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석 연휴 성묘·벌초·야외활동 안전 가이드 – 사고 예방 필수 체크리스트

728x90

주요 리스크

  • 벌(특히 말벌): 가을철 공격성 증가, 벌집 근처 작업·음료 캔·향수·진한 향기가 위험. 쏘임 후 과민반응(아나필락시스) 시 생명 위협.
  • : 논·숲·풀밭·계곡 등 성묘/수확 동선에서 조우 위험. 물림 시 즉시 119 및 의료기관 이송 필수.
  • 예초기: 칼날·파편 튀김, 정비 불량·보호구 미착용이 주된 원인. 사전점검·보호구·작업 통제가 핵심.
300x250

사전 준비 체크리스트

  1. PPE 풀세트: 안전모, 안면보호구/보호안경, 귀마개, 절단저항 장갑, 긴팔·긴바지(밝은색), 안전화/장화, 무릎보호대, 목 보호·마스크.
  2. 예초기 점검: 날(마모·균열), 안전덮개, 스로틀·스위치, 연료/배터리, 볼트 체결, 휴대 공구·예비날/줄.
  3. 응급키트: 압박붕대·멸균거즈, 냉찜질팩, 생리식염수, 알레르기 약(에피네프린 자동주사 보유자는 지참), 벌 스프레이(전문 용품), 진드기·벌레 퇴치제, 식수.
  4. 현장 예비조사: 긴 막대·갈퀴로 풀숲 두드려 벌집/뱀/장애물 탐지, 작업동선·탈출로·119 진입로 확인.
  5. 연락·의료 접근성: 휴대 무전기/휴대폰, E-Gen(응급의료포털) 병원·약국 위치 확인.

현장 SOP (간단·핵심 절차)

  1. 브리핑(5분): 역할 지정(작업자/감시자/응급담당/통제담당), 위험요소·대피로·정지 신호 공유.
  2. 구역 통제: 작업 반경에 접근 금지 표지·로프 설치, 감시자 배치. (숫자 고정보다 제조사 권장 안전거리 준수)
  3. 탐지 후 작업: 외곽→내부 ‘원’ 형태로 진행, 장애물·비석 인접부는 수공구(낫/전지가위)로 전환.
  4. 정지·정비 규칙: 청소·날 교체·엉킴 제거 시 시동 완전 차단·스파크 위험 배제·장갑 필수.
  5. 마무리: 절단물 수거·봉분/비석 손질·쓰레기 되가져가기·작업후 샤워 및 의복 세탁(진드기 제거).

예초기 보호구·작업수칙 (KOSHA 권고 기반)

  • 항상 안전덮개 장착, 안면보호구+보호안경 병행 착용, 장갑·안전화/장화 필수.
  • 회전부 방향·토출각을 몸 반대측으로 유지, 사람·유리·차량 등 비산 취약물 보호.
  • 파편 위험 지대(자갈·돌·금속 파편) 우회 또는 속도↓, 줄날/톱날 교체 시 규격 준수.
  • 연료 취급 시 환기·화기 엄금, 충전식은 배터리 파손·침수 확인 후 사용.
  • 혼자 작업 금지, 감시자는 상시 주변 접근 통제.

벌·뱀 예방수칙

    • 벌집 발견 시 접근·자극 금지, 진한 향/향수 금지, 밝은색 의복 권장.
    • 음료·과일은 밀폐, 차량·돗자리 주변 확인 후 사용.
    • 장화·긴바지 착용, 잡초·바위틈 접근 전 막대로 확인.
    • 뱀 조우 시 피해 이동, 포획 시도 금지, 은폐 공간(비석 뒤, 초입) 주의.

응급대응 매뉴얼

  • 공통: 즉시 119 신고 → 위치(지번/좌표/E-Gen 지점)·상태(의식/호흡/출혈)·사고 원인·알레르기 병력 전달.
  • 예초기 베임·절단: 직접압박 지혈 → 상처부위를 심장보다 높게 → 무균 덮개 → 119. 이물 눈에 튐은 만지지 말고 의료기관. 민간요법 금지.
  • 벌 쏘임: 안전한 장소로 이동 → 벌침은 신용카드로 살살 긁어 제거(핀셋으로 짜지 말 것) → 비누·물 세척 → 냉찜질. 호흡곤란·전신 두드러기·어지럼 등 과민반응 시 즉시 119.
  • 뱀 물림: 즉시 119 → 환자 안정, 물린 사지 고정·심장보다 낮게, 반지·시계 제거, 절개/입으로 빨기/지나친 지혈 금지, 과도한 움직임 금지.

현장용 체크리스트

  • PPE 전원 착용(헬멧/안면보호/장갑/장화/긴팔·긴바지/귀마개)
  • 예초기 점검(날·덮개·볼트·스위치·연료/배터리·공구)
  • 위험요소 탐지(벌집/뱀/돌/유리/비석 모서리/전선)
  • 구역 통제(표지·로프·감시자 배치)
  • 작업 절차 합의(외곽→내부, 수공구 전환 기준, 정지 신호)
  • 응급키트·E-Gen 확인, 119 신고 스크립트 공유
  • 마무리(절단물 수거, 장비 점검, 샤워·세탁)

“오늘 위험요소는 벌·뱀·파편입니다. 감시자는 접근 통제, 응급담당은 키트·E-Gen 확인. 예초기는 외곽부터, 수공구 전환 기준은 비석·장애물 1m 이내. 정지 신호는 ‘정지!’ 2회 고성. 사고 시 119 즉시 신고, 위치는 ○○면 ○○리 ○○묘역, 대피로는 진입로 하행. 모두 PPE 재확인!”

728x90
그리드형(광고전용)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