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IDaaS(Identity as a Service) 개념부터 보안·운영·도입 체크리스트까지
개요와 배경
- 정의: IDaaS는 클라우드 기반 통합 인증·계정관리(IAM) 서비스입니다. 사내·SaaS·하이브리드 환경의 로그인, 권한, 계정 생애주기(JML)를 표준 프로토콜로 일원화합니다.
- 왜 지금 필요한가
- 멀티/SaaS 확산: Google Workspace, M365, Salesforce, GitHub, Slack 등 앱 증가
- 규제·감사: ISMS-P/개인정보보호법 등 접근통제·계정관리 증빙 요구
- 원격·하이브리드 근무: 외부 접속과 디바이스 다양성
- TCO 절감: 사내 IdP/SSO 직접 운영의 복잡성·인력·가용성 부담 해소
표준·구성요소 한눈에
- 프로토콜
- SAML 2.0: 엔터프라이즈 앱(레거시/사내) 중심
- OIDC(OpenID Connect)/OAuth 2.0: 최신 웹·모바일·API, SPA, 프록시 연동
- SCIM 2.0: 사용자·그룹 프로비저닝 자동화
- FIDO2/WebAuthn: 패스워드리스·피싱 저항 MFA
- 핵심 기능
- SSO, MFA/위험기반 인증, 조건부 접근(Zero Trust)
- JML 자동화(Joiner/Mover/Leaver) via SCIM
- RBAC/ABAC, 감사·포렌식 로그, SIEM 연동
- 역할
- IdP(Identity Provider): 인증·토큰 발급
- SP/RP(Service/Relaying Party): 앱(자체·SaaS)
- GWs/Proxies: oauth2-proxy, ingress 인증 게이트
대표 기능 & 실무 예시
- SSO 통합
- 예: 한 번 로그인 → Gmail, Slack, Jira, Confluence, GitLab 자동 접속
- MFA/Passwordless
- 예: VPN·내부포털은 FIDO2 기본, 고위험(해외·TOR)은 Step-up MFA
- 조건부 접근
- 예:
국내/사내망 + 관리 디바이스 + 최신 OS 패치
만 허용, 그 외 차단/재인증
- 예:
- SCIM 프로비저닝
- 입사 시 자동 계정 생성·그룹 할당, 퇴사 시 전 채널 즉시 회수
- 감사/탐지
- IDaaS 로그를 Elastic SIEM/Wazuh로 수집 → 이상 로그인, MFA 우회 시도 탐지
아키텍처 패턴(선정 가이드)
- 클라우드-온리 IdP
- 장점: 신속한 도입, 운영 단순, 확장성
- 고려: 사내 앱(SAML 전환·프록시) 마이그레이션 계획 필요
- 하이브리드(온프레미스 AD/LDAP 연동)
- 장점: 기존 디렉터리·그룹 재사용, 단계적 전환
- 고려: 동기화/암호해시/UPN 설계, 고가용 링크
- 리버스 프록시(ingress) + OIDC 게이트
- 장점: 레거시 웹앱 보호, 제로 트러스트 진입점
- 예: oauth2-proxy + NGINX/Ingress로 사내 앱 통합 보호
- 페더레이션(B2B/B2C)
- 파트너/외부 사용자와 IdP-IdP 연동 (SAML/OIDC 트러스트)
보안 정책 설계(핵심 원칙)
- 최소권한(Least Privilege) + RBAC→ABAC 병행(부서·직무·리스크 기반 클레임)
- MFA 기본값: FIDO2(WebAuthn) 우선, TOTP는 백업, SMS는 예외·임시만
- 조건부 접근: 위치/IP 평판, 디바이스 준수(패치/암호/암호화), 시간대, 리스크 점수
- 관리자 분리: Break-glass 계정(오프라인 보관), 응급 접근 타임박스·모니터링
- 토큰 보안: 짧은 Access Token, Refresh Token 회전, PKCE 의무화(공개 클라이언트)
- 감사 추적: 인증/토큰/프로비저닝·관리자 변경 전 과정을 불변 로그로 보존
- IdP-initiated SSO 최소화: SP-initiated 선호(Replay/CSRF 리스크 완화)
300x250
