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인정보 (Privacy)125

728x90
개인정보 취급자의 역할과 자세 “개인정보보호 위한 개인정보 취급자의 자발적인 참여가 중요” [보안뉴스=이규정 NIA 개인정보보호정책단장] 개인정보 취급자는 개인정보를 활용하여 기관의 부가가치를 향상시키고자 하는 노력과 더불어 처리 부주의로 인한 개인정보 유출·침해 등에 대한 사회적 책임도 동시에 가지고 있음을 인지하고 주의 깊은 개인정보 처리가 요구된다. 최근 언론에 자주 등장하는 이슈 중 하나는 외부로부터의 해킹이나 취급자 관리 부주의로 인한 개인정보 유출사고이다. 사이버 공격이나 관리 소홀로 인한 공공·민간기관의 개인정보 유출사고, 피싱, 스미싱 혹은 본인 모르게 공인인증서 재발급로 인한 침해사고 등이 언론에 빈번하게 보도되고 있다. 2011년 ‘개인정보보호법’이 제정·시행되고 있으나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사회적 인식 제고나 홍보 .. 2013. 7. 30.
개인정보 기술적보호 조치 및 가이드라인 2012년 행정안전부에서 마련한 각종 개인정보 기술적보호 조치 및 가이드라인을 두 권의 자료집으로 엮었습니다.많은 활용 바랍니다. 1. 개인정보 위험도 분석 기준 및 해설2. 개인정보 암호화 조치 안내(Ver 1.0)3. 뉴미디어 서비스 개인정보보호 가이드라인4. 소상공인 개인정보 보호조치 구현 가이드5. 홈페이지 개인정보 노출방지 가이드라인 1. 개인정보보호 가이드라인 - 인사노무편2. 개인정보보호 가이드라인 - 학원교습소편3. 개인정보보호 가이드라인 - 의료기관편4. 공공기관 영상정보처리기기 설치운영 가이드라인5. 민간분야 영상정보처리기기 설치운영 가이드라인 * 법령 상담 문의- 기술적 보호조치 : 02-2100-3344- 홈페이지 노출방지 : 02-2100-1736, 4492- 영상정보처리기기(CC.. 2013. 4. 8.
기업이 만들어야 할 개인정보보호 지침 기업, 개인정보보호법 시행에 따라 법이 정한 지침 만들어야개인정보처리방침, 개인정보 안전처리를 위한 내부관리계획 등 [보안뉴스= 법률사무소 민후 김경환 대표변호사] 개인정보보호법 시행으로 인하여 정보통신서비스제공자뿐만 아니라 개인정보를 다루는 기업이라면 중소기업도 개인정보보호법이 정한 지침을 만들어야 한다. 하지만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지침을 만드는 것이 쉽지만은 않은데, 일단 종류를 설명하고 구체적인 내용을 다루어 보기로 한다.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지침으로는 1) 개인정보처리방침(개인정보취급방침), 2) 개인정보 안전처리를 위한 내부관리계획, 3) 개인정보안전성확보지침이 있다. 1) 개인정보처리방침이란 기업이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자신의 내부 방침을 정하여 공개한 자율적 기준이다. 개인정보처리방침은 개인.. 2013. 1. 21.
개인정보의 안전한 관리방안 출처 : 보안전략연구소 박나룡 2012. 10. 31.
개인정보의 기술적 관리적 보호조치 기준 해설서 출처 : 방송통신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2012. 10. 23.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