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기록을 남기지 않는 랜섬웨어(Traceless Ransomware)는 전통적인 보안 탐지 체계를 우회하기 위해 디스크나 로그에 흔적을 최소화하며 동작하는 고도화된 악성코드입니다. 파일리스(Fileless) 기법과 정상 시스템 도구 악용을 통해 탐지를 회피하고, 공격 후 자가 삭제 기능으로 포렌식 분석을 어렵게 만드는 특징을 가집니다.
1. 핵심 특징 및 동작 방식
1.1 파일리스(Fileless) 기법
특징 | 설명 | 위험도 |
---|---|---|
메모리 기반 실행 | 디스크에 악성 파일을 저장하지 않고 RAM에서만 동작 | 🔴 High |
정상 도구 악용 | PowerShell, wscript, BitLocker 등 운영체제 내장 도구 사용 | 🔴 High |
자가 삭제 | 공격 완료 후 자신의 실행 파일과 임시 파일을 자동 삭제 | 🟡 Medium |
로그 제거 | 시스템 로그와 프로세스 흔적을 의도적으로 삭제 | 🔴 High |
1.2 주요 동작 패턴
2. 대표적인 공격 사례 분석
2.1 Mamona 랜섬웨어 (무흔적 오프라인 기반)
핵심 특징
- 네트워크 연결 없이 로컬에서만 실행
- 모든 암호화 파일에
.HAes
확장자 부여 ping 127.0.0.7
명령어를 이용한 딜레이 후 자가 삭제- USB 등 물리 매체를 통한 에어갭 환경 침투
300x250
공격 시퀀스
# 1. 파일 암호화 (빠른 속도로 탐지 회피)
encrypt_files() → add_extension(.HAes)
# 2. 딜레이 후 자가 삭제
ping 127.0.0.7 -n 5 && del /f /q malware.exe
# 3. 랜섬 노트 생성
create_file("README.HAes.txt")
2.2 RokRAT (APT37 북한 해킹 그룹)
핵심 특징
- 파일리스 + 스테가노그래피 기법 (이미지 파일 내 코드 은닉)
- 악성 LNK 파일, Office 매크로, PowerShell을 통한 유포
- Dropbox, Yandex 등 정상 클라우드 서비스를 C2로 악용
- 한국 내 군사, 정부, 연구기관 등을 주요 타겟으로 설정
기술적 특징
- 이중/다단계 암호화된 Shellcode 사용
- 메모리 인젝션 및 디버깅 방해 기술
- 스크린샷, 문서, 녹음파일 등 민감정보 수집
2.3 BitLocker 악용형 랜섬웨어
핵심 특징
- Windows 내장 BitLocker 암호화 도구 악용
- 별도 실행파일 없이 정상 OS 기능으로 악성 행위 수행
- 원격에서 파일 암호화 진행
3. 보안 위협 및 탐지의 어려움
3.1 기존 보안 체계의 한계
보안 솔루션 | 한계점 | 영향도 |
---|---|---|
전통적 백신 | 파일 기반 시그니처 탐지 불가 | 🔴 치명적 |
EDR 솔루션 | 로그 기반 탐지 시 흔적 없음으로 우회 | 🟠 심각 |
네트워크 모니터링 | 오프라인 실행 시 C2 통신 없음 | 🟡 중간 |
포렌식 분석 | 재부팅 시 메모리 증거 소멸 | 🔴 치명적 |
3.2 탐지 회피 기술
- 난독화 및 암호화: 코드 분석 방해
- 샌드박스 탐지 우회: 가상환경 인식 후 실행 중단
- 정상 프로세스 위장: 시스템 관리자도 구분하기 어려움
- 시간 지연 공격: 보안 솔루션의 동적 분석 시간 회피
4. 종합적 대응 전략
4.1 EDR 및 행위 기반 탐지 강화
Wazuh 탐지 룰 예시
<rule id="100101" level="10">
<if_sid>18107</if_sid>
<match>powershell(.exe)?</match>
<regex>.*-enc(odedcommand)?.*</regex>
<description>Suspicious PowerShell encoded command</description>
</rule>
<rule id="100102" level="10">
<if_sid>18107</if_sid>
<match>cmd.exe</match>
<regex>ping\s+127\.0\.0\.7.*\&\&.*del\s+/f\s+/q</regex>
<description>Mamona-style ping delay and file deletion</description>
</rule>
Elastic Defend KQL 쿼리
process.name: "powershell.exe" and process.args : "*-encodedCommand*"
process.name: "cmd.exe" and process.command_line: "*ping 127.0.0.7* && del /f /q*"
file.extension: "HAes" and event.action: "creation"
4.2 Sysmon 구성 최적화
핵심 이벤트 수집
- ProcessCreate: PowerShell, BitLocker, ping+del 조합
- FileCreate: 비정상 확장자 (.HAes, .enc, .locked)
