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운영체제 (LNX,WIN)621

M2Soft ActiveX 보안 업데이트 권고 □ 개요 o M2soft社의 Report Designer 5.0 및 CROWNIX Report & ERS 6.0 제품(리포트 출력기능)에서 임의 코드 실행이 가능한 취약점이 발견 o 낮은 버전의 M2Soft ActiveX 사용자는 악성코드 감염 등의 피해를 입을 수 있으므로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 설치 및 적극적인 대처 필요 □ 내용 o 영향을 받는 제품 - Crownix Report 6.0, Report Designer 5.0(5.0.0.163 이상) ※ RDVistaSupport.dll 1.0.0.20 이하 버전을 사용하는 ActiveX □ 해결 방안 o (서비스 이용자) 인터넷 익스플로러(IE)를 사용하여 아래 링크 클릭 후 보안 업데이트 패치를 직접 실행하여 RDVistaSupport.dll을 최신.. 2017. 6. 1.
SMB 취약점을 악용한 랜섬웨어 방지 대국민 행동 요령 □ 랜섬웨어 방지 대국민 행동 1) PC를 켜기 전 네트워크 단절 - 랜선 뽑기 - 와이파이 끄기 2) 감염 경로 차단 - 방화벽 설정 변경 3) 인터넷 재연결 후 보안 업데이트 - 윈도우 보안 패치 실행 - 백신 프로그램 업데이트 □ 파일 공유 기능 해제 - 방화벽 설정 o Window 방화벽에서 SMB에 사용되는 포트 차단 1) 제어판 → 시스템 및 보안 2) Windows 방화벽 → 고급 설정 3) 인바운드 규칙 → 새규칙 → 포트 → 다음 4) TCP → 특정 로컬 포트 → 139, 445 → 다음 5) 연결 차단 → 다음 6) 도메인, 개인, 공용 체크 확인 → 다음 7) 이름 설정 → 마침 출처 : http://www.boho.or.kr/data/secNoticeView.do?bulletin_.. 2017. 5. 15.
MS 5월 보안 위협에 따른 정기 보안 업데이트 □ 5월 보안업데이트 개요(총 10종) o 발표일 : 2017.05.10.(수) o 등급 : 긴급(Critical) 8종, 중요(Important) 2종 o 업데이트 내용제품군중요도영향KB번호Windows 10, Server 2016, Edge긴급원격코드실행4016871 등 4개Windows 8.1, RT 8.1, Server 2012 R2긴급원격코드실행4019215Windows Server 2012긴급원격코드실행4019214Windows 7, Server 2008 R2긴급원격코드실행4019264Windows Server 2008긴급원격코드실행4018196 등 9개Internet Explorer긴급원격코드실행4016871 등 8개.NET Framework중요인증우회4016871 등 8개Office, Of.. 2017. 5. 12.
MS 4월 보안 위협에 따른 정기 보안 업데이트 이미 한 달 동안 악용된 워드 제로데이, 패치 나왔다http://www.boannews.com/media/view.asp?idx=54229&kind=4OLE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CVE-2017-0199 취약점 이미 여러 멀웨어와 결합된 채 활발히 악용되고 있어...패치 필수 □ 4월 보안업데이트 개요(총 10종) o 발표일 : 2017.04.12.(수) o 등급 : 긴급(Critical) 9종, 중요(Important) 1종 o 업데이트 내용 KB번호중요도발생 위치영향KB 2589382긴급Office, Office Services, Web Apps원격 코드 실행KB 3211308긴급Windows Vista, Server 2008원격 코드 실행KB 4014661긴급Internet Explorer원격 코드.. 2017. 4. 13.
Adobe Flash Player 신규 취약점 보안 업데이트 □ 개요 o Adobe社는 Flash Player에서 발생하는 취약점을 해결한 보안 업데이트를 발표[1] o 낮은 버전 사용자는 악성코드 감염에 취약할 수 있으므로 해결방안에 따라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권고 □ 설명 o 임의 코드 실행으로 이어질 수 있는 BOF 취약점(CVE-2017-2997) o 임의 코드 실행으로 이어질 수 있는 메모리 손상 취약점(CVE-2017-2998, CVE-2017-2999) o 임의 코드 실행으로 이어질 수 있는 use-after-free 취약점(CVE-2017-3001, CVE-2017-3002, CVE-2017-3003) o 정보 노출로 이어질 수 있는 난수 생성 관련 취약점(CVE-2017-3000) □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 o Adobe Flash Player소프.. 2017. 3.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