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윈도우 11 패스키 네이티브 시대: 비밀번호 종말과 보안 패러다임 전환

728x90

윈도우 11은 이제 “운영체제가 패스키 오케스트레이션을 하고, 패스워드 관리 앱들이 플러그인으로 붙는 구조”로 진화했고, 이것 때문에 진짜로 “비밀번호 없는 시대”가 현실 궤도에 올랐습니다.

무엇이 바뀐 건가? – 이번 윈도우 11 업데이트의 핵심

1) 타사 패스키 매니저 “네이티브” 지원

  • 2025년 11월 윈도우 11 보안 업데이트에서,
    • 1Password, Bitwarden 같은 패스워드 관리 앱이
      윈도우 11의 시스템 패스키 제공자(System passkey provider)공식 등록될 수 있는 API가 열렸습니다.
  • 이제 앱·브라우저(WebAuthn 요청)가
    • “로컬(플랫폼) 패스키”만 쓰는 게 아니라
    • “선택한 패스키 관리자(Edge 내장 MS Password Manager, 1Password, Bitwarden 등)”로 요청을 전달할 수 있습니다.
  • 결과
    • 윈도우는 패스키 플로우의 중앙 오케스트레이터
    • 각 패스워드 매니저는 플러그인·모듈 형태의 패스키 제공자로 동작

2) 왜 이게 큰 변화인가?

  • 기존
    • 브라우저별 저장소(크롬, 엣지, 사파리)나 특정 앱에 종속
    • 윈도우 차원에서 타사 패스키 관리자를 “1급 시민”으로 대우하지 않음
  • 지금
    • OS 레벨에서 “패스키 공급자”를 고르는 구조
    • 기업·개발자는 “윈도우 패스키 API 한 번 연동 → 여러 패스키 관리자와 호환”
  • 이 구조는 iOS·Android의 패스키 공급자 모델과도 비슷해서, 크로스 플랫폼 패스키 UX가 점점 정렬되는 방향입니다.

패스키 & Windows Hello의 기술 구조

1) 패스키 기본 개념 (FIDO2 / WebAuthn)

  • 표준: FIDO2 / WebAuthn
  • 구조
    • 서비스 서버에는 공개키(public key) 만 저장
    • 사용자의 장치에는 개인키(private key) 가 저장
    • 로그인 시
      • 서버가 챌린지 전송
      • 장치 안의 개인키로 서명
      • 공개키로 검증 → 본인 인증
  • 특징
    • 서버에는 비밀(패스워드)이 없으니 대규모 DB 유출에도 재사용 불가
    • 피싱 사이트는 제대로 된 WebAuthn 챌린지를 만들기 어려움
      → 피싱·크리덴셜 스터핑·DB 유출 리스크를 크게 줄여줍니다.

2) Windows Hello의 역할

  • Windows Hello는 “사용자 인증 수단 + 키 보호자(Key Protector)”입니다.
    • 사용자는 얼굴, 지문, PIN 등으로 본인 확인
    • 실제 개인키는 TPM/보안 영역에 저장되어 있고,
      Hello가 키 사용을 승인해주는 구조
  • 패스키 생성·사용 과정
    1. 패스키 지원 사이트/앱에서 등록
    2. Windows Hello로 본인 확인
    3. 장치 내에서 키 쌍 생성
    4. 공개키는 서버로, 개인키는 장치의 보안 영역에 저장
    5. 로그인 때도 Hello로 본인 확인 → 개인키 사용 승인 후 서명

“타사 패스키 제공자 API” 구조

1) 플러그인 모델

MS가 발표한 내용 기준으로 정리하면

  • Windows 11
    • WebAuthn create/get 요청을 받아서
    • 이를 선택된 패스키 제공자(provider) 에 전달
  • 패스키 제공자
    • 윈도우에 플러그인 형태로 등록된 패스워드 관리자(1Password, Bitwarden, MS Password Manager 등)
    • 자사 vault에 저장된 패스키로 서명 수행
    • 결과를 윈도우에 반환
  • 브라우저/앱
    • “내가 직접 각 매니저와 연동”이 아니라,
    • 윈도우의 공용 API만 사용하면 OS가 어느 제공자를 쓸지 알아서 라우팅

2) 사용자가 보는 UX

  • 사용자가 패스키를 등록/로그인할 때
    • “어디에 패스키를 저장할까요?” 또는
    • “어느 패스키 관리자를 사용할까요?” 같은 선택 화면이 뜨고 ([HowToGeek][4])
    • Edge 기본: MS Password Manager
    • 옵션: 1Password, Bitwarden 등 설치한 앱
  • 기업 환경
    • 정책으로 “허용되는 패스키 제공자”를 제한하거나
    • 기본값을 회사 지정 솔루션으로 강제하는 그림을 구성 가능 (Intune/GPO 활용, 추후 관리 템플릿 확인 필요).

