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 (LAN,WAN)

AI 기반 네트워크 탐지 및 분석 NDR/UEBA 오픈소스 모니터링 자동화

by 날으는물고기 2025. 9. 12.

AI 기반 네트워크 탐지 및 분석 NDR/UEBA 오픈소스 모니터링 자동화

728x90

왜 AI 기반 네트워크 보안이 중요한가?

기존의 네트워크 보안 시스템은 룰 기반 탐지(시그니처, 패턴 매칭 등)에 의존했으며, 암호화된 트래픽·제로데이 공격·내부자 위협을 탐지하는 데 한계를 가졌습니다. 이에 따라 AI(머신러닝, 딥러닝 기반) 기술이 접목되며 보안 관제의 정확성과 효율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되었습니다.

주요 기술 트렌드 및 구성 요소

1. AI 기술 적용 분야

적용 영역 설명
이상행위 탐지(UEBA) 사용자 행동 프로파일링, 이상 패턴 식별
자동화 대응(SOAR) 위협 탐지 후 격리, 룰 수정, 차단 등 자동 실행
위협 인텔리전스 외부 위협 정보 분석 및 내 보안 정책과 자동 연동
예측 분석 장애 예측, 패턴 기반 이상 징후 사전 경고
네트워크 최적화 트래픽 흐름 분석, 병목 예측 및 개선

2. 기술 스택

  • AI/ML 엔진: PyTorch, TensorFlow 기반의 이상 탐지 모델
  • 실시간 스트림 처리: Apache Kafka, Flink, Spark Streaming
  • 데이터 수집기: Zeek, Suricata, NetFlow, sFlow
  • 시각화 및 분석 플랫폼: ELK Stack, Grafana, Kibana
  • SOAR 시스템: TheHive, Cortex, Shuffle

최신 솔루션 및 실제 활용 사례

1. 주요 솔루션

솔루션 주요 기능
Darktrace 자가 학습 AI, 이상행위 탐지, 실시간 격리
Cisco AI Network Analytics 네트워크 예측 분석, 장애 사전 감지
Dynatrace Davis 풀스택 모니터링, 자동 인시던트 분석
Mist AI (Juniper) 사용자 접속 시뮬레이션 기반 문제 해결
LogicMonitor / Auvik 클라우드-온프레미스 통합 모니터링

2. 실제 사례 요약

조직/사례 적용 내용
City of Las Vegas AI 기반 스피어피싱 차단, 네트워크 위협 자동 대응
RWE Group (소매기업) Cisco AI로 장애 예측, IT 리소스 절감
글로벌 제조사 AI 기반 마이크로세그멘테이션으로 내부 확산 차단
IBM 고객사 보안 이벤트 85% 자동 분석 및 인적 대응 부담 감소

도입시 고려 사항

  • 데이터 품질: 학습 및 탐지를 위한 정제된 고품질 로그 확보 필수
  • 시스템 통합성: 기존 보안 시스템(SIEM, IDPS 등)과의 API 연동 필요
  • 오탐 관리: 모델 검증, 경보 정밀도 향상 필수 (경보 피로 최소화)
  • 프라이버시/윤리: 민감 정보 수집에 대한 법적·윤리적 대응 필요
  • 전문인력 확보: AI 모델 튜닝, 보안 해석 등 복합적 역량 필요

보안 전략 수립 가이드라인

1. AI 보안 전략 핵심 원칙

전략 영역 내용
모델 최적화 조직 맞춤형 AI 탐지 모델 수립
데이터 거버넌스 수집-정제-접근 제어 체계 정립
기존 시스템 통합 SIEM, 방화벽, NDR 등과 연동
지속적 학습 체계 최신 위협 반영 + 전문가 피드백
프라이버시·윤리 투명성, 분산 학습, 법규 준수
Zero Trust 설계 동적 접근 제어 + 세그멘테이션

2. 모범 사례

  • AI–SOAR 연계 자동화 대응
  • 정기 모델 재학습 및 성능 검증
  • 적대적 AI 탐지 방어 강화
  • AI 인사이트에 기반한 위협 인텔리전스 강화

네트워크 방어 강화를 위한 AI 활용 방법

방법 주요 설명
실시간 이상 탐지 트래픽/로그/사용자 행동을 실시간 정밀 분석
자동화 대응 AI가 탐지 즉시 격리·차단·정책 변경
행동 기반 분석 UEBA 기반 내부자 위협 탐지
예측 분석 장애/공격 가능성 사전 경고
마이크로세그멘테이션 AI 기반 네트워크 자동 분할
전문가 협동 AI 속도 + 인간 판단의 결합으로 대응 정밀도 상승

