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상생페이백 핵심 요약
- 무엇을 주나요?
- 2024년 월평균 카드 사용액 대비, 2025년 9–11월 월별 증가분의 20%를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
- 월 최대 10만 원, 3개월 최대 30만 원 (누적)
- 누가 신청하나요?
- 만 19세 이상(2006.12.31. 이전 출생)
- 2024년 본인 명의 신용/체크카드 사용 실적이 있는 내국인·외국인(본인 신청만 가능, 법인/가족카드 실적 제외)
- 기간/방식
- 신청 후 9–11월 카드 사용 실적을 합산 비교해 월별 환급 (카드사는 통상 월 단위 정산)
- 카드사 앱/웹에서 본인인증 후 신청(FAQ·안내는 상생페이백.kr)
- 간단 예시
- 2024년 월평균 100만 원 → 2025년 10월 130만 원 사용 = 증가분 30만 원 → 환급 6만 원(20%)
※ 온라인·무인결제 등 일부 업종/거래는 정책 취지(오프라인 취약상권 지원)에 따라 제외될 수 있습니다.
수도권·주요 지역 현황
- 사용자가 제공한 집계에 따르면 신청 첫날 약 79만 명, 그중 수도권 44만 명(55.5%).
- 수도권 세부(경기 21.4만, 서울 17.6만, 인천 5만), 주요 지역: 부산 5.2만, 경남 4.5만, 대구 4만.
위 수치는 초기 집계로, 이후 공식 통계 공표 시 변동될 수 있습니다.
상생페이백 신청 절차 & 준비물
온라인(권장)
- 카드사 앱/웹 접속 → 상생페이백 메뉴 → 본인인증 → 신청 완료
- 카드사 연동으로 사용 실적 자동 조회(추가 서류 불필요)
오프라인(디지털 취약계층 보완)
- 전통시장 상인회, 소상공인지원(센터), 지정 은행 영업점 등 방문
- 신분증, (기관/현장 양식) 신청서, 최근 3개월 결제내역(증빙), 본인 명의 계좌정보, (사업자) 사업자등록증 준비
- 실제 접수처·서류는 지자체/기관 공지를 따르며, 점포별 안내가 상이할 수 있습니다. (오프라인 가능 경로는 현장 공지 기준)
상생페이백 런칭 기념: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이벤트(앱)
- 기간: 9/5–9/30
- 참여: 디지털 온누리 앱에서 5만 원 이상 누적 충전 시 자동 응모
- 혜택: 1만 명 추첨, 각 1만 원 상품권 지급(1회 응모, 지급일로부터 30일 이내 사용 등록)
이벤트 운영은 앱 공지 기준이며, 상세/변경 사항은 디지털 온누리 앱 내 공지 확인이 가장 정확합니다.
모바일·전자·온라인 상품권 만료 후 환불 제도(업데이트)
- 현금 환불 시
- 5만 원 초과 → 95% 환불, 5만 원 이하 → 90% 환불
- 포인트·적립금 등 현금 외 환불: 금액 구분 없이 최대 100% 환불
- 비회원 구매/회원 탈퇴/시스템 장애 등에서도 미사용 잔액 환불 가능 범위 확대
- 위 기준은 표준약관 개정과 후속 시정(발행사 약관 개선)의 결과로, 각 사업자 약관 반영 시점에 따라 적용됩니다.
표준약관 개정의 근거는 공정위 신유형 상품권 표준약관 고시/개정 내역을 참고하세요.
‘여행가는 가을’ 관련 숙박 할인(숙박세일페스타)
- 가을·겨울편으로 숙박 할인권 80만 장(총 236억 원) 배포(가을편 비수도권 2–3만 원, 특별재난지역 최대 5만 원)
- 발급 시점/참여 OTA/세부 조건은 회차별 공지 확인(예: 8/20부터 발급, 겨울편 11/3–12/7 등 회차별로 상이)
- 정책브리핑 공지와 문체부 안내(한국관광공사 협업) 확인 권장.
300x250
2025년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민생지원금) 최신 요약
- 지급 시기: 9/22 시작(신청/지급 절차 개시)
- 대상: 소득 상위 10% 제외, 국민 90%에 1인당 10만 원 추가
- 방식: 2단계 선별
- 재산 기준 컷오프(예: 가구 재산세 과세표준·전년도 금융소득으로 고액자산가 제외)
- 건강보험료 가구 합산 기준 이하인 경우 지급
- 신청/안내: 카드사·앱·주민센터, 국민비서 사전 알림 제공(카카오·네이버·토스 등)
- 1·2차 사용기한 및 요일제(첫 주 5부제) 등 신청 안내는 정부 카드 가이드를 참고.
※ 가구원 수/가입 유형별 건보료 세부 커트라인 금액은 매뉴얼표에 따르며 회차별 공지로 달라질 수 있음.
보안 주의사항
- 피싱/스미싱 차단
- “상생페이백/소비쿠폰 당첨·신청 링크” 문자/메신저 URL 클릭 금지
- 공식 도메인 직접 입력(예: 상생페이백.kr, 정책브리핑 korea.kr, 카드사 앱) 원칙
- URL Rewrite/샌드박스: 단축 URL·리디렉션 우회 주의
- 계정·인증 보호
- 카드사/간편결제 앱 MFA 필수 권장
- 앱 위변조/루팅 탐지 켜기, 알림 설정으로 승인 내역 실시간 확인
- 공용기기에서 신청 금지(세션/캐시 잔존 위험)
- 개인정보 최소화
- 오프라인 제출 시 주민번호 뒷자리 마스킹, 필요 서류 외 사본 제출 금지
- 도움 창구는 설명·링크만 제공, 대리 신청 금지(책임소재/개인정보 위험)
자주 묻는 질문(FAQ)
- 9월 말에 신청해도 9월 사용분 환급되나요?
→ 가능. 신청은 1회면 되고, 카드 사용기간(9–11월) 증가분이 소급 반영됩니다. (카드사 정산 주기에 따름) - 여러 카드 사용액이 합산되나요?
→ 본인 명의 국내 신용/체크카드 합산(법인/가족카드 제외). - 온라인 결제는 제외?
→ 정책 취지상 오프라인 중심. 온라인/무인결제 등은 제외될 수 있어 공식 FAQ 확인 필요. - 디지털 온누리 사용처/유효기간은?
→ 전통시장·상점가 등 약 13만 가맹점, 유효기간 5년(앱 ‘가맹점 찾기’). - 2차 민생지원금 요일제·신청 채널은?
→ 1차와 유사한 첫 주 요일제(5부제), 카드사·앱·주민센터 등. 사용기한 등은 정부 카드형 안내 참조.
빠른 체크리스트
- 상생페이백 본인 신청 완료(카드사 앱)
- 9–11월 카드 사용 패턴 점검(오프라인 사용 확대 필요 여부)
- 디지털 온누리 앱 설치/가맹점 확인
- 숙박세일페스타 참여 OTA/발급일 확인(가을·겨울편)
- 2차 민생지원금 9/22 일정/대상 확인(국민비서 알림 구독 추천)
- 사내 피싱 경보 공지 배포 및 DNS/메일 룰 적용
관련 공식 안내: 상생페이백 개요/FAQ, KTV 정부설명, 숙박세일페스타 가을·겨울편, 민생회복 소비쿠폰 2차 일정.
728x90
그리드형(광고전용)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