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이버13 728x90 2010년 8월 MS 정기 보안업데이트 권고 [MS10-047] Windows Kernel 취약점으로 인한 권한 상승 문제 □ 영향 o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을 서비스 거부상태로 만들거나 시스템에 대한 완전한 권한 획득 □ 설명 o Windows 커널 내부에서 객체 초기화 및 접근권한에 대한 유효성 검사과정에 취약점이 존재 ※Windows 커널 : 윈도우즈 운영체제 내부의 핵심 구성요소 o 공격이 성공하면 공격자는 영향 받는 시스템을 서비스 거부상태로 만들거나 완전한 권한 획득 가능 ※ 공격자는 유효한 로그온 계정을 가지고 있는 상태에서 로컬에서만 공격이 가능함. 원격에서 또는 익명의 사용자로는 공격이 불가능함 o 관련취약점 : - Windows Kernel Data Initialization Vulnerability - CVE-2010-188.. 2010. 8. 11. 2010년 7월 마이크로소프트 보안 공지 오늘 (7월 14일) 마이크로소프트는 4개의 보안 공지를 발표했습니다. MS10-042 (긴급) 도움말 및 지원 센터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 (2229593) - Windows XP, Windows Server 2003 MS10-043 (긴급) Canonical Display Driver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 (2032276) - Windows 7 (x64), Windows Server 2008 R2 (x64) MS10-044 (긴급) Microsoft Office Access ActiveX 컨트롤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 (982335) - Access 2003, Access 2007 MS10-045 (중요) Microsoft Office Outlo.. 2010. 7. 14. 윈도우 악성코드 감염시 조치방법 다음의 악성코드에 감염되면 재부팅시 정상적으로 부팅이 되지 않습니다. 1. 악성코드에 감염되면 다음과 같은 경로에 파일을 생성합니다. (윈도우 폴더)\(랜덤한 네임).dat (Trojan.Win32.Delf.18432) 2. 다음의 악성코드를 드라이버 관련 레지스트리에 생성합니다.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 NT\CurrentVersion\Drivers32] "midi9"="(시스템 폴더)\..\(랜덤한 네임).dat 0yAAAAAAAA" 3. 재부팅시 정상적으로 부팅이 되지 않습니다. 1. 정상 시스템에 감염된 시스템의 하드를 Slave 로 연결 후 부팅합니다. 2. 레지스트리 편집기(시작→실행→regedit)를 실행합니다. 3. HKEY_LOC.. 2010. 2. 11. 이전 1 2 3 다음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