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마트폰 (Mobile)

스마트홈 업그레이드: Konnected와 Home Assistant에 ESPHome 연결

by 날으는물고기 2025. 10. 12.

스마트홈 업그레이드: Konnected와 Home Assistant에 ESPHome 연결

728x90

무슨 일이 일어났나

  • Konnected가 ‘Works with Home Assistant’ 프로그램에 공식 합류했습니다. 이 합류로 Konnected의 주요 제품(특히 두 가지 모델의 Smart Garage Door Opener 및 Alarm Panel Pro)이 Home Assistant 환경에서 ‘검증된(works-with)’ 장치로 인증되었습니다.
  • Konnected는 기존에 자체 통합도 제공했지만, 이제는 ESPHome 기반의 공식 ESPHome 템플릿/레시피(오픈소스)를 유지·배포하여 Home Assistant와의 로컬 통합과 사용자 커스터마이즈를 표준화하고 있습니다.

왜 눈여겨봐야 하나

  • Konnected Smart Garage Door Opener (blaQ) — Chamberlain / LiftMaster 등 Security+ 계열 오프너를 로컬로 제어하기 위한 모델(보안 프로토콜 지원).
  • Konnected Smart Garage Door Opener (White, v2) — 드라이 컨택트(또는 광학 센서 내장) 기반의 호환성이 넓은 모델(일반 드라이버·접점 방식).
  • Konnected Alarm Panel Pro (12-zone) — 기존 유선 경보(알람) 시스템을 그대로 살려 Home Assistant에 통합하는 12존 패널, Wi-Fi / Ethernet / PoE(지원) 및 12V 전원 아웃풋 등을 지원.

왜 ESPHome으로 통합하는가

  • 완전 로컬 제어: 클라우드에 의존하지 않고 Home Assistant에서 실시간 제어 및 자동화 가능.
  • 투명한 오픈소스 펌웨어: Konnected가 ESPHome용 구성 템플릿을 공개해 누구나 읽고 수정·빌드 가능(수정/포크/기여 가능).
  • Home Assistant와의 최적 통합: ESPHome의 Native API를 통한 저지연 이벤트 전송과 자동 재접속 기능 등으로 자동화 신뢰도가 높음.
300x250

ESPHome으로 Konnected 기기 DIY/통합

아래는 ‘계획 → 준비 → 설치 → 확인 → 운영’까지의 전체 워크플로우로, 각 단계에 예시와 구체적 설정 샘플을 포함합니다.

The Konnected Smart Garage Door Opener blaQ

1단계 — 사전 계획 (꼭 확인할 것)

  1. 내 차고문(또는 오프너) 종류 확인
    • Security+ / Security+ 2.0(Chamberlain/LiftMaster/Craftsman 등)인지, 아니면 단순 드라이 컨택트 방식인지 판단. (blaQ는 Security+ 계열 대상, White는 드라이 컨택트형 지원).
  2. 기존 유선 경보 패널 구조 파악(Alarm Panel 연결 시)
    • 존(Zone) 수, 센서 타입(NC/NO), 기존 파워(12V 공급 유무) 등 확인. Alarm Panel Pro는 12존·PoE·12V 출력 등 전원 옵션을 제공.
  3. 네트워크(와이파이 SSID/비밀번호) 및 Home Assistant 접근 준비
    • ESPHome이 Home Assistant와 통신하려면 로컬 네트워크 접근이 필요합니다.

2단계 — 준비물

  • Konnected 기기(Alarm Panel Pro 또는 GDO blaQ/White)
  • Home Assistant(운영 중) + ESPHome 통합(ESPHome Dashboard 또는 Add-on 설치 권장)
  • 기본 전동 공구, 절연 장갑, 전선/커넥터, 멀티미터
  • (옵션) PoE 스위치/인젝터(Alarm Panel Pro 사용 시), 12V 어댑터(기본 제공 모델 확인)

3단계 — 실제 설치

  1. 펌웨어 확보 방법(권장 순서)
    • 빠르고 안정적인 방법: Konnected가 제공하는 사전 빌드 이미지(웹 플래셔) 사용(장비 전원 연결 → 캡티브 포털로 와이파이 설정 → 자동 프로비저닝).
    • 대체 방법(커스터마이즈): ESPHome Dashboard에서 Konnected의 GitHub 템플릿을 “Import”하여 필요한 부분(substitutions)만 수정 후 빌드/플래시. (Konnected는 공식 ESPHome YAML 템플릿을 유지·배포함).
  2. 기기 초기 네트워크 연결(캡티브 포털)
    • 기기 전원 인가 → konnected-XXXXXX 와이파이 접속 → 집 네트워크 정보 입력 → 기기가 LAN에 붙으면 Home Assistant에서 자동 발견 가능.
  3. 물리 배선(요점)
    • Alarm Panel Pro: 기존 센서의 COM / NC 또는 NO 라인을 각 존 입력에 연결. Siren · 키패드 · 12V 출력 등은 제품 사양에 맞게 연결. PoE 사용 시 전원 어댑터를 빼고 PoE를 통해 전원 공급 가능. (전원 규격·A수 확인 필수).
    • GDO(White): 벽 버튼(일반적으로 빨강/흰색 선)을 드라이 컨택트 입력에 연결. White 모델의 광학 도어 센서 기능을 활용하면 별도 닫힘 센서가 필요 없을 수 있음.
    • GDO(blaQ): Security+ 시리얼·프로토콜 지원 모델은 관련 시리얼선(또는 전용 터미널)을 정확히 연결(구체 배선은 제품 매뉴얼 따름).