운영 프로세스(JML) & 자동화 예시
- Joiner(입사): HR 이벤트 → SCIM → 계정/그룹/라이선스 자동 생성
- Mover(이동): 부서·직무 변경 → 그룹·권한 자동 갱신 + SoD 점검
- Leaver(퇴사): 즉시 비활성 + 세션/토큰 강제 만료 + 위임 권한 회수 + DLP 보존 규칙
SCIM API 예시(cURL)
# 사용자 생성
curl -X POST "https://idp.example.com/scim/v2/Users" \
-H "Authorization: Bearer $TOKEN" -H "Content-Type: application/scim+json" \
-d '{
"userName":"jane.doe",
"name":{"givenName":"Jane","familyName":"Doe"},
"active":true,
"emails":[{"value":"jane.doe@example.com","primary":true}],
"groups":[{"value":"sales","display":"Sales"}],
"urn:ietf:params:scim:schemas:extension:enterprise:2.0:User":{
"department":"Sales","manager":{"value":"john.manager"}
}
}'
# 계정 비활성(퇴사 처리)
curl -X PATCH "https://idp.example.com/scim/v2/Users/USER_ID" \
-H "Authorization: Bearer $TOKEN" -H "Content-Type: application/scim+json" \
-d '{ "Operations":[{"op":"replace","path":"active","value":false}] }'
내부 웹앱 보호: OIDC 게이트(리버스 프록시) 샘플
1) oauth2-proxy 예시(env/file)
OAUTH2_PROXY_PROVIDER=oidc
OAUTH2_PROXY_OIDC_ISSUER_URL=https://idp.example.com
OAUTH2_PROXY_CLIENT_ID=app-client
OAUTH2_PROXY_CLIENT_SECRET=__SECRET__
OAUTH2_PROXY_COOKIE_SECRET=__32BYTE_BASE64__
OAUTH2_PROXY_REDIRECT_URL=https://app.example.com/oauth2/callback
OAUTH2_PROXY_SCOPE="openid profile email"
OAUTH2_PROXY_EMAIL_DOMAINS="*"
OAUTH2_PROXY_SET_XAUTHREQUEST=true
OAUTH2_PROXY_UPSTREAMS="http://app:8080"
2) NGINX 연동 스니펫
location / {
auth_request /oauth2/auth;
error_page 401 = /oauth2/sign_in;
proxy_set_header X-Auth-Request-User $upstream_http_x_auth_request_user;
proxy_set_header X-Auth-Request-Email $upstream_http_x_auth_request_email;
proxy_set_header X-Auth-Request-Access-Token $upstream_http_x_auth_request_access_token;
proxy_pass http://app:8080;
}
location = /oauth2/auth {
internal;
proxy_pass http://oauth2-proxy:4180/oauth2/auth;
proxy_set_header X-Original-URI $request_uri;
}
팁: 내부 앱이 헤더 기반 권한(예: X-Auth-Request-Groups)을 읽도록 구현하면 세분화 접근제어(ABAC/RBAC)가 쉬워집니다.
