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목표와 원칙
- 프로젝트 루트에 Markdown 저장:
./docs/chat/
또는./chat/
하위에 저장 - 간편/자동/무정지: 한 번 셋업 후 단축키 1번 또는 주기적 자동화
- 보안 안전장치: 민감정보 마스킹, Git 유출 방지, 접근권한·암호화 선택지
기본 구조(권장 폴더)
<your-project>/
├─ chat/ # 채팅 로그 폴더(리포트/롤업 파일)
│ ├─ chat-history.md # 누적 파일(append)
│ └─ 2025-09-10.md # 날짜별 리포트(선택)
├─ .gitignore
├─ .gitattributes # (선택) git-crypt/sops 등
└─ tools/ # 스크립트 모음
├─ append-clipboard.js
├─ redact.conf # 마스킹 패턴
├─ rollup.py
└─ pre-commit.sh
최소노력(수동+템플릿) — 바로 시작하기
- 대화 중 마무리 프롬프트로
“지금까지 대화를 Markdown 회의록 템플릿(Context/Decisions/Snippets/Next)으로 요약해줘. 코드/명령은 fenced code block으로.”
- 받은 결과를
chat/chat-history.md
에 붙여넣기(append) - 장점: 설정 없이 바로 가능
- 한계: 완전 자동은 아님 → 아래 “반자동/자동”을 권장
300x250
반자동(강추) — “단축키 한 번”으로 클립보드 → 파일 Append
아이디어: Chat 패널에서 Ctrl/Cmd+A → 복사 후 단축키 1번 → chat-history.md에 자동 추가
1) 공통 Node.js 스크립트 (OS 공용)
tools/append-clipboard.js
#!/usr/bin/env node
// npm i clipboardy fs-extra
import clipboard from 'clipboardy';
import fs from 'fs-extra';
import path from 'path';
const root = process.cwd();
const outDir = path.join(root, 'chat');
const outFile = path.join(outDir, 'chat-history.md');
await fs.ensureDir(outDir);
const text = await clipboard.read();
if (!text || !text.trim()) {
console.error('Clipboard is empty.');
process.exit(1);
}
// 간단 마스킹(토큰/시크릿/이메일 등은 필요시 추가 확장)
const masked = text
.replace(/(AKIA|ASIA|AIza|ghp_)[0-9A-Za-z\-\_]+/g, '[REDACTED]')
.replace(/(secret|token|apikey|password)\s*[:=]\s*\S+/gi, '$1: [REDACTED]')
.replace(/[A-Z0-9._%+-]+@[A-Z0-9.-]+\.[A-Z]{2,}/gi, '[EMAIL]');
const now = new Date().toISOString();
const block = `\n\n---\n**Saved:** ${now}\n\n${masked}\n`;
await fs.appendFile(outFile, block, 'utf8');
console.log(`Appended to ${path.relative(root, outFile)}`);
- 준비
cd <your-project> mkdir -p chat tools npm init -y npm i clipboardy fs-extra chmod +x tools/append-clipboard.js
package.json
에 스크립트 추가{ "scripts": { "save:chat": "node tools/append-clipboard.js" } }
- 사용 흐름
- Cursor Chat 창에서 전체 선택 → 복사
- 터미널에서
npm run save:chat
실행 →chat/chat-history.md
에 자동 Append
2) OS별 단축키 등록
- macOS (Hammerspoon):
~/.hammerspoon/init.lua
-- 클립보드 → chat-history.md append hs.hotkey.bind({"alt", "cmd"}, "S", function() local project = hs.execute("pwd"):gsub("%s+$","") hs.alert.show("Saving chat...") hs.execute("cd '"..project.."' && npm run save:chat") end)
- Windows (AutoHotkey v2): 예:
Ctrl+Alt+S
^!s:: RunWait "cmd /c npm run save:chat", A_WorkingDir, "Hide" MsgBox "Chat appended." return
- Linux (sxhkd 예시):
Ctrl+Alt+S
ctrl + alt + s npm run save:chat
이렇게 설정하면 “복사 → 단축키 1번”으로 즉시 파일 기록됩니다.
추후 선택 영역만 기록하고 싶다면 Chat 일부만 복사한 뒤 같은 단축키를 누르세요.
완전 자동(선택) — “하루 한 번 롤업 & 정리”
1) 일일 리포트로 쪼개 저장(rollup)
tools/rollup.py
import os, re, hashlib
from datetime import datetime, timezone, timedelta
KST = timezone(timedelta(hours=9))
root = os.getcwd()
src = os.path.join(root, "chat", "chat-history.md")
dst_dir = os.path.join(root, "chat")
os.makedirs(dst_dir, exist_ok=True)
today = datetime.now(KST).strftime("%Y-%m-%d")
dst = os.path.join(dst_dir, f"{today}.md")
def dedup_blocks(text: str):
blocks = re.split(r'\n-{3,}\n', text) # --- 구분선 기준
seen = set()
out = []
for b in blocks:
sig = hashlib.sha256(b.strip().encode('utf-8')).hexdigest()[:16]
if sig not in seen and b.strip():
seen.add(sig)
out.append(b.strip())
return "\n\n---\n".join(out)
if os.path.exists(src):
with open(src, "r", encoding="utf-8") as f:
data = f.read()
clean = dedup_blocks(data)
with open(dst, "w", encoding="utf-8") as f:
f.write(f"# Chat Log {today}\n\n")
f.write(clean if clean.strip() else "_no content_\n")
print(f"Rolled up to {dst}")
else:
print("No chat-history.md yet.")
