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운영체제 (LNX,WIN)699

728x90
인증되지 않은 디지털 인증서 악용으로 인한 피해 주의 개요마이크로소프트(이하 MS) 인증 기관(Microsoft Certificate Authority)으로부터 인증되지 않은 디지털 인증서를 사용한 악용 사례가 발생함 공격자는 공인되지 않은 디지털 인증서를 이용하여, MS社에서 제작된 파일처럼 위장하거나, 피싱, M.I.T.M(Man-In-The-Middle)공격 등에 악용할 수 있어 사용자 주의가 요구됨 해당 시스템영향 받는 환경 - PC 및 모바일 기기에서 동작하는 MS社의 모든 Windows 운영체제 해결방안해당 시스템에 대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취약점 패치 적용하여 다음과 같은 3종의 인증서를 비신뢰 상태로 전환 - Microsoft Enforced Licensing Intermediate PCA 2종 - Microsoft Enforced Licens.. 2012. 6. 5.
MS, 윈도우 8 릴리즈 프리뷰 발표 Windows 8 Release Preview Windows 7(윈도우 7)의 탄탄한 안정성과 속도를 기반으로 탄생한 새로운 개념의 Windows(윈도우)입니다. 전혀 새로운 터치 방식으로 바뀌었습니다. 새로운 장치를 위한 새로운 Windows(윈도우)입니다. 또한 바로 사용하기도 쉽습니다. 처음 설치하는 것이든 Windows 8 Consumer Preview(윈도우 8 컨슈머 프리뷰)에서 가져온 것이든 어렵지 않습니다. 다운로드 : http://windows.microsoft.com/ko-KR/windows-8/download 2012. 6. 1.
2012년 5월 MS 정기 보안업데이트 [MS12-029] Microsoft Word에서 발생하는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코드 실행 문제□ 영향 o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에 대해 완전한 권한 획득□ 설명 o 사용자가 특수하게 조작된 RTF파일을 열람할 경우, 원격코드가 실행될 수 있는 취약점이 존재 o 관련취약점 : - RTF 불일치 취약점(CVE-2012-0183) o 영향 : 원격코드 실행 o 중요도 : 긴급□ 해당시스템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 - Microsoft Office 2003 서비스 팩 3 - Microsoft Office 2007 서비스 팩 2, 3 - Mac환경에서 동작하는 Microsoft Office 2008 - Mac환경에서 동작하는 Microsoft Office 2011 - Microsoft Office 호환기능 팩.. 2012. 5. 9.
Adobe Flash Player 취약점 보안 업데이트 □ 개요 o Adobe社는 Adobe Flash Player에 발생하는 취약점을 해결한 보안 업데이트를 발표[1] o 공격자는 특수하게 조작된 플래시 파일을 웹사이트 및 스팸 메일 등을 통해, 사용자가 열어보도록 유도하여 악성코드 실행 가능 □ 해당 시스템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 - 윈도우, 매킨토시, 리눅스, 솔라리스 환경에서 동작하는 Adobe Flash Player 11.2.202.233 및 이전 버전 - 안드로이드 4.x 환경에서 동작하는 Adobe Flash Player 11.1.115.7 및 이전 버전 - 안드로이드 3.x, 2.x 환경에서 동작하는 Adobe Flash Player 11.1.111.8 및 이전 버전 □ 해결방안 o 윈도우, 매킨토시, 리눅스, 솔라리스 환경의 Adobe Fl.. 2012. 5. 7.
2012년 4월 MS 정기 보안업데이트 [MS12-023] Internet Explorer 누적 보안업데이트 영향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에 대해 사용자와 동일한 권한 획득 설명사용자가 Internet Explorer를 사용하여 특수하게 조작된 웹 페이지를 열람할 경우, 원격코드가 실행될 수 있는 취약점이 존재관련취약점 : - 인쇄 기능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CVE-2012-0168) - JScript9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CVE-2012-0169) - OnReadyStateChange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CVE-2012-0170) - SelectAll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CVE-2012-0171) - VML 스타일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CVE-2012-0172)영향 : 원격코드 실행중요도 : 긴급해당시스템영향 받는 소프트웨어W.. 2012. 4. 12.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