로깅·모니터링·탐지(Elastic/Wazuh 관점)
- 수집 대상
- 로그인 성공/실패, MFA 이벤트, 위험 인증, 계정 상태 변경, 토큰 발급/폐기, SCIM 변경, 관리자 활동
- ECS 필드 매핑 가이드(예)
event.category: authentication
,event.action
,event.outcome
user.name
,user.email
,source.ip
,source.geo.*
,user_agent.*
- 탐지 시나리오 예시
- 불가능한 이동(Impossible Travel): 짧은 시간 내 해외 다른 대륙에서 연속 성공
- 비정상 MFA 패턴: MFA 거부/피로 공격(푸시 폭탄) 후 성공
- Brute Force: 다수 실패 뒤 성공(동일 IP/여러 사용자 대상)
- 토큰 남용: 만료 후 사용/무효화 후 사용 시도
- 고위험 앱 접근: 비인가 디바이스·네트워크에서 관리자 콘솔 접근
- Elastic(예시 EQL 규칙) — 실패→성공 시퀀스
sequence by user.name with maxspan=10m [authentication where event.outcome == "failure"] [authentication where event.outcome == "failure"] [authentication where event.outcome == "success"]
- Wazuh 통합 팁
- Filebeat/Logstash로 IDaaS API/웹훅 로그 수집 → Wazuh 규칙·디코더로 이벤트 분류
- 주요 규칙: 관리자 권한 변경, MFA 해제, SCIM 비활성 처리, 위험 로그인 알림
사고 대응 런북(SOAR 연계 포인트)
- 계정 위험 징후 감지 → 사용자 즉시 비활성화(SCIM PATCH)
- 세션 강제 만료: Refresh Token 전면 폐기, 활성 세션 로그아웃
- 비정상 클라이언트 식별: IP/UA 블록, API 키 교체
- 사후 분석: 동일 IP 시도 사용자 집합, 관리 콘솔 변동, 권한 상승 흔적
- 교정 조치: MFA 재등록, 비회원 디바이스 격리, 조건부 접근 규칙 상향
- 사내 커뮤니케이션: 보안공지·비밀번호 재설정 캠페인·피싱 교육
규제·감사(ISMS-P 등) 매핑 요령
- 계정 관리: 사용자 식별·인증, 권한부여·변경·말소, 권한 검토 주기
- 접근 통제: 네트워크 기반·논리 접근·원격접속 통제, 관리자 접근 분리
- 로그·감사: 접속기록 보관·위변조 방지, 이상징후 모니터링
- 개인정보 최소화·보호조치: 데이터 지역성, 보관 기간, 가명처리(필요 시)
문서화: 정책(Policy)·표준(Standard)·절차(SOP)·증빙(로그·리포트·권한검토 결과)를 세트로 관리하세요.
PoC(파일럿) 시나리오 & 평가지표
- 목표: ①SSO 통합 범위 ②MFA/조건부 접근 효과 ③SCIM 자동화 ④로그·탐지 품질
- 시나리오
- Google Workspace·Slack·Jira·VPN 4종 통합
- 관리 콘솔 접근은 FIDO2 필수, 해외 로그인 차단
- HR 변경 → SCIM으로 그룹·라이선스 자동 갱신, 퇴사 즉시 회수
- Elastic 대시보드: 로그인 지형·실패율·위험 이벤트 가시화
- 평가지표
- 통합 소요 시간, 커넥터 수/품질, 실패율/재시도율, 사용자 만족도(헬프데스크 티켓 감소),
JML 처리 지연(초), 위험 이벤트 MTTD/MTTR, 감사 증빙 자동화 수준
- 통합 소요 시간, 커넥터 수/품질, 실패율/재시도율, 사용자 만족도(헬프데스크 티켓 감소),
도입 체크리스트
- 프로토콜: SAML/OIDC/SCIM/FIDO2 지원 범위, 앱 커넥터 카탈로그
- 보안: 조건부 접근, 위험 평가, FIDO2 기본, 관리자 격리, 비상계정
- 운영: HR·AD 연계, 라이선스 자동화, 워크플로우(승인/SoD), 테스트·롤백
- 확장성: API 품질, Rate Limit, 서드파티 통합(SIEM/SOAR/ITSM)
- 규정준수: 데이터 위치·보관·암호화, 감사지원(리포트·증빙 내보내기)
- 가용성/SLA: 다중 리전, DR, 메인·IdP 다운시 BCP(오프라인 Break-glass)
- 비용: 사용자·앱·MFA·로그 보존 과금 모델, PoC 크레딧, 총 3년 TCO
레거시·내부 앱 SAML 연동
SP 메타데이터(예시)
<EntityDescriptor entityID="https://app.example.com/saml">
<SPSSODescriptor AuthnRequestsSigned="true" WantAssertionsSigned="true"
protocolSupportEnumeration="urn:oasis:names:tc:SAML:2.0:protocol">
<AssertionConsumerService Binding="urn:oasis:names:tc:SAML:2.0:bindings:HTTP-POST"
Location="https://app.example.com/saml/acs" index="1" isDefault="true"/>
</SPSSODescriptor>
</EntityDescriptor>
팁: NameID 형식, Attribute(이메일/그룹/사번) 매핑 표를 표준화하면 앱 추가가 빨라집니다.