패스키 동기화 – Windows Hello + Microsoft 계정

1) 원칙: 장치별 패스키 + 클라우드 동기화

  • 기본 원칙
    • 패스키는 각 장치(플랫폼 인증자)마다 따로 생성되는 것이 보안상 이상적입니다.
  • 하지만 사용성이 문제라서,
    • MS는 Microsoft 계정을 통한 “암호화된 패스키 동기화” 기능을 도입했습니다.
  • 동작 방식 요약
    1. Windows Hello로 패스키 생성
    2. 사용자가 “Microsoft 계정에 저장” 옵션을 선택
    3. 개인키는 로컬에서 암호화된 형태로 클라우드에 업로드
    4. 동일한 MS 계정으로 로그인한 다른 윈도우 11 장치가
      • 복구 키(Recovery key) 등을 통해 동기화된 패스키에 접근
      • 이후 해당 장치의 Windows Hello로 다시 보호/사용

2) 실제 동작 플로우

  1. 장치 A에서 패스키 생성
    • WebAuthn 등록 요청 → Windows Hello로 본인 인증
    • 패스키 생성 후,
      “이 패스키를 MS 계정과 동기화할 것인지” 옵션 선택 (Edge/MS Password Manager UX)
  2. 암호화 및 업로드
    • 장치 A에서 패스키를 “동기화용 키”로 암호화
    • MS 계정(클라우드) 저장소에 업로드
  3. 장치 B에서 동기화
    • 동일 MS 계정으로 로그인한 윈도우 11
    • 최초 동기화 시 복구 키 or Hello 인증으로 동기화 권한 부여
  4. 로그인 시
    • 장치 B의 Windows Hello가
      장치에 내려받은 암호화된 패스키를 풀어,
      로컬 TPM/보호 구역에 넣고 사용

생체 정보(얼굴, 지문)는 절대 클라우드로 나가지 않고, 장치 내 TPM에 저장된다는 점이 중요합니다. 클라우드에 저장되는 건 암호화된 패스키 데이터와 복구 관련 메타데이터입니다.

3) 다른 플랫폼과의 연동

  • 현재 윈도우 Hello 기반 동기화는 윈도우 기기 + MS 계정 중심이고,
    iOS/Android/macOS와의 완전한 상호 동기화는 아직 제한적입니다.
  • 대신,
    • 1Password, Bitwarden 같은 패스키 매니저가
      • 자체 클라우드 동기화(모바일/브라우저/맥 포함)를 제공하므로
      • “다른 플랫폼 간 동기화”는 타사 매니저가 보완하는 구조입니다.

Windows Hello 동기화 설정 – 단계 정리

질문에서 정리해주신 내용을 바탕으로, 실제 설정 단계를 다시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용어는 최신 윈11 UI 기준으로 약간 보정).

① Microsoft 계정으로 로그인

  • 필수 조건
    • 로컬 계정이 아닌 Microsoft 계정(MSA) 로 윈도우 로그인
  • 경로
    • 설정 → 계정 → 내 정보 에서 “Microsoft 계정으로 전환” 또는 계정 연결 상태 확인

② Windows Hello 활성화

  • 경로: 설정 → 계정 → 로그인 옵션
  • 여기서 다음 중 하나 이상 설정
    • Windows Hello 얼굴 인식
    • Windows Hello 지문 인식
    • Windows Hello PIN
  • 이 단계에서 생체정보나 PIN이 TPM 기반으로 장치 내에만 저장됩니다.

