는 파일 디스크립터 ( File Descriptor ) 의 soft limit 를 정의한다.
rlim_fd_max : 하나의 프로세스가 열수있는 파일 디스크립터 ( File Descriptor ) 의 hard limit 를 정의한다. 

2. oracle 계정생성

# groupadd dba
# useradd -s /bin/ksh -g dba -m -d /oracle oracle

3. oracle 계정 쉘 초기화파일 생성 ( .profile )

# su - oracle
$ vi .profile
export ORACLE_BASE=/oracle
export ORACLE_HOME=$ORACLE_BASE/product/10g
export ORACLE_SID=vashtech
export DISPLAY=:0.0
export ORA_NLS33=$ORACLE_HOME/ocommon/nls/admin/data
export NLS_LANG=AMERICAN_AMERICA.KO16KSC5601
export NLS_DATE_FORMAT='YYYY-MM-DD:HH24:MI:SS'
export LD_LIBRARY_PATH=$ORACLE_HOME/lib:/usr/lib:/usr/share/lib
export PATH=$ORACLE_HOME/bin:/usr/local/bin:/usr/bin:/usr/sbin:/usr/ccs/bin
export EDITOR=vi
set -o vi

4. 오라클 다운로드

오라클은 아래와 같은 웹에서 다운로드를 받을 수 있다. 물론 가입을 해야 한다.
가입 없이 요즘은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것이 없을 정도 이다. ^^

http://www.oracle.com 

5. xhost 설정

root 계정으로 xhost에 대한 정의를 한다.
oracle 계정으로 오라클 설치시 DISPLAY 변수의 해결을 하기 위해 사용한다. 

6. 오라클 ( Oracle 10g ) 설치

오라클 설치파일을 모두 받았다면 ftp를 사용하여 솔라리스10 시스템으로 업로드 한다.
그리고 그 파일을 풀면 database라는 디렉토리가 생성이 되며 관련 파일들이 풀리도록 되어 있다.
그 디렉토리의 runInstaller 라는 실행파일을 실행하여 오라클 설치를 시작한다. 






거의 설치 마무리 단계이다. 아래와 같은 스크립트를 root 계정으로 실행한다.


오~! 설치종료~! 설치가 다 되었으면 자동으로 오라클 프로세스가 시작이 되어 있다.


보통은 일반적인 연습을 위해 hr 계정을 사용한다. 그리고 이 계정은 lock이 걸려져 있다.
그래서 다음과 같은 명령을 사용하여 풀어 준다.

hr 계정으로 로그인하여 테스트를 해보자. 자신이 가지고 있는 테이블에 대한 정보를 보기 위해
아래와 같은 명령을 사용할 수 있다.

음.. 이제 부터 오라클 공부의 시작인가? 설치를 하니 다시 공부의 출발점이 군요.
운영체제나 기타 응용프로그램의 학습에 대한 출발점은 모두 설치이죠.
열공을 해서 데이터베이스를 마스터 하시길.. 

여러분의 데이터베이스 학습의 성공적인 출발을 기원하며...


728x90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