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도스9 728x90 DDoS 공격 대응 가이드 디도스_공격_대응_가이드_최종본.pdf PART 1 개요 Ⅰ. 증가하는 DDoS 공격의 위협 Ⅱ. DDoS 공격이란? PART 2 공격유형 및 대응 방안 Ⅰ. DDoS 공격형태 Ⅱ. 대역폭 공격 (1) – UDP, ICMP Flooding 대역폭 공격 (2) – DRDoS (Distributed Reflection Denial of Service) Ⅲ. 자원 소진 공격 Ⅳ. 웹/DB 부하 공격 PART 3 대응 프로세스 Ⅰ. DDoS 예방대책 Ⅱ. DDoS 방어대책 □ 작성 : 침해대응단 탐지대응팀 출처 : KISA 2021. 8. 24. 새로운 형태의 디도스 공격 발견 ‘Tsunami SYN Flood Attack’ 패킷당 1000bytes의 트래픽 유발일반적인 SYN 패킷 25배 크기로 패킷 데이터양 추가해 공격http://www.boannews.com/media/view.asp?idx=43654&skind=O ▲공격대상별 공격비율Tsunami SYN-Flood Attack은 주로 ISP나 게임 회사의 데이터센터를 공격했으며 4~5Gbps의 공격이 발생했다. 기존 SYN flood Attack은 패킷당 40~60bytes의 트래픽을 유발하는데 반해 Tsunami SYN-Flood Attack은 패킷당 1000bytes의 트래픽을 유발한다.[출처]1. http://itsecuritynews.info/2014/10/12/tsunami-syn-flood-ddos-attac.. 2014. 10. 28. “타깃화된 공격의 절반 이상이 금융사기 유발” 체크포인트 보안 설문조사 결과, ‘디도스·봇넷 공격’ 증가 [보안뉴스 김태형] 보안공격을 당한 기업들 중 65%가 금융사기를 목적으로 한 해커들에 의해 사업방해나 지적재산권, 영업 기밀과 같은 중요 정보유출 등의 피해를 겪은 것으로 조사됐다. 체크포인트가 발표한 ‘사이버범죄가 기업에 미치는 영향’에 따르면 기업들은 일주일 평균 66 차례의 새로운 보안 공격을 당하며 이 공격이 성공할 경우 10만 달러에서 30만 달러 상당의 피해가 발생한다고 밝혔다. 기업들에게 가장 큰 위험을 안겨준 주요 공격 유형은 ‘디도스 공격’이 꼽혔다. 최근 사이버범죄자들은 멀웨어, 봇, 기타 여러 유형의 첨단공격을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경제적 이득이나 기업운영 방해에서부터 데이터 탈취나 정치적 목적 등 다양한 이유.. 2012. 5. 29. 좀비PC 예방법 보호나라 방송 다시보기 좀비PC 당신을 노린다 이번 정보보호 다큐멘터리「좀비PC 당신을 노린다」에서는 스마트폰 등 IT서비스의 생활 속의 순기능, 사이버 피해사례 재연 등 좀비PC의 위험성, DDoS 공격에 의한 쇼핑몰 피해사례 등 디도스 공격 형태 및 악성코드 암시장 현장, 인터넷침해대응센터 개소, 사이버 대피소 신설 등 정부의 대응 활동과 국내외 전문가 인터뷰 등이 국내외 현장취재를 통해 생생하게 제시되고 있다. 국민들이 사용하고 있는 PC가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좀비PC가 되어 범죄에 악용되고 있다는 것을 국민들이 보다 실감나게 인식하고, 평소 생활속에서 정보보호를 실천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다.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서 운영하고 있는 보호나라(www.boho.or.kr)에서는 좀비PC 예방을 위한 7가지 방법에.. 2011. 1. 8. Zombie 기반 대규모 DDoS의 실체와 대응 전략 – 7.7 사건 중심 분석 2009년 7월 7일, 한국과 미국의 주요 정부 및 금융기관 웹사이트가 전례 없는 대규모 DDoS(Distributed Denial of Service) 공격을 받았습니다. 이른바 “7.7 대란”으로 불리는 이 사건은 단기간에 전 세계적으로 보안 경각심을 불러일으켰으며, 공격 규모와 방식, 파급력 모두 과거 사례를 뛰어넘는 초유의 사건이었습니다.Cisco는 이 사건 직후 웹세미나를 통해 상세한 공격 분석 및 방어 솔루션을 공유했으며, 다음은 그 내용을 정리한 종합 요약입니다.⏱️ 7.7 DDoS 요약 분석1. 시간대별 공격 시나리오1차 공격 (7월 4일): 미국 정부 웹사이트 다수 대상2차 공격 (7월 7일): 한국 주요 금융, 포털, 언론사 웹사이트 타깃3차 공격 (7월 9일): 미국/한국 추가 사이트.. 2009. 9. 29. 이전 1 2 다음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