도전 과제 및 대응 방안

도전 과제 대응 전략
데이터 품질 문제 로그 정제 자동화, 표준 포맷화
통합 복잡성 API 기반 모듈형 연동 설계
오탐·경보 피로 모델 성능 분석, 필터링 로직 고도화
프라이버시 민감정보 마스킹, federated learning 적용
적대적 AI AI 랜덤화, 위협 탐지 알고리즘 강화
전문 인력 부족 내재화 교육 + AI-보안 겸업 전문가 양성

AI 기반 네트워크 모니터링은 단순 이상 탐지를 넘어, 자동화된 대응, 예측 방어, 지속 학습 기반 보안 강화까지 실현 가능한 차세대 기술입니다.

AI 기반 NDR / UEBA 도입

1. 도입 배경 및 목적

  • 전통 보안 장비(방화벽, IDS/IPS)는 알려진 위협(시그니처 기반)에만 대응 가능하며, 내부자 위협·제로데이·우회 공격에 한계 존재
  • 트래픽/행동 기반의 실시간 분석 및 자동 대응 필요성 증가
  • 보안팀 인력 부담 해소 및 효율적 운영 자동화를 위한 AI 보안 시스템 필요

2. 도입 목표

  • 이상 행위 기반 실시간 탐지 정확도 향상
  • 수작업 탐지/분석/조치의 자동화
  • 내부 및 외부 위협에 대한 통합 탐지/대응
  • 위협 인텔리전스 연계 및 지속적 학습 기반 방어

3. 주요 구성 요소

구성 요소 설명
AI 기반 NDR 네트워크 트래픽 기반 이상행위 탐지 및 자동 격리
UEBA 엔진 사용자/디바이스 행동 분석, 비정상 행위 탐지
SOAR 연계 탐지 이벤트 기반 자동 대응, 워크플로우 처리
Threat Intelligence 연계 외부 위협 정보 기반 탐지 정확도 향상
시각화 플랫폼 실시간 대시보드, 알림 시스템, 트렌드 분석

4. 기대 효과

  • 위협 탐지 정확도 50% 이상 향상 (오탐 최소화)
  • 탐지부터 조치까지 평균 대응 시간 70% 단축
  • 내부 이상행위(계정 탈취, 내부자 유출 등) 식별 가능
  • 보안 운영 자동화에 따른 인력 부담 완화
300x250

운영 시나리오 예시 (AI NDR + UEBA)

시나리오 1: 이상 트래픽 자동 격리 (AI NDR)

단계 처리 내용
1 AI NDR이 특정 내부 서버로의 비정상 트래픽 급증 탐지
2 정상 트래픽 패턴과 비교하여 이상 징후 판별
3 방화벽 API 호출로 관련 IP 격리 조치
4 SIEM에 이벤트 기록, 보안팀 Slack 알림 자동 발송

시나리오 2: 계정 탈취 의심 탐지 (UEBA)

단계 처리 내용
1 동일 계정의 짧은 시간 내 해외/국내 동시 접속 탐지
2 평소와 다른 시간대·지역 접속으로 위험 스코어 상승
3 계정 잠금 → 보안팀 알림 → MFA 재인증 유도
4 인시던트 리포트 자동 생성 (TheHive 등 연계 가능)

시나리오 3: 신종 C2 통신 탐지 및 차단

단계 처리 내용
1 암호화된 이상 통신을 AI가 식별
2 Threat Intelligence로 연관된 악성 도메인 확인
3 DNS Sinkhole 등록 → 트래픽 차단
4 해당 시스템 세션 캡처 및 증적 확보 후 격리 처리

대응 프로세스 템플릿 (SOAR 연계)

[AI 탐지 → 자동 대응 프로세스 흐름도]

┌────────────┐
│ AI 탐지 모듈 │
└────┬───────┘
     │ 이벤트 생성
┌────▼───────┐
│ 이벤트 평가 │ (위험도 기반)
└────┬───────┘
     │ 고위험 이상 탐지 시
┌────▼─────────────┐
│ 자동 대응 워크플로우 │
│ (격리, 차단, 계정잠금 등)│
└────┬─────────────┘
     │
┌────▼───────┐
│ 티켓 생성 / 알림 │ (TheHive, Slack 등)
└────┬───────┘
     │
┌────▼────────┐
│ 수동 분석 필요시 │ (보안팀 연계)
└──────────────┘

[템플릿 예시: 자동 대응 워크플로우 표]

항목 내용
탐지 유형 이상 트래픽, C2 탐지, 내부자 행동 등
대응 조건 위험 스코어 ≥ 80
자동 조치 방화벽 룰 추가, 계정 잠금, 트래픽 차단
후속 알림 Slack DM / TheHive Case 생성
분석 연계 Packet 캡처, EDR 로그 연동, 사용자 인증 재검증

