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정시모집의 흐름과 핵심 변화
2026학년도 정시모집은 ‘수능 중심 선발 강화’와 ‘교차지원 확대’가 두드러진 특징입니다.
전반적으로 대학들은 수능 위주 전형 비율을 유지하거나 확대했으며, 수능 반영 방법과 가산점 정책에 따라 대학별 유·불리가 크게 달라졌습니다.
- 정시 비율: 서울 주요 대학 평균 40~45% 수준 유지
- 교차지원 확대: 인문계 학생의 자연계 지원, 반대로 자연계 학생의 인문계 진출도 증가
- 탐구과목 반영 다양화: 일부 대학은 ‘탐구 2과목 평균’, 일부는 ‘상위 1과목만 반영’
- 지역균형 및 지역인재 전형 강화: 지방 거점국립대 중심으로 지역인재 선발 비율 상승
지역별 주요 특징 요약
수도권 (서울·경기·인천)
- 서울권 대학은 여전히 수능 중심의 전형이 절대적이며, 가산점 구조(예: 자연계 수학·과탐 선택) 차이에 따라 점수 격차가 커짐.
- 주요 대학 예시
- 서울대: 지역균형(수능+교과 평가) 유지, 일반전형은 수능 100%
- 연세대·고려대: 탐구 2과목 반영 방식 유지, 영어 절대평가 영향 미미
- 경희대·중앙대·한양대: 인문·자연 교차지원 유리 학과 존재 (예: 경영, 심리, 데이터사이언스)
📊 [자료집 20~25쪽]에는 수도권 주요 대학의 수능 영역별 반영비율 비교표가 수록되어 있으며, 수학 ‘미적분’ 또는 ‘기하’ 선택자의 유불리가 한눈에 정리되어 있습니다.
충청권 (대전·충북·충남)
- KAIST, 충남대, 충북대 중심으로 지역균형 강화.
- 교과 반영 최소화, 수능 100% 전형 확대가 특징.
- KAIST·한남대 등 일부 대학은 AI·소프트웨어 계열 모집 확대로 자연계 학생 유입 증가.
호남권 (광주·전북·전남)
- 전북대·전남대는 지역인재 비율 40% 이상 유지.
- 광주과학기술원(GIST)는 수능 100% 전형 운영.
- 인문계는 교차지원 허용 폭이 넓어졌고, 자연계는 의·치·약학계열 집중 현상 강화.
영남권 (부산·대구·경북·경남)
- 부산대, 경북대, 울산대 등 거점국립대의 경쟁률 상승 예상.
- 의·치·약학계열 쏠림 현상 극심 — 특히 경북대 의예과, 부산대 약학과 상위권 몰림.
- 가산점 반영방식 차이로 인해 동일 점수대 학생 간 유불리 발생 가능.
[자료집 60-70쪽]에는 영남권 대학별 ‘의·치·약 정시 경쟁률 추이 그래프’가 제공되어 있으며, 2024-2026년 사이 경쟁률 상승폭이 명확히 표시되어 있습니다.
강원·제주권
- 강원대·제주대는 지역인재전형 50% 이상으로 확대.
- 제주대의 경우 수능 반영비율 단순화로 실질 반영점수 차이 감소.
- 지방권 학생의 수도권 진학보다 지역 거점대 안정 지원 경향 강화.
300x250
수능 반영 방식 및 가산점 구조 분석
| 구분 | 반영영역 | 비율(예시) | 비고 |
| 인문계 | 국어 35% / 수학 35% / 탐구 20% / 영어 가감점 | 수학 선택(확통 vs 미적분)에 따른 점수 격차 존재 | |
| 자연계 | 수학 40% / 과탐 30% / 국어 20% / 영어 가감점 | 과탐 2과목 평균 또는 상위1과목 반영 | |
| 예체능 | 실기 60-80% + 수능 20-40% | 일부 대학은 영어 미반영 |
[자료집 85쪽 도표]에서는 대학별 가산점 기준(‘미적분 +2점’, ‘과탐Ⅱ +3점’ 등)이 비교되어, 교차지원 시 유리/불리 여부 판단에 유용합니다.
지원 전략 가이드
- 교차지원 활용 극대화
- 자연계 수학(미적분/기하) 선택자는 경영·경제 등 인문계 인기학과로 교차 가능
- 반대로 인문계 학생은 통계학, AI융합계열 진입 시 가산점 확인 필수
- 영어 절대평가 영향 최소화
- 변별력이 낮기 때문에 국·수·탐 점수 중심으로 합격선 형성
- 탐구 과목 조합 전략화
- 과탐Ⅱ 응시자는 일부 대학에서 추가 점수, 반대로 과탐Ⅰ 중심 대학에서는 불리
- 지역 거점대 안정 지원 병행
- 서울권 경쟁률 과열에 따른 안정지 지원(예: 충북대, 전북대 등) 추천
2026학년도 정시는 단순히 ‘수능 점수 싸움’을 넘어, “가산점·탐구조합·지역전형·교차지원”을 복합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데이터 기반 전략형 입시입니다.
자료집 마지막 부록(120~130쪽)에는 전국 주요 대학의 “전년도 합격선(백분위 기준)”과 “모의지원 시뮬레이션 참고표”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실제 지원 전략 수립 시 반드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026학년도 정시모집 지역별 전형분석 자료집.pdf
2.78MB
출처 : 한국대학교육협의회
728x90
그리드형(광고전용)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