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격10

728x90
포켓몬고 타입별 추천 포켓몬 역할분석 및 상성관계 (상성표) 타입 상성표는 각 타입의 상성 관계를 하나의 표에 나타낸 것이다. 타입이 1개인 포켓몬의 경우는 타입 상성표에 있는 그대로 계산하면 된다. 타입이 2개인 포켓몬은 각 타입의 해당하는 배율을 서로 곱한 결과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불꽃/비행타입인 리자몽에게 바위타입의 기술을 사용하면 불꽃타입과 비행타입 각각 2배의 데미지를 받기 때문에 총 4배의 데미지를 받게 된다. 반대로 리자몽에게 땅타입의 기술을 사용하면 불꽃타입은 2배, 비행타입은 0배의 데미지를 받기 떄문에 0배의 데미지, 즉 아무런 데미지를 받지 않는다. 2세대에서 강철타입과 악타입이 추가되었고 6세대에서 페어리 타입이 추가되었다. 5세대까지의 강철타입은 고스트와 악 기술에 대해 1/2 데미지를 받았지만, 6세대부터는 1배의 데미지를 받도록 변경.. 2021. 4. 26.
한국수력원자력 MBR 파괴 악성코드 공격받아 최근 국내 주요 원전시설을 운영하는 한국수력원자력(이하 한수원)이 마스터 부트 레코드(이하 MBR)를 삭제하도록 설계된 악성코드에 감염되어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악성코드는 한글 워드 프로세서(HWP) 취약점을 통해 감염되었으며, 한수원 임직원들이 악성 첨부파일을 실행하도록 하기 위한 다양한 사회공학적 공격 기법이 사용되었습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공격은 임직원들에게 전송된 스피어피싱 이메일에서부터 시작되었으며 첨부파일 실행시 2가지 악성코드를 설치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습니다.MBR 파괴 공격의 감염 경로 악성코드에 대한 설명이 악성코드의 진단명은 TROJ_WHAIM.A이며, 감염된 시스템의 MBR을 파괴합니다. MBR 파괴 이외에도 감염된 시스템에서 특정 파일을 덮어쓰기 하는 기능과 감염된 시스.. 2014. 12. 27.
가장 많이 경험한 사이버공격은? ‘악성코드·멀웨어’ 감염 악성코드·멀웨어, 스미싱, DDoS 공격 등이 가장 많아http://www.boannews.com/media/view.asp?idx=40381&kind=0 가장 많이 경험한 보안위협은 ‘악성코드·멀웨어 감염’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본지가 ‘귀사(하)가 최근 실제 겪었던 보안위협이나 공격은 어떤 것이었나요?’라는 설문으로, 중앙정부·지자체·공공기관·금융기관 및 기업 보안책임자 및 보안담당자 3,876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른 것이다. 860명의 응답자중 가장 많은 352명이 응답해 전체 응답자 중 40.93%를 차지했다. 2014. 3. 31.
“타깃화된 공격의 절반 이상이 금융사기 유발” 체크포인트 보안 설문조사 결과, ‘디도스·봇넷 공격’ 증가 [보안뉴스 김태형] 보안공격을 당한 기업들 중 65%가 금융사기를 목적으로 한 해커들에 의해 사업방해나 지적재산권, 영업 기밀과 같은 중요 정보유출 등의 피해를 겪은 것으로 조사됐다. 체크포인트가 발표한 ‘사이버범죄가 기업에 미치는 영향’에 따르면 기업들은 일주일 평균 66 차례의 새로운 보안 공격을 당하며 이 공격이 성공할 경우 10만 달러에서 30만 달러 상당의 피해가 발생한다고 밝혔다. 기업들에게 가장 큰 위험을 안겨준 주요 공격 유형은 ‘디도스 공격’이 꼽혔다. 최근 사이버범죄자들은 멀웨어, 봇, 기타 여러 유형의 첨단공격을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경제적 이득이나 기업운영 방해에서부터 데이터 탈취나 정치적 목적 등 다양한 이유.. 2012. 5. 29.
2012 기업 정보보안 가이드 v.7 책소개 지난 2011년은 잇따른 대형 보안사고가 발생해 높아진 사이버 위험이 가까이에 도사리고 있음을 증명, 정보보안에 대한 관심을 더욱 높였습니다. 대형 금융기관의 전산장애와 더불어 카드사, 대형 인터넷 포털 등의 대량의 고객 개인정보 유출사고 등이 발생해 충격을 안기고 보안을 사회적 이슈로 부각시켰습니다. 스마트폰, 클라우드 컴퓨팅 등이 유발하는 IT 환경 변화는 기존 정보보안을 보완하는 새로운 방법론의 필요성을 높이고 있으며, 더욱 치열해지는 경쟁 속에서 비용절감과 관리 편의성, 강화된 보안이란 시장의 요구에 대응하기 위한 정보보안 기술 진화 또한 가속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흐름을 반영해 이번 ‘2012 기업 정보보안 가이드 v.7’에서는 클라우드 컴퓨팅, 스마트워크와 같은 IT 환경 변화와 이러한.. 2012. 2. 28.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