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h32 728x90 네트워크 장비 설정을 구글 시트로 자동수집 모니터링 관리 네트워크 장비 설정 등 상태정보를 모니터링하고 자동화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도구와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Python은 네트워크 모니터링 및 자동화를 위한 매우 강력한 도구 중 하나입니다. 아래는 Python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장비 설정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간단한 코드 예제입니다. 이 코드는 Telnet을 사용하여 장비에 연결하고 명령을 실행하며, 특정 설정이나 상태를 검사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 환경에 따라 다양한 프로토콜 및 라이브러리를 사용해야 할 수 있습니다. 먼저, telnetlib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Telnet을 통해 장비에 연결하고 명령을 실행하는 코드를 제공합니다. 이 코드는 Telnet을 통해 Cisco 장비에 연결하고 show running-config .. 2023. 9. 24. Juniper ScreenOS 취약점 보안 업데이트 □ 개요 o Juniper社는 ScreenOS에서 발생하는 취약점을 해결한 보안 업데이트를 발표[1] □ 설명 o ScreenOS 방화벽에 SSH 또는 TELNET 원격접속을 통한 관리자 권한 탈취가 가능한 취약점(CVE-2015-7755) o ScreenOS VPN 방화벽 암호화 데이터 트래픽을 복호화하여 스니핑이 가능한 취약점(CVE-2015-7756) □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 o Juniper ScreenOS 6.2.0.r15 ~ 6.2.0.r18 o Juniper ScreenOS 6.3.0.r12 ~ 6.3.0.r20 □ 해결 방안 o 해당 취약점에 영향 받는 제품을 운영하고 있는 관리자는 참고사이트에 명시되어 있는 업데이트 버전을 확인하여 패치 적용 [1] □ 용어 정리 o ScreenOS : .. 2015. 12. 21. Tunnel SSH AvecProxy HTTP TunnelSSHAvecProxyHTTPCet article à pour objectif de montrer comment passer à travers la sécurité mise en place par les services informatiques.HypothèseVous êtes dans une entreprise qui n'autorise pas les sorties directes sur Internet (blocage via un firewall par exemple). Seuls les ports 80 (http) et 443 (https) en sortie vers l'extérieur sont autorisés et de surcroit via un proxy HTTP.Donc pou.. 2014. 12. 16. Cisco 다중 취약점 보안업데이트 개요Cisco NX-OS 제품에 영향을 주는 다중 취약점과 WAAS에서 발생 가능한 원격 실행 코드 실행 취약점을 해결한 보안 업데이트를 발표[1][2]공격자는 영향 받는 시스템에 사용자 권한으로 임의 코드를 실행 및 권한 상승을 할 수 있으므로,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 권고Cisco NX-OS 가상 장치 Context SSH 권한 상승 취약점[CVE-2014-2200]Cisco NX-OS 가상 장치 Context SSH Key 권한 상승 취약점[CVE-2013-1191]Cisco NX-OS-Based 제품 스마트 콜 홈 버퍼 오버플로우 취약점[CVE-2014-3261]Cisco NX-OS 메시지 전송 서비스 거부 취약점[CVE-2014-2201]쉐어포인트 가속 기능 구성시 Cisco 광역 어플리케이션 서.. 2014. 5. 26. mRemoteNG - remote connections manager mRemoteNG is a fork of mRemote, an open source, tabbed, multi-protocol, remote connections manager. mRemoteNG adds bug fixes and new features to mRemote. It allows you to view all of your remote connections in a simple yet powerful tabbed interface. mRemoteNG supports the following protocols: RDP (Remote Desktop/Terminal Server)VNC (Virtual Network Computing)ICA (Citrix Independent Computing Arc.. 2014. 3. 4. 이전 1 2 3 4 5 6 7 다음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