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운영체제 (LNX,WIN)697

728x90
nProtect Netizen v5.5 원격코드 실행 취약점 보안 업데이트 개요은행/증권사/게임사 등에서 보안 목적으로 배포되는 nProtect Netizen v5.5에서 외부 공격에 의하여 원격코드가 실행되는 취약점이 발견됨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한 웹 페이지를 취약한 nProtect Netizen이 설치된 PC에서 접속할 경우 악성코드에 감염됨이에 따라 과거 은행/증권사/게임사 등을 방문하여 nProtect Netizen가 설치된 경우에는 취약점이 존재하는 버전을 확인하여 삭제하거나 취약점이 없는 버전으로 재설치를 권고함 해당 시스템영향 받는 소프트웨어nProtect Netizen v5.5(2013.5.22.1) 이전 버전버전확인 방법C:\Program Files\INCAInternet\nProtect Netizen v5.5 폴더로 이동64bit 머신 : C:\Program .. 2013. 6. 4.
곰플레이어 원격코드 실행 취약점 보안 업데이트 개요국내 무료 동영상 재생 프로그램인 곰플레이어에서 원격코드 실행 취약점이 발견됨공격자가 특수하게 제작한 웹 페이지를 취약한 곰플레이어 버전 사용자가 열람할 경우, 악성코드에 감염됨낮은 버전의 곰플레이어 사용자는 단순 웹페이지 방문에도 악성코드에 감염될 수 있으므로 해결방안에 따라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 권고 해당 시스템영향 받는 소프트웨어곰플레이어 2,2,52,5151 이전버전 해결방안곰플레이어 2,2,52,5151 이전버전 사용자곰플레이어 홈페이지[1]에 방문하여 곰플레이어 최신 버전을 설치하거나 자동 업데이트를 이용하여 업그레이드 ※ 버전 확인 및 업데이트 : 마우스오른쪽 버튼 → 프로그램 정보 문의사항한국인터넷진흥원 인터넷침해대응센터: 국번없이 118 기타본 취약점은 Krcert 홈페이지를 통해 l.. 2013. 6. 3.
아래한글 임의코드 실행 취약점 보안 업데이트 □ 개요 o 한글과컴퓨터社에서 개발한 워드프로세서인 한/글에서 임의 코드실행이 가능한 취약점이 발견됨 [1] - 공격자는 웹 게시물, 스팸 메일, 메신저의 링크 등을 통해 특수하게 조작된 한글문서(HWP)를 열어보도록 유도하여 임의코드를 실행시킬 수 있음 o 낮은 버전의 사용자는 악성코드 감염에 취약할 수 있으므로 해결방안에 따라 보안업데이트 권고 □ 설명 o GIF 및 PNG 이미지를 처리 과정에서 발생한 임의코드 실행 취약점을 해결한 보안 업데이트 (#7 보안 취약점 개선) □ 해당 시스템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 -한/글 2010 8.5.8.1340 및 이전 버전 -한/쇼 2010 8.5.8.1407 및 이전 버전 -한/셀 2010 8.5.8.1264 및 이전 버전 -한컴오피스 2010 8.5.8... 2013. 5. 31.
System Center Configuration Manager(SCCM) 2012 Microsoft System Center Configuration Manager(SCCM) 2012은 기업 내 다양한 장치와 애플리케이션을 일관되게 관리하고 보안을 유지하며, 동시에 사용자 중심의 유연한 IT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설계된 통합 관리 솔루션입니다. SCCM 2012의 설계 철학은 "IT 소비자화"(Consumerization of IT) 환경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생산성과 만족도를 높이면서도 기업 자산의 통제와 보안을 유지하는 데 초점을 둡니다.배경 및 개요IT 소비자화 시대의 과제직원들이 개인 소유 장치(BYOD)를 업무에 사용하는 사례 증가다양한 OS, 장치 형태, 애플리케이션 요구사항의 등장보안과 컴플라이언스를 유지하면서도 유연하게 대응할 필요해결 방안으로서의 SCCM중앙 집중.. 2013. 5. 28.
Adobe Flash Player 보안 업데이트 □ 개요 o Adobe社는 Adobe Flash Player에 영향을 주는 코드실행 취약점을 해결한 보안 업데이트를 발표[1] o 낮은 버전의 Adobe Flash Player 사용으로 악성코드 감염 등의 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해결방안에 따라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 권고 □ 설명 o Adobe社는 Adobe Flash Player의 13개 취약점을 해결한 보안 업데이트를 발표[1] - 코드실행으로 이어질 수 있는 메모리 손상 취약점 (CVE-2013-2728, CVE-2013-3324, CVE-2013-3325, CVE-2013-3326, CVE-2013-3327, CVE-2013-3328, CVE-2013-3329, CVE-2013-3330, CVE-2013-3331, CVE-2013-3332, C.. 2013. 5. 21.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