권한모델 설계 팁(RBAC + ABAC)
- RBAC: 역할(예:
HR.Viewer
,IT.Admin
)로 coarse-grained 통제 - ABAC: OIDC 클레임(부서·직급·지역·디바이스 준수)을 조건에 추가 → fine-grained
- 예:
role=Admin
이면서device_compliant=true
이고network_trust=corp
만 관리 콘솔 허용
위협 모델 & 완화
- 피싱/동의 피싱(Consent) → FIDO2 + 승인 스코프 최소화 + 관리자 승인 워크플로우
- MFA 피로(Push 폭탄) → 푸시 거부 제한/숫자매칭/속도제한 + FIDO2 기본
- 토큰 탈취/재사용 → Refresh Token 회전, JTI 검사, 짧은 TTL, HTTPS/mTLS, DLP
- SCIM 악용 → 최소 권한 토큰, IP 제한, 감사 로그 상시 검토
장애·BCP
- IdP 장애 시: 응급 관리자 계정(로컬), 주요 시스템의 대체 로그인 경로 문서화
- MFA 디바이스 분실: 백업 키/코드 보관, 헬프데스크 신원확인 절차
내부 사용자 가이드
- 첫 로그인 시 보안키/플랫폼 인증자 등록(FIDO2)
- 백업 인증 수단 2개 이상 등록(TOTP·Recovery Code)
- 해외 출장 전, 일시 정책 완화 승인 절차 안내(만료 자동)
운영 도구·자동화 스니펫
- n8n: HR Webhook → SCIM Create/Update/Delete(에러시 Slack 알림)
- Logstash: IDaaS Webhook JSON → ECS 변환 →
logs-idaas-*
색인 - 권한검토 자동화: 분기별 대장이 Google Sheets로 생성 → 전자결재 연동
비용·ROI 관점
- 헬프데스크 티켓(비밀번호 재설정·계정요청) 감소율
- 퇴사 계정 잔존(Orphan) 제로화로 라이선스 회수 + 사고위험 감소
- 감사 준비 시간 단축, 위협 탐지·대응 효율 향상
흔한 실수 Top 8
- IdP-initiated만 사용(재플레이 리스크)
- MFA 예외 과다(외주·임원·레거시)
- SCIM 부분 적용(퇴사 회수 누락)
- 토큰 TTL 과도/회전 미적용
- 관리자 권한 집중(SoD 부재)
- 로그 보존 짧음/필드 누락
- 데이터 지역성·삭제 정책 미흡
- 비상계정 미준비
빠른 시작 로드맵(현실적인 단계)
- 인벤토리: 앱·사용자·그룹·권한·로그·규제 요구 목록화
- PoC: 3~5개 핵심 앱 + FIDO2 + 조건부 접근 + SCIM
- 하드닝: 토큰 정책/관리자 분리/로그·탐지 규칙
- 확대: 레거시 앱 프록시 보호, 파트너 페더레이션
- 운영 고도화: 권한검토 자동화, 감사 리포트 정례화
필수 정책 템플릿
- 계정생애주기 정책: JML, 책임(RACI), SLA
- 인증정책: FIDO2 기본, 백업수단, 고위험 Step-up, 예외 승인
- 조건부 접근 정책: 위치/디바이스/시간/리스크
- 관리자 접근 분리: Break-glass, 타임바운드, 세션 레코딩(가능 시)
- 로깅·보존 정책: 필드·보존기간·무결성
- 정기 권한검토 절차: 분기/반기, SoD 포함
IDaaS는 보안 수준을 크게 올리면서도 운영 복잡도를 낮추는 강력한 토대입니다. 위 가이드를 기반으로 PoC 체크리스트 → 파일럿 → 전사 확산 순으로 가시면, 단기간에 실질 성과(SSO 편의, 퇴사 계정 즉시 회수, 감사 대응 자동화)를 보실 수 있습니다.
728x90
그리드형(광고전용)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