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개요와 배경
① 정의
다크웹 모니터링은 Tor·I2P 기반 마켓/포럼/채널, 크랙/덤프 저장소, 초대형 Paste/텔레그램 등 비가시 채널에서 자사 관련 노출 징후(계정, 소스코드, DB 덤프, 내부명, 설계문서, 액세스 토큰 등)를 탐지·경보·대응하는 활동입니다.
② 왜 필요한가
- 침해 후 데이터 재유출·2차 협박을 사전 포착
- 고객/파트너 데이터 유출 시 법규 통지·완화 근거 확보
- 공격자 TTP·유통 가격·구매자 반응 등 위협 인텔리전스 보강
③ 한계
- 전체 커버리지 불가(폐쇄 포럼, 초대제, 휘발성 링크)
- 미탐/오탐 존재 → 지속 튜닝과 인력 개입이 필수
툴 분류와 선택 기준
① 제품 유형(혼합 사용 권장)
- 엔드투엔드형 플랫폼: 수집+분석+알림+대응 연계가 일체형
- 데이터 피드형: 다크웹 인텔 데이터/API만 제공(내부 SIEM/SoC가 처리)
- 오픈소스/도구형: 크롤/스캔/분석 유틸(보완·보조 용도)
② 핵심 기능 체크
- 커버리지: Tor/I2P/딥웹/암시장/포럼/메신저/깊이수준
- 탐지 품질: 키워드·패턴·유사도 매칭, 언어/슬랭·이미지(OCR) 지원
- 실시간성: 이벤트 지연(분/시간), 재알림, 중복 억제
- 컨텍스트: 공격자 프로필, TTP, 거래내역, 신뢰도 스코어
- 연동성: SIEM/SOAR/EDR/Jira/Slack/Webhook, API/SDK, STIX/TAXII
- 규정 준수: 개인정보·통신비밀·저작권·사생활 침해 회피 통제
- 운영 편의: 대시보드, 케이스 관리, 자동 티켓팅, 멀티테넌시
③ 조직 규모별 권장
- 중소: 엔드투엔드형(간편 운영, 알림→처리 자동화 중심)
- 중대형: 데이터 피드 + 내부 SIEM 상관분석 + SOAR 플레이북
- 규모混: 핵심 영역은 플랫폼, 보완용으로 오픈소스 병행
벤더 비교 프레임(예시)
구분 | 엔드투엔드 A | 엔드투엔드 B | 데이터피드 C | 오픈소스 묶음 |
---|---|---|---|---|
커버리지 | ★★★★☆ | ★★★★☆ | ★★★★★(데이터량) | ★★☆☆☆ |
탐지 정확도 | ★★★★☆ | ★★★☆☆ | ★★★★☆ | ★★☆☆☆ |
실시간성 | 분 단위 | 수십분~1h | 분~시간 | 가변 |
연동성 | 풍부 | 보통 | API 중심 | 직접개발 |
비용/총소유비용 | 상 | 중~상 | 중(데이터량 변동) | 저(인건비↑) |
적합 | 빠른 도입 | 균형형 | 고급 SIEM 연계 | 실험/보조 |
실구매 전 POC 체크리스트를 반드시 돌리고, 알림 품질/지연/오탐·미탐, 내부 연동 난이도, 로그/증적 품질을 정량화하세요.