- 크론 등록(예: 매일 21:00 KST)
- macOS/Linux (
crontab -e
)0 21 * * * cd /path/to/your-project && /usr/bin/python3 tools/rollup.py
- Windows(작업 스케줄러)에서 python 실행으로 동일하게 등록
- macOS/Linux (
2) “섹션 자동 서식” 팁(프롬프트 템플릿)
- 매일 마지막 대화에 아래를 붙여주세요.
“오늘 대화를 아래 섹션으로 요약해줘: **Context & Goal** **Key Decisions** **Commands & Code**(fenced code) **Risks/Security** **Next Actions(담당/기한)**”
→ 저장된 YYYY-MM-DD.md
가 바로 공유 가능한 리포트가 됩니다.
보안 가이드 & 점검 포인트
- 민감정보 마스킹(필수)
- 토큰/비밀번호/API키/쿠키/세션ID/내부 도메인 등은 저장 전 마스킹
append-clipboard.js
의 정규식 패턴을 회사 표준으로 강화- 별도
tools/redact.conf
에 패턴 목록을 관리(리뷰 가능)
- Git 유출 방지
.gitignore
에 추가chat/chat-history.md chat/*.md
- 또는 저장은 하되 암호화
git-crypt
/sops
+.gitattributes
로chat/** filter=crypt
- 리포의 권한/키 관리를 준비했을 때만 적용
- 접근 통제
- 프로젝트 디렉터리 권한(Unix 750/770 수준) 및 노트북 암호/보안 솔루션
- 백업 저장소에도 동일한 암호화/권한 정책 적용
- 보존/파기 정책
- 저장 기간, 열람 대상, 파기 절차를 내부 규정화
rollup.py
에 보관 기간 초과 파일 자동 삭제 옵션 추가 가능
- 감사 가능성 확보
- 파일 헤더에 작성자/시각/Branch/Commit 기록
echo "**Author:** $USER **Branch:** $(git rev-parse --abbrev-ref HEAD) **Commit:** $(git rev-parse --short HEAD)" >> chat/chat-history.md
- 파일 헤더에 작성자/시각/Branch/Commit 기록
고급(선택) — 로컬 캐시/DB 파싱 기반 자동화(실험)
IDE 내부 캐시(예: AppData/Library/.config 하위)에 대화 스니펫이 저장될 수 있으나, 버전마다 포맷/경로가 바뀌고 공식 API가 없음. 운영 환경에서 쓰려면 샌드박스에서 검증하세요.
- 접근 절차(안전 모드)
- 해당 App Support 디렉터리를 복사본으로 스냅샷
ripgrep
/jq
/sqlite3
로 “대화 키워드/문서 구조” 탐색- 구조가 확인되면 읽기 전용 파서 작성 →
chat-history.md
로 변환
- 리스크: 업데이트 시 파손 위험, 포맷 변경 가능성, 라이선스/정책 고려 필요
일반적으로는 클립보드 append 방식(2번)이 가장 안정적입니다.
운영 체크리스트
- 단축키 동작 점검: 복사 → 단축키 →
chat/chat-history.md
에 Append - 마스킹 규칙 테스트: 의도한 민감정보가
[REDACTED]
처리되는지 - Git 정책 확인:
.gitignore
/암호화 정책 충돌 여부 - 일일 롤업 확인:
YYYY-MM-DD.md
생성 및 중복 제거 작동 - 백업/복구: 로컬/원격 백업 및 복구 절차 문서화
- 보안 점검: 접근권한, 로그 보존기간, 파기 정책 정기 점검
부가 스니펫 모음
1) .gitignore (유출 방지 기본형)
# Chat logs
chat/chat-history.md
chat/*.md
2) pre-commit 훅(실수 방지)
tools/pre-commit.sh
#!/usr/bin/env bash
if git diff --cached --name-only | grep -E '^chat/.*\.md$' > /dev/null; then
echo "[BLOCK] chat/*.md 커밋이 차단되었습니다. (보안 정책)"
exit 1
fi
설치
chmod +x tools/pre-commit.sh
ln -sf ../../tools/pre-commit.sh .git/hooks/pre-commit
3) 일괄 마스킹 강화(예: 회사 표준 패턴 추가)
append-clipboard.js
의 masked
체인에 예를 더합니다.
.replace(/\b\d{2,3}-\d{3,4}-\d{4}\b/g, '[PHONE]')
.replace(/\b(10\.0\.\d+\.\d+|192\.168\.\d+\.\d+)\b/g, '[PRIVATE_IP]')
.replace(/\b[a-f0-9]{32}\b/gi, '[MD5?]')
권장 시나리오
- 단기: “복사 → 단축키 → Append” (2번)로 바로 운영 시작
- 중기: 일일 롤업(3번) 추가로 날짜별 관리 & 공유 편의 확보
- 상시: 마스킹/유출방지/권한/보존정책(4번)을 정책 문서화하고 정기 점검
728x90
그리드형(광고전용)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