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취약점470

MS 윈도우즈 MPEG2TuneReuqest ActiveX 제로데이 취약점 주의 □ 개요 o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즈의 비디오 스트리밍을 위한 ActiveX 컨트롤에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이 존재함[1,2] o 현재 해당 취약점을 통해 공격하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음으로 사용자는 신뢰할 수 없는 사이트의 방문을 자제하고 해당 ActiveX 컨트롤을 사용할 수 없도록 설정 □ 설명 o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즈의 비디오 스트리밍을 위한 ActiveX 컨트롤(msvidctl.dll)의 버퍼플로우 취약점 o 마이크로소트프는 본 취약점에 대해 Security Advisory를 발표함 [1] o 공격자는 악의적인 웹 사이트에 사용자가 접속하도록 유도하여 공격자가 심어놓은 코드 실행으로 로그인된 사용자의 권한으로 원격 코드 실행을 할 수 있음 ※ TV 튜너 지원을 제공하는데 사용되는 MPEG2Tune.. 2009. 7. 9.
MS 윈도우의 비디오처리 ActiveX 신규 취약점 유의 ■ 개 요 Micrososft Video ActiveX 컨트롤(msvidctl.dll)에서 원격코드 실행이 가능한 신규(7.7 기준 보안패치 미발표) 취약점이 발표됨에 따라 각급기관 담당자들은 해당 취약점을 악용한 해킹에 대비, 아래의 '임시 대응책'을 조속히 수행할 것을 권고합니다. ■ 해당 시스템 o 영향받는 소프트웨어 - Windows XP SP 2 and Windows XP SP 3 - Windows XP Professional x64 Edition SP 2 - Windows Server 2003 x64 Edition SP 2 - Windows Server 2003 with SP2 for Itanium-based Systems o 영향받지 않는 소프트웨어 - Microsoft Windows 200.. 2009. 7. 8.
Microsoft 보안업데이트(MS09-018 ~ MS09-027) ■ 개 요 MS社는 6월 10일 MS 윈도우 및 Office 등에서 시스템 장악 등 해킹에 악용 가능한 보안취약점 10건(긴급 6, 중요 3, 보통 1)을 발표하였는 바, 각급기관은 해당 시스템에 대한 MS社의 보안 업데이트를 조속히 설치하시기 바랍니다. * 이번 업데이트에는 지난 5.29 공개된 MS DirectX의 취약점에 대한 패치가 포함되지 않았음에 따라 "이메일에 첨부 또는 링크된 QuickTime 동영상 파일(.mov)에 대해 작성자 확인후 열람" 등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보안 업데이트에 포함된 취약점 및 관련 사이트 1. Active Directory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코드 실행 문제점(긴급, 971055) o 설 명 Active Directory에 원격코드 실행 취약점이 존재하여.. 2009. 6. 10.
MS DirectX 취약점으로 인한 해킹피해 주의 ■ 개 요 Micrososft DirectX에서 QuickTime 동영상(.mov)을 처리하는 과정에 원격코드 실행이 가능한 신규 (5.29 현재 패치 미발표) 취약점이 발표됨에 따라 각급기관 담당자들은해당 취약점을 악용한 해킹에 대비, 아래의 '임시 대응책'을 조속히 수행할 것을 권고합니다. * Micrososft DirectX : MS 윈도우의 멀티미디어 처리 프로그램 집합체 * QuickTime : 美 애플社가 개발한 동영상 프로그램 ■ 해당 시스템 o Windows 2000 Service Pack 4 o Windows XP o Windows Server 2003 * 윈도우 Vista 및 Server 2008은 해당사항 없음 ■ 임시 대응 방법 o MS社의 정식 보안업데이트 발표되기 전까지 임시 보.. 2009. 6. 3.
OWASP(Open Web Application Security Project) 10대 취약점 아래는 2004년 자료임. 취약점 환경 설정과 부주의, 취약한 소프트웨어로 인하여 WWW 연결을 통해 보안상 심각한 문제가 유발될 수 있다 . www 서비스는 공개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형태로 설계되었으며, 일반적으로 주요한 내부 자원을 외부에 제공하는 기능을 하도록 설계되었다. 따라서 이전의 외부로 부터의 접근통제가 가능하였던 보안솔루션에 의해 공격자를 막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 하다. OWASP(open web application security project) 10대 취약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검증되지 않은 파라미터의 허용 (Unvalidated Parameters) 웹 요청 정보가 웹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처리되기 이전에 그 요청이 적절한 값인지 여부를 검증하지 않음으로 인해 허가되지 .. 2008. 12.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