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19 728x90 ClamAV 0.98 has been released! ClamAV 0.98 includes many new features, across many different components of ClamAV. There are new scanning options, extensions to the libclamav API, support for additional filetypes, and internal upgrades. - Signature improvements: New signature targets have been added for PDF files, Flash files and Java class files. (NOTE: Java archive files (JAR) are not part of the Java target.) Hash signatur.. 2013. 9. 30. 안랩, APT 공격 대응 솔루션 '트러스와처 2.0' - ATP 공격 원천 봉쇄하는 ‘트러스와처 2.0’ 신제품 국제 컨퍼런스에서 첫 선 - 내부 비밀 프로젝트로 APT 공격 패턴 분석해 신기술 개발 성공 - 세계 최초로 악성문서파일(워드/아래아한글/PDF 등) 통한 공격 탐지 글로벌 보안 기업 안랩(대표 김홍선, www.ahnlab.com, 구 안철수연구소)은 2월 28일,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리는 국제 컨퍼런스인 ‘RSA 2012’에서 세계 최초로 APT 대응 신기술을 탑재한 ‘트러스와처 2.0(AhnLab TrusWatcher 2.0)’ 신제품을 첫 공개했다. IT 본고장인 미국에서 신기술을 첫 발표함으로써 세계적 기술력을 과시한 것이다. *사진 설명 : RSC 컨퍼런스 전시 부스에 선보인 신제품 ‘트러스와처 2.0’ 트러스와처는 안랩의 악성코드 .. 2012. 3. 9. 애플 모바일운영체제(iOS) 신규 취약점 주의 □ 개요 o 최근 애플 아이폰, 아이패드 및 아이팟 터치 운영체제가 조작된 PDF문서를 처리할 때 비정상적인 권한 상승이 발생하는 신규취약점이 발견됨[1][2][3] ※ 권한 상승취약점 : 운영체제에 설정된 권한을 임의로 변경하는 취약점 o 애플社는 해당 취약점에 대한 보안 업데이트를 준비 중 o 국내 아이폰, 아이패드 및 아이팟 터치 이용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됨 □ 설명 o 애플社의 아이폰, 아이패드 및 아이팟 터치의 운영체제 신규 취약점이 발표됨[1][2][3] - 애플 모바일운영체제(iOS)가 PDF문서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권한상승을 통한 임의의 코드실행이 가능한 취약점으로 공격 성공시에는 이용자의 단말기(아이폰,아이패드,아이팟터치)에 악성코드 감염과 이용자 정보(비밀번호, 이메일, GPS정보 .. 2011. 7. 8. More about the JailbreakMe PDF exploit Today has been released the source code of the Jailbreakme exploit, so maybe this explanation comes a bit late. In the update of the previous post about this subject I knew that I was right about the overflow in the arguments stack when parsing the charstrings in the Type 2 format, so here is a little more info. After decoding the stream of the object 13 we can see the following bytes (talking a.. 2011. 2. 21. Adobe Reader/Acrobat 신규 원격코드실행 취약점 주의 □ 개요 o Adobe Reader와 Acrobat의 CoolType.dll 모듈이 잘못된 SING(Smart INdependent Glyphlets) 글꼴이 포함된 PDF문서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오버플로우가 발생하여 원격코드가 실행되는 취약점이 발견됨 [1, 2] o 공격자는 웹 페이지 은닉, 스팸 메일, 메신저의 링크 등을 통해 특수하게 조작된 PDF 문서를 사용자가 열어보도록 유도하여 악성코드 유포 가능 o Adobe Reader와 Acrobat 최신 버전에서도 해당 취약점이 존재하므로, 신뢰할 수 없는 PDF 파일을 열어보지 않는 등의 사용자 주의가 요구됨 □ 해당 시스템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 [1] - 윈도우, 매킨토시, 유닉스 환경에서 동작하는 Adobe Acrobat 9.3.4 및 이전.. 2010. 9. 10. 이전 1 2 3 4 다음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