③ 백업/동기화 옵션 켜기

  • 경로 (2025년 이후 UI 기준): 설정 → 계정 → Windows 백업
  • 여기에서
    • “설정 및 자격 증명 백업” / “앱 및 설정 기억하기”,
    • 자격 증명(계정, Wi-Fi, 비밀번호/패스키) 동기화 관련 옵션을
  • 조직 환경에서는 이 항목이 Intune/GPO로 비활성화/제한될 수 있으니 정책 확인 필요.

④ 패스키 사용 준비 & 테스트

  • 패스키 지원 사이트(예: MS 계정, 구글, 일부 SaaS 등)에서
    1. “패스키로 로그인/등록” 선택
    2. Windows Hello 팝업에서 본인 인증
    3. 패스키 저장 위치로 MS 계정 또는 설정된 패스키 제공자(1Password 등) 선택
  • 동일 MS 계정으로 로그인된 다른 Windows 11 장치에서,
    • 동일 절차로 로그인 시도 → 패스키가 잘 동기화되어 동작하는지 확인

비밀번호 시대의 종말? – 업계 흐름과 의미

  • 구글, 애플, MS 모두
    • Passkey를 “차세대 기본 인증 수단”으로 밀고 있고,
    • 모바일·브라우저·OS 전반에 패스키를 통합 중입니다.
  • MS는
    • Authenticator 앱의 비밀번호 저장/자동완성 기능을 단계적 종료하고
    • 신규 계정에는 초기부터 패스키 기반 인증을 강제하는 방향으로 가고 있습니다.
  • 이번 윈도우 11의 시스템 수준 타사 패스키 매니저 통합
    • “패스워드가 옵션”이 아니라
    • “패스워드가 사라지는 것을 전제로 한 UX/플랫폼 설계”로 보셔도 될 정도의 변화입니다.
300x250

보안 효과와 남는 리스크

1) 보안상 큰 이점

  1. 피싱 저항(Phishing-resistant)
    • 패스키는 도메인 바인딩이 되어 있어서,
    • 공격자가 비슷한 피싱 도메인을 써도 WebAuthn 검증이 안 됩니다.
  2. 크리덴셜 스터핑·재사용 공격 방어
    • 서버에는 재사용 가능한 비밀이 없으므로,
    • 기존처럼 “유출된 비밀번호 재사용” 공격이 거의 무력화.
  3. 내장 MFA
    • 장치 소유 + Windows Hello(생체/ PIN) = 사실상 2요소 이상 내포
  4. 중앙 관리 가능성
    • 인사·오프보딩 등에서 패스키 제공자(사내 표준 앱)를 비활성화/회수하는 방식으로 계정 접근을 관리 가능.

2) 여전히 남는/새로 생기는 리스크

  1. 엔드포인트 탈취
    • 장치 자체가 탈취되면,
    • 공격자가 Windows Hello를 우회할 루트를 찾거나,
    • OS 취약점/드라이버 취약점으로 키 보호 영역을 노릴 가능성.
  2. 클라우드 동기화 계정 탈취
    • MS 계정 탈취 → 클라우드에 있는 패스키 동기화 데이터에 접근 시도
    • 이 때문에 MS 계정 자체에 대한 강력한 MFA, 디바이스 헬스 관리가 필수.
  3. 패스키 매니저 공급망/계정 탈취
    • 1Password, Bitwarden 계정 탈취 혹은
      소프트웨어 공급망 공격(업데이트 악성화 등)이 새로운 공격 벡터.
  4. 복구/오프보딩 시나리오 미정리
    • “직원이 퇴사하는데, 개인 장치에 패스키가 남아 있다면?”
    • “장치 분실/파손 시 패스키 복구 정책은?”
      → 사전에 정책·프로세스 설계가 필요합니다.

내부 보안 가이드

사내 사용자 안내·교육에 쓸 수 있는 가이드 포인트를 정리해보겠습니다.

1) 사용자 교육용 핵심 메시지

  1. “이제는 비밀번호 대신 패스키”
    • 가능하면 계정 생성/로그인 시 패스키 옵션을 우선 사용하도록 안내.
  2. Windows Hello는 PIN/생체가 “패스워드를 대체”
    • PIN은 장치에만 유효하므로, “짧아도 괜찮다”가 아니라 “남이 알아내기 어렵게” 설정하도록 가이드.
  3. 피싱 메일·가짜 로그인 페이지라도, 패스키면 대부분 막힌다
    • 하지만 사용자는 여전히 링크 클릭·첨부 실행에 주의해야 한다는 점 강조.

