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격코드실행161 Adobe Reader & Acrobat 보안 업데이트 Adobe 보안 업데이트 - Adobe Reader 9.3.3 (8.2.3) 버전 및 하위 버전 - Adobe Acrobat 9.3.3 (8.2.3) 버전 및 하위 버전 업데이트: Reader 9.3.4 - http://get.adobe.com/kr/reader/ Acrobat 9.3.4 - http://www.adobe.com/kr/products/acrobatpro/tryout.html 참고: http://www.adobe.com/support/security/bulletins/apsb10-17.html ※ 본 보안 업데이트는 각각 지난 7월 5일 및 8월 5일에 "PDF Reader의 보안위협에 따른 권고"[2] 및 "Adobe Reader/Acrobat 신규 원격코드실행 취약점 주의"[3]라는 제.. 2010. 8. 20. 2010년 8월 MS 정기 보안업데이트 권고 [MS10-047] Windows Kernel 취약점으로 인한 권한 상승 문제 □ 영향 o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을 서비스 거부상태로 만들거나 시스템에 대한 완전한 권한 획득 □ 설명 o Windows 커널 내부에서 객체 초기화 및 접근권한에 대한 유효성 검사과정에 취약점이 존재 ※Windows 커널 : 윈도우즈 운영체제 내부의 핵심 구성요소 o 공격이 성공하면 공격자는 영향 받는 시스템을 서비스 거부상태로 만들거나 완전한 권한 획득 가능 ※ 공격자는 유효한 로그온 계정을 가지고 있는 상태에서 로컬에서만 공격이 가능함. 원격에서 또는 익명의 사용자로는 공격이 불가능함 o 관련취약점 : - Windows Kernel Data Initialization Vulnerability - CVE-2010-188.. 2010. 8. 11. [MS10-046]윈도우 쉘 .lnk 관련 MS 긴급 보안업데이트 권고 ※ 지난 7월 19일 공지한 “MS 윈도우 쉘 .lnk(바로가기) 취약점 주의"에 대한 MS 긴급 보안업데이트[MS10-046]가 발표되었으니, 조속히 패치하시기 바랍니다. [MS10-046] MS 윈도우 쉘 .lnk(바로가기)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코드실행 문제 □ 영향 o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에 대해 완전한 권한 획득 □ 설명 o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바로가기 아이콘에 설정된 내용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임의의 코드가 실행되는 원격코드실행 취약점이 발생함 ※ 바로가기: 자주 사용하는 문서나 프로그램을 가장 편리한 장소에서 빠르게 사용하기 위해 바탕화면 등에 설치하는 작은 아이콘 o 공격자는 특수하게 조작된 바로가기 아이콘이 보이도록 유도함. 공격이 성공하면 공격자는 영향 받는 시스템에 대해 완전한 권한.. 2010. 8. 3. MS 윈도우 쉘 .lnk(바로가기) 취약점 긴급 보안 패치 예정 한국 시간 8월 3일 화요일 새벽, 마이크로소프트는 신규 보안 공지 1건을 긴급하게 발표할 예정입니다. 현재 악성 코드의 공격을 받고 있는 윈도우 XP, 윈도우 서버 2003, 윈도우 비스타, 윈도우 서버 2008, 윈도우 7, 윈도우 서버 2008 R2의 보안 취약점을 해결하기 위한 공지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 보안 권고 2286198에서 설명한 바로 가기 아이콘 .lnk 취약점을 공격하는 악성 코드의 출현 후 추이를 관찰했는데 정기 보안 공지일인 8월 11일보다 앞당겨서 패치를 제공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신규 보안 공지 공지 번호: 보안 공지 1 최대 심각도: 긴급 영향: 원격 코드 실행 시스템 재시작: 필요함 영향을 받는 제품: Windows XP, Windows Server 2003, Windows .. 2010. 8. 2. MS 윈도우 쉘 .lnk(바로가기) 취약점 주의 □ 개요 o 마이크로소프트사(MS)는 윈도우 쉘(Shell)의 .lnk 취약점[1,2]을 발표 o 윈도우 쉘이 특수하게 조작된 바로가기(lnk) 파일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원격코드실행 취약점이 존재함 o 현재 해당 취약점을 이용한 공격이 이루어지고 있고 MS 윈도우의 국내 이용자 비율이 높음으로 이용자 주의 필요 □ 설명 o MS 윈도우의 쉘(Shell) 원격코드실행 취약점 발표 - 윈도우 이용자가 특수하게 처리된 윈도우 바로가기 파일(lnk)을 클릭할 경우 공격자가 의도한 악성코드에 감염될 수 있음 - 해당 취약점은 USB 등의 이동식 저장매체에서도 동작하기 때문에 이동식 저장매체를 통한 전파에 유의 - 현재 MS에서 지원하는 공식 보안 업데이트는 발표되지 않음 □ 영향을 받는 시스템 o 모든 윈도우 버.. 2010. 7. 19. 이전 1 ··· 24 25 26 27 28 29 30 ··· 33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