- NetworkConnect: 파일리스 C2 통신 탐지
- ProcessTerminate: 자가 삭제 패턴 감시
4.3 예방적 보안 조치
조치 항목 | 구체적 방법 | 우선순위 |
---|---|---|
실행 정책 강화 | AppLocker, WDAC, SRP 적용 | 🔴 High |
PowerShell 제한 | Constrained Language Mode 설정 | 🔴 High |
매크로 차단 | Office 매크로 실행 정책 강화 | 🟠 Medium |
USB 관리 | 외부 저장장치 사용 제한 | 🟡 Low |
5. Zero Trust 보안 모델 적용
5.1 핵심 원칙
Never Trust, Always Verify
- 모든 접근 요청에 대한 지속적 인증 및 검증
- 사용자,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을 모두 잠재적 위협으로 간주
5.2 구현 전략
영역 | 적용 방안 | 기대 효과 |
---|---|---|
신원 관리 | MFA, 적응형 인증 | 초기 침입 차단 |
네트워크 | 마이크로세그멘테이션 | 측면 이동 방지 |
데이터 | 암호화, 접근 권한 최소화 | 피해 범위 제한 |
애플리케이션 | 실행 보류, AI 기반 분석 | 악성 실행 차단 |
5.3 실행 보류(Execution Hold) 기술
6. 모니터링 및 대응 체계
6.1 실시간 모니터링 지표
핵심 KPI
- PowerShell 인코딩 명령 실행 빈도
- 비정상 확장자 파일 생성 건수
- BitLocker 관련 프로세스 호출 횟수
- 자가 삭제 패턴 (ping + del) 탐지 건수
6.2 인시던트 대응 프로세스
- 1단계: 탐지 (0-5분)
- EDR/SIEM 경보 발생
- 자동 격리 정책 실행
- 2단계: 분석 (5-30분)
- 메모리 덤프 수집 (재부팅 전)
- 네트워크 연결 상태 확인
- 영향 범위 평가
- 3단계: 대응 (30분-2시간)
- 감염 시스템 네트워크 격리
- 백업 데이터 복구 준비
- 법적 대응 절차 시작
6.3 복구 전략
백업 및 복구
- 오프라인 백업 시스템 운영 (네트워크 분리)
- 주기적 복구 훈련 실시
- 백업 데이터 무결성 검증
7. 조직 차원의 대응 방안
7.1 사용자 교육 및 인식 개선
교육 내용
- 파일리스 공격의 특징 및 위험성
- 의심스러운 이메일 첨부파일 처리 방법
- USB 등 외부 저장장치 사용 시 주의사항
- PowerShell 실행 시 보안 경고 확인
7.2 정책 및 절차 수립
보안 정책
파일 실행 정책:
- 알려지지 않은 출처의 실행파일 차단
- 관리자 권한 실행 시 2차 승인 필수
- 스크립트 실행 시 보안팀 승인 필수
네트워크 정책:
- 내부 네트워크 세그멘테이션 강화
- 클라우드 서비스 접근 제한
- P2P 및 익명 네트워크 차단
8. 위협 인텔리전스 및 전망
8.1 공격 트렌드 분석
증가 요인
- 공격 도구의 상품화 (Ransomware-as-a-Service)
- AI를 활용한 탐지 회피 기법 발전
- 원격근무 환경에서의 보안 취약점 증가
예상 발전 방향
- 더욱 정교한 파일리스 기법 등장
- 정상 AI 도구를 악용한 공격 증가
- 클라우드 기반 공격 인프라 활용 확대
8.2 대응 역량 강화 방안
기술적 발전
- XDR (Extended Detection and Response) 도입
- 행위 기반 AI 탐지 시스템 고도화
- 양자 암호화 기반 데이터 보호
9. 실무 적용 체크리스트
9.1 즉시 적용 가능한 조치
- EDR 솔루션의 파일리스 탐지 룰 업데이트
- PowerShell 실행 정책 강화 (Constrained Language Mode)
- Sysmon 구성 파일 최적화
- 오프라인 백업 시스템 점검
- 직원 대상 보안 인식 교육 실시
9.2 중장기 개선 계획
- Zero Trust 보안 모델 도입 계획 수립
- 마이크로세그멘테이션 구현
- AI 기반 행위 분석 시스템 도입
- 인시던트 대응 절차 정기 훈련
- 위협 인텔리전스 공유 체계 구축
10. 결론 및 권고사항
기록을 남기지 않는 랜섬웨어는 전통적인 보안 방어체계의 근본적 한계를 드러내는 새로운 위협입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 패러다임 전환: 시그니처 기반에서 행위 기반 탐지로
- 통합적 접근: 기술적 대응과 조직적 대응의 균형
- 지속적 개선: 위협 환경 변화에 따른 대응 체계 진화
- 예방 중심: 사후 대응보다는 사전 예방에 집중
핵심 메시지: "절대 신뢰하지 않고 항상 검증한다"는 Zero Trust 원칙을 바탕으로, 모든 시스템 활동을 의심하고 검증하는 보안 문화 정착이 가장 중요합니다.
본 문서는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되는 위협 환경에 맞춰 정기적인 검토와 개선이 필요합니다.
728x90
그리드형(광고전용)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