4단계 — Home Assistant에 연결·검증

  • Home Assistant → Settings → Devices & Services(또는 Integrations)에서 ESPHome 장치가 자동으로 발견되는지 확인. 발견되면 엔티티(예: binary_sensor.garage_door, switch.gdo_relay, binary_sensor.zone_1)가 생깁니다.

실용 예시 구성

아래 예시는 샘플 목적으로 간단화한 템플릿입니다. 실제 기기(핀 배치/하드웨어 버전)에 따라 board·GPIO 번호·패키지 옵션 등을 반드시 조정하세요. Konnected의 공식 템플릿을 가져와 substitutions만 바꿔 쓰는 방식이 가장 안전합니다.

A) Home Assistant 자동화 예제: 차고문 열림 알림

alias: "차고문 열림 알림"
trigger:
  - platform: state
    entity_id: binary_sensor.garage_door_open
    to: 'on'
action:
  - service: notify.mobile_app_myphone
    data:
      message: "차고문이 열렸습니다!"

(엔티티 이름은 실제 장치 이름으로 바꿔 사용)

B) ESPHome 예제: Alarm Panel

(실제 Konnected 템플릿은 더 많은 package와 주석을 포함합니다 — 아래는 구조 예시)

esphome:
  name: alarm_panel_pro_example
  platform: ESP32
  board: esp32dev

wifi:
  ssid: "YOUR_SSID"
  password: "YOUR_PASSWORD"

logger:
api:
ota:

# 예시: 존(zone) 하나만 보여줌(실제는 12개)
binary_sensor:
  - platform: gpio
    name: "Alarm Zone 1"
    pin:
      number: GPIO34
      mode: INPUT_PULLUP
      inverted: true
    filters:
      - delayed_on: 10ms
      - delayed_off: 10ms

switch:
  - platform: gpio
    name: "Siren Output"
    pin: GPIO12
    restore_mode: ALWAYS_OFF

실제 Alarm Panel Pro용 공식 템플릿은 12존, 키패드, 경보출력, 12V 아웃 등 패키지로 정리되어 있으니 Konnected의 konnected-esphome 템플릿을 가져오는 것을 권장합니다.

C) ESPHome + Security+ (blaQ) 예시: 구성 개념

Security+ 지원은 Konnected가 제공하는 secplus GDO 컴포넌트를 사용합니다(외부 컴포넌트). 실제 사용은 Konnected의 GDO 템플릿을 불러오세요 — 아래는 외부 컴포넌트 포함 예시(개념)

esphome:
  name: gdo_blaq_example
  platform: ESP32
  board: esp32dev

external_components:
  - source: github://konnected-io/esphome-secplus-gdo@main

wifi:
  ssid: "YOUR_SSID"
  password: "YOUR_PASSWORD"

api:
ota:
logger:

# UART는 예시 핀, 기기 보드에 맞게 조정
uart:
  tx_pin: GPIO17
  rx_pin: GPIO16
  baud_rate: 9600

# secplus component가 제공하는 플랫폼(구성법은 컴포넌트 문서 참조)
secplus_gdo:
  tx_pin: GPIO17
  rx_pin: GPIO16

binary_sensor:
  - platform: secplus_gdo
    name: "Garage Door (Security+)"
    id: garage_open

secplus 컴포넌트는 Security+ 프로토콜로 상태를 읽고 명령을 전송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Konnected가 이 컴포넌트를 유지관리)

자주 발생하는 문제와 해결 팁 (Troubleshooting)

  • 기기 미발견: ESPHome api: 설정이 되어 있는지, 방화벽/VLAN에서 mDNS(또는 포트)가 차단되지 않았는지 확인.
  • 존 상태가 반대로 표시된다: 센서(마그네틱/리드)의 NC/NO와 ESPHome의 inverted: 설정을 확인(또는 pull-up/pull-down 설정 확인).
  • 전원/PoE 이슈: Alarm Panel Pro는 PoE+ 호환(전원 한계 확인 필요)이며 포함 어댑터의 출력(예: 12V DC 2.5A)과 실제 부하(사이렌·센서 전류)를 비교하세요.
  • GDO가 동작하지 않음(특히 Security+): 모델(learn button 색상/타입)과 Konnected에서 제공하는 GDO variant(White vs blaQ) 매칭을 반드시 확인하세요.

보안 체크리스트

  • 전기 안전: 유선 알람·차고문 메커니즘은 위험할 수 있으니 전원 차단 후 배선 작업. PoE/12V 취급 시 규격 준수.
  • 네트워크 보안: ESPHome 장치는 로컬 네트워크에 연결됩니다 — 게스트 VLAN 분리, 강력한 Wi-Fi 비밀번호, Home Assistant API·토큰 관리 권장.
  • 안전 규격 준수: 특히 차고문은 사람이 오갈 수 있어 ‘사전 닫힘 경고’ 등 안전 기능을 활성화하세요. (특정 Security+ 구현은 이런 규정 준수 기능을 포함)

핵심 액션 아이템

  1. 내 장비(오프너/경보 패널) 타입을 확인 → Konnected의 어느 모델(White/blaQ/Alarm Panel Pro)과 맞는지 결정.
  2. Konnected의 공식 ESPHome 템플릿(konnected-esphome)을 ESPHome Dashboard로 불러와 substitutions만 조정해 사용(가장 쉬움).
  3. 네트워크·전원·배선 안전을 확인 후 설치 → Home Assistant에서 장치가 정상적으로 발견되는지 검증.

사용 중인 Konnected 모델 명칭과 Home Assistant 설치 형태(Hass OS / Core / Supervised) 정보로 맞춤형 ESPHome YAML(기기별 GPIO·패키지 반영)을 만들어서 적용합니다.

728x90
그리드형(광고전용)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