2) 엔드유저 설정 가이드

  • 최소한 다음을 권고/강제
    • Windows 11 최신 보안 업데이트 적용
    • Microsoft 계정+Windows Hello 활성화
      • 설정 → 계정 → Windows 백업에서 자격 증명/설정 동기화 켜기
    • 회사가 승인한 패스키 관리 앱만 사용 (1Password/Bitwarden 중 택일 등)

관리자가 점검해야 할 포인트

사내 정책/표준/점검항목으로 가져갈 수 있는 것들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1) 정책·지침 레벨

  1. 인증 수단 표준화
    • “사내 계정 및 주요 SaaS에 대해,
      비밀번호 대신 FIDO2/WebAuthn 기반 패스키를 기본 인증 수단으로 사용한다.”
  2. 패스키 관리 정책
    • 패스키 저장 위치
      • 로컬(Windows Hello 전용)만 허용?
      • MS 계정 동기화 허용?
      • 승인된 타사 패스키 매니저(1Password/Bitwarden)만 허용?
    • BYOD 기기에서 패스키 사용 범위 정의.
  3. 복구 및 계정 탈취 대응
    • 장치 분실/도난 시
      • MS 계정/패스키 매니저 계정 잠금·비활성화 절차
      • Intune 등으로 장치 원격 초기화/와이프
    • 직원 퇴사 시
      • 패스키가 저장된 계정(1Password 기업 계정, Bitwarden Org 등) 접근 회수
      • 사내 시스템의 패스키 재등록 필요 여부 결정.

2) 기술·설정 점검 항목

  1. 윈도우/엔드포인트 보안
    • 최신 보안 업데이트 적용 (이번 11월 패치 포함)
    • TPM 활성화, Secure Boot, 디스크 암호화(BitLocker) 적용 여부
    • Windows Hello 필수화 (GPO/Intune 설정 검토)
  2. MS 계정·Entra ID(AD) 보안
    • 관리자/중요 계정에 대해
      • 강력한 MFA, 조건부 액세스
      • 위험 로그인 탐지·차단 정책(Entra ID Protection 등) 활용
  3. 패스키 제공자 통제
    • 조직 내에서 허용하는 패스키 매니저 목록 정의
    • Edge/Chrome에서 패스워드 자동 저장/동기화 정책을 조정하여,
      • 무분별한 개인용 패스워드/패스키 매니저 사용 억제.
  4. 로깅·모니터링
    • Entra ID/IDP에서
      • 패스키 기반 로그인 이벤트를 별도 태그
      • 비정상 위치·디바이스·시간대에서의 패스키 로그인 탐지 룰 설계
    • Endpoint EDR에서
      • Windows Hello/보안 모듈을 우회하려는 시도(LSASS, TPM, 드라이버 취약점 악용 등) 모니터링.

3) 개발자/서비스 담당자 가이드

  1. WebAuthn/Passkey 우선 도입
    • 신규 서비스는 “ID/패스워드 → 선택적으로 패스키”가 아니라,
      “패스키(기본) + 필요 시 백업용 비밀번호/OTP” 구도로 설계 권장.
  2. 다중 패스키 허용
    • 사용자 계정당 여러 패스키 등록 가능하게 설계 (노트북, 데스크톱, 모바일, 비즈니스 계정별).
  3. Recovery Flow 설계
    • 패스키 잃어버렸을 때
      • 별도 재인증(지원센터, 신분증 인증, SSO 재검증 등)을 거쳐
      • 새 패스키 등록만 허용하는 안전한 프로세스 필요.

이번 윈도우 11의 타사 앱 패스키 네이티브 지원 + Windows Hello 기반 동기화는,

  • 사용자에게는 “비밀번호 걱정 줄이고, 얼굴/지문·PIN으로 안전하게 로그인” 하는 환경을,
  • 기업과 개발자에게는 “OS 레벨의 표준화된 패스키 플랫폼 + 선택 가능한 패스키 제공자 구조”를 제공합니다.

이제

  • “패스워드 강도 정책”보다
  • “패스키 정책, 엔드포인트 보호, 계정·동기화 보안, 공급망 리스크 관리”가 더 중요해지는 단계로 넘어가고 있습니다.
728x90
그리드형(광고전용)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