300x250
POC·RFP 핵심 질문
- 수집원/포럼 커버리지, 비공개 채널 접근 방식, 차단 시 우회 전략
- 한국어·한글 약칭/속어·브랜드 변형·이미지(OCR) 탐지 지원
- 알림 지연, 중복 억제, 임계치/휴지기(Throttle) 설정
- API(쿼터/속도/보안)·웹훅·STIX/TAXII·Syslog 지원
- 케이스/증적 보존 포맷, 법적 분쟁 대응 감사추적성
- 라이선스 모델(사용자/자산/알림/도메인), TCO와 확장 비용
- SLA(가용성/지원/패치), 침해 시 벤더 책임과 역량
- 데이터 보관 장소/기간, 개인정보 처리, 서브프로세서 공개
구축 아키텍처(참고 토폴로지)
- 수집/분석 플랫폼 → 이벤트 버스(Kafka/Webhook) →
SIEM(Elastic/Chronicle/Splunk) 상관 규칙 →
SOAR(자동 조치) + 티켓(Jira/TheHive) + 알림(Slack/메일) →
EDR/IDP/프록시/NGFW 정책 변경(암호 재설정, 토큰 폐기, 도메인 차단 등)
운영 표준(Playbook/Runbook)
① 탐지 키워드 설계
- 기본: 회사/브랜드/도메인, 임직원 메일도메인, 제품/서비스명, 내부 코드명
- 고급: API 키 패턴, 토큰 접두사, 저장소·레포명, 내부 URL 규칙, 결제·PG 키워드
- 변형: 철자 변형, 띄어쓰기, 은어/속어, 스크린샷·이미지 텍스트(OCR)
② 심각도 스코어(예시)
- Critical: 인증정보+2FA우회/소스코드/고객 DB 덤프 거래
- High: 관리자 메일/SSO 토큰, 내부 문건 다량 스크린샷
- Medium: 단일 사용자 크리덴셜, 낮은 신뢰 커뮤니티 언급
- Low: 루머·중복·재탕 링크
③ 조치 흐름(요약)
- 알림 수신 → 증적 수집·해시화 → 진위·중복 확인 → 심각도 산정 →
즉시 조치(자격증명 회수/토큰 폐기/도메인 차단/법무 통지) →
고객/파트너 영향 평가·통지 → 루트코즈(피싱/악성앱/내부실수) →
탐지 규칙·키워드 튜닝 피드백
SIEM·SOAR 연동 예시
① ElastAlert(rule.yaml)
type: any
index: darkweb-alerts-*
filter:
- query:
query_string:
query: 'severity:("high" OR "critical") AND (keywords:("companyname" OR "productX"))'
realert:
minutes: 30
aggregation:
minutes: 10
alert:
- post
http_post_url: "https://soar.example/api/cases"
http_post_headers:
Content-Type: "application/json"
http_post_payload:
title: "Darkweb alert: {match[title]}"
severity: "{match[severity]}"
ioc: "{match[ioc]}"
link: "{match[source_url]}"
② Sigma 규칙(범용 예시)
title: Darkweb Credential Exposure
logsource:
product: darkweb
detection:
selection:
event.category: "credential"
event.severity|contains:
- high
- critical
condition: selection
fields:
- user.email
- artifact.password_hash
level: high
③ Webhook 수신 → Jira 티켓 생성(Python 예시)
from flask import Flask, request
import requests, hashlib, json, time
app = Flask(__name__)
JIRA_URL = "https://jira.example/rest/api/2/issue"
JIRA_AUTH = ("svc_soar", "token")
@app.post("/darkweb/webhook")
def recv():
evt = request.json
blob = json.dumps(evt, sort_keys=True).encode()
evid = hashlib.sha256(blob).hexdigest()[:16]
if evt.get("severity") not in ("high", "critical"):
return {"status":"ignored"}, 200
issue = {
"fields": {
"project": {"key": "SEC"},
"summary": f"[DW] {evt['title']} ({evid})",
"description": f"""Source: {evt.get('source')}
Keywords: {evt.get('keywords')}
IOCs: {evt.get('ioc')}
Evidence: preserved in S3://ir-bucket/{evid}
Time: {time.ctime()}""",
"issuetype": {"name": "Incident"},
"priority": {"name": "High" if evt["severity"]=="high" else "Critical"}
}
}
r = requests.post(JIRA_URL, auth=JIRA_AUTH, json=issue)
r.raise_for_status()
return {"status":"created", "key": r.json()["key"]}, 201
if __name__ == "__main__":
app.run(port=8080)
증적 보존·법무·컴플라이언스 포인트
- 증적 보존: 스크린샷/HTML/원문 텍스트/해시(SHA-256)/타임스탬프/수집자·경로 기록
- 사생활/개인정보 보호: 불필요한 PII 저장 최소화, 마스킹 정책 적용
- 로깅: 수집→분석→조치 전 과정을 감사불변 로그(예: WORM/S3 Object Lock)
- 통지 의무 판단: 고객·파트너·규제기관 통지 기준과 템플릿 사전 마련
- 법무 연계: 증적 제출 포맷, 외부 포렌식 위탁 절차, 민형사 리스크 평가
일일/주간 운영 체크리스트
- 키워드/패턴 최신화(신규 서비스명, 내부 코드명 포함)
- 고심각 알림 MTTA/MTTR 점검(목표치 예: MTTA 15분, MTTR 4h)
- 오탐 상위 Top10 분석 → 규칙/필터 개선
- 재유포/가격 변동 추세 모니터링(2차 피해 가능성 평가)
- 취약 루트(피싱·토큰유출·오픈리포지토리) 역추적 완료율
- 교육/캠페인: 비밀번호 재사용 방지, MFA 필수, 키/토큰 보관 금지
- 백로그: 미처리 케이스, 법무 검토, 고객 통지 잔여건
탐지 규칙·패턴 예시
① API 키/토큰 패턴(예시·튜닝 필요)
AKIA[0-9A-Z]{16}
(클라우드 키 유형)xox[baprs]-[0-9a-zA-Z-]{10,}
(챗/협업 토큰류)ghp_[0-9A-Za-z]{36}
(개발 호스팅 토큰류)
② 이메일/도메인 변형 매칭(정규식 예시)
(?:company|pages)[\.\-_ ]?(?:corp|global|co|io)?