오픈소스 연동 아키텍처 개요

[Suricata / Wazuh (EDR)]
     ↓ 이벤트 수집
  +----------------+
  |    SIEM (ELK)  |
  +----------------+
     ↓ 필터링 / 매핑
    [n8n 또는 SOAR]
     ↓ 자동 분석 / 라우팅
+-----------------------+
|  TheHive Case 생성   |
+-----------------------+
     ↓ 분석가 대응
     ↓ 또는 자동화 분기
+-----------------------------+
| Cortex / 자동 대응 트리거   |
| (격리, 통제, 티켓 연동 등) |
+-----------------------------+

1. Suricata – 네트워크 위협 탐지

  • IDS/IPS 역할 수행
  • AI 모델 혹은 Suricata 룰 기반으로 이상 네트워크 탐지
  • Suricata 로그를 Filebeat를 통해 Elasticsearch로 전송
  • Kibana 대시보드에서 실시간 패턴 감시
  • 탐지 로그가 특정 조건(예: ET MALWARE, 특정 IP)일 경우 n8n Webhook 호출
# filebeat.yml 예시
filebeat.inputs:
- type: log
  paths:
    - /var/log/suricata/eve.json
output.elasticsearch:
  hosts: ["http://elk:9200"]

2. Wazuh – 호스트 기반 이상 탐지 및 정책 점검

  • 실시간 파일 모니터링, 로그 수집, FIM, SCA 정책 점검
  • AI 모델 학습용 이벤트 수집 가능
  • Wazuh 이벤트 중 "high", "critical" 위험도인 경우 n8n으로 전송
  • 결과를 TheHive Case로 등록
// Wazuh 규칙 (ossec.conf)
<rule>
  <level>10</level>
  <field name="event.category">malware</field>
  <decoded_as>base64</decoded_as>
  <action>webhook</action>
  <url>https://n8n.mysec.com/webhook/wazuh_alert</url>
</rule>

3. n8n – 탐지 이벤트 처리 및 자동화 흐름

  • Webhook 수신 → 필터링 → 자동 분석 → TheHive API 호출
  • Cortex 분석, 슬랙 알림, 블랙리스트 등록 등 자동화 수행
  1. Webhook → JSON 파싱
  2. 조건 분기: 위험도 ≥ 8
  3. TheHive API로 Case 생성
  4. 동시에 Slack, EDR, 방화벽 트리거 실행
n8n Flow 예시
[Webhook] → [Set: 위험도/타겟 IP] → [IF: 위험도 ≥ 8]
    ├──→ [HTTP Request: TheHive Case 생성]
    ├──→ [Slack Notification]
    └──→ [EDR API Call (격리)]

4. TheHive – 인시던트 분석 및 대응 중심

  • n8n에서 전송한 위협 이벤트를 기반으로 Case 자동 생성
  • 분석가는 이벤트 검토, 코멘트, 상태 변경
  • 자동 태스크 등록 및 Cortex와 연계 가능

 

연동 예시 (n8n → TheHive Case 생성 HTTP 요청)

POST /api/case
Authorization: Bearer <API_KEY>
Content-Type: application/json

{
  "title": "Suspicious Traffic from 10.0.0.5",
  "tlp": 2,
  "severity": 2,
  "description": "Suricata triggered ET MALWARE rule",
  "tags": ["Suricata", "AI", "n8n"],
  "customFields": {
    "sourceIP": { "string": "10.0.0.5" },
    "destinationIP": { "string": "8.8.8.8" }
  }
}

5. Cortex 연동 – 자동 분석 및 외부 API 연계

  • IP Reputation, 파일 해시 분석, 악성 여부 조회
  • YARA, VirusTotal, Hybrid Analysis 연계
  • 결과는 다시 TheHive Case에 자동 코멘트 추가
  • TheHive → Cortex 분석 요청 (Analyzer 실행)
  • 결과는 Observables에 자동 기록 + Case에 코멘트로 추가

 활용 시나리오별 정리

시나리오 구성 도구 대응 방식
악성 트래픽 탐지 Suricata + n8n IP 격리 + Slack 알림 + Case 등록
악성코드 다운로드 탐지 Wazuh + n8n 파일 해시 분석 → 격리
내부자 이상행위 Wazuh UEBA + n8n 이상 로그인 감지 → 계정 잠금 요청
AI 모델 기반 트래픽 스코어링 Suricata + AI 연계 AI Score ≥ 90 → 자동 차단/조사
728x90
그리드형(광고전용)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