시각적 동형이의어(라틴·키릴 혼용) 포함. 실제 배포 전 화이트리스트와 함께 튜닝 필수.
③ Elastic Query(Discover/KQL 예시)
severity : ("high" or "critical")
and (keywords : ("회사명" or "브랜드" or "제품명*"))
and not tags : ("false_positive" or "test")
④ Wazuh/EDR 연동(토큰 폐기 자동화 의사코드)
# SOAR action
- if: event.type == "token_leak" and severity in ["high","critical"]
then:
- call: revoke_token(api_key=event.ioc.token)
- call: disable_account(email=event.user.email)
- call: open_case(ref=event.id, playbook="DW-CRED-REVOKE")
내부 사용자 공지·교육(샘플 문안)
- “외부 저장소/개인 노트에 고객 데이터·API 키·토큰 저장 금지”
- 비밀번호 재사용 금지 + MFA 필수(메일·SSO·개발자 계정 포함)
- 외부 협업도구 공유링크는 만료·비공개 기본값
- 의심 메일/메신저: 보안팀 신고 → 샘플/헤더 전달
- 개발/운영자는 보안 시크릿 매니저·KMS 사용, 레포 스캔 자동화
성과지표(KPI)·운영 SLA
- 탐지 지연(수집→경보): 평균/95p
- MTTA/MTTR: 경보 인지/종결까지 걸린 시간
- 오탐율/미탐 의심 지표: 표본 재점검·레드팀 시뮬
- 자격증명 회수율: 탐지 24h 내 회수·폐기율
- 재유출 억제율: 동일 건 재유포 감소 추세
- 교육 이행률: 고위험 부서 MFA, 키 보관 위반 건수 추세
도입·확장 로드맵
- MVP: 엔드투엔드형 플랫폼 1종 + Slack/Jira 연동 + 최소 규칙
- 1차 고도화: SIEM 상관·ElastAlert/Chronicle 규칙, SOAR 폐기/차단 자동화
- 2차 고도화: 데이터 피드 추가, 언어/이미지 인식 확대, 가격/재유포 트레킹
- 지속 개선: 레드팀 유출 시뮬, 오탐/미탐 개선 사이클 운영
운영 예시 시나리오(End-to-End)
- 상황: “제품X-관리자.zip” 판매 게시글 감지, 설명에 “SSO 우회 가능” 명시
- 조치
- 증적 캡처·해시, 판매자 프로필 수집
- 내부 SSO 로그 상 동시간대 비정상 로그인 시도 상관분석
- 관리자 계정 암호 재설정+MFA 재등록 강제, 관련 API 키 회수
- 제품X 서버 접근 토큰 폐기, 방화벽 정책 임시 상향
- 고객 영향도 평가·필요시 통지, 루트코즈(피싱 메일) 재현·교육
- “제품X·SSO·관리자” 키워드 가중치 ↑, 동일 패턴 자동 티켓팅
최소 구성(빠른 시작) 체크리스트
- 툴 1종 + 전사 키워드 세트 + Slack/Jira/Webhook
- 케이스 템플릿(증적·분류·조치·법무) + 증적 저장소(WORM)
- SIEM 인덱스
darkweb-alerts-*
+ 기본 상관 룰 3개 - 플레이북 2개: (1) 크리덴셜 유출, (2) 소스코드/설계 유출
- 월간 리뷰: 오탐 Top, 개선안·튜닝 실행, KPI 리포트
728x90
그리드형(광고전용)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