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 (LAN,WAN)142

스위치의 기능 및 동작 방식, ARP, VLAN, STP, PVST 스위치의 기능 및 동작 방식 # 스위치는 IEEE 802.1D 의 규정에 따라 동작하는데 트랜스패런트 브리징과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이 있다. # STP는 2대 이상의 스위치가 복수개의 링크로 연결되어 있을 때 이중성을 유지하면서 루프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방식이다. # 트랜스패런트 브리징은 스위치가 MAC 주소 테이블을 만들고 유지하며 이를 참조하여 수신 프레임을 목적지 포트로 전송하는 방식. 스위치는 MAC 주소 테이블을 보고 프레임을 스위칭한다 # 리피터 - 전기적인 신호만 증폭시켜 먼 거리까지 도달 할 수 있도록 한다. # 허브 - 리티어뫄 마찬가지로 전기적인 신호를 증폭시켜 LAN의 전송거리를 연장시키고 여러 장비를 LAN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해준다. - LAN 에서 사용하는 CAT 5는 전송거.. 2008. 12. 29.
NIC 제조사별 고유 MAC Address 리스트 00-00-02 BBN (was internal usage only, no longer used) 00-00-0C Cisco 00-00-0E Fujitsu 00-00-0F NeXT 00-00-10 Hughes LAN Systems (formerly Sytek) 00-00-11 Tektronix 00-00-15 Datapoint Corporation 00-00-18 Webster Computer CorporationAppletalk/Ethernet Gateway 00-00-1A AMD (?) 00-00-1B Novell >> now Eagle Technology 00-00-1D Cabletron 00-00-20 DIAB (Data Intdustrier AB) 00-00-21 SC&C 00-00-22 Vis.. 2008. 12. 26.
Nessus 네트워크 취약성 점검툴 소개 및 사용법 http://nessus.org/download 에서 자신의 OS에 맞는 패키지 다운로드 rpm -ivh Nessus-3.2.1-es5.x86_64.rpm 설치중 플러그인 처리를 할 때 약간의 인내심이 필요하다. /opt/nessus/sbin/nessus-adduser 데몬의 admin을 위한 계정을 password 인증방식으로 생성한다. 해당 유져의 룰을 입력하는 과정이 있으나 네서스를 공부하지 않았다면 공백으로 진행한다(ctrl+D) /opt/nessus/sbin/nessusd -D 데몬을 실행한다. 이제 서버에 nessus 데몬(nessusd)이 돌아가고 있다. nessus 사이트에서 다운받은 윈도우용 nessus를 설치한 후 nessus client를 실행하여 지금 설치한 리눅스상의 nessus .. 2008. 10. 22.
[공개 네트워크 모니터링 툴 활용] ④ 숨겨진 진주를 찾아라 이더리얼이나 MRTG, NTOP 등 잘 알려진 공개 네트워크 모니터링 툴 외에도 Nagios나 JFFNMS, Zabbix 등의 잘 알려지지 않은 많은 공개 프로그램들이 있다. 이들 또한 많은 네트워커들의 사랑을 받고 있는 툴들로 유명 공개 툴에 못지않은 기능을 제공하는 제품도 쉽게 찾을 수 있다. 앞에서 소개하지 못한 여러 공개 네트워크 모니터링 툴을 간단히 살펴보겠다. 네트워크로 점차 다양하고 많은 장비가 연결되고, 사용자의 수가 늘어나면서 네트워크 관리자의 책임이 점차 무거워지고 있다. 이미 다양한 네트워크 모니터링 툴을 주위에서 쉽게 찾을 수 있으며, 모니터링뿐 아니라 관리 기능까지 제공하는 툴도 있다. 더구나 조금만 노력한다면 유명 상용제품에 뒤지지 않는 유용한 공개 네트워크 모니터링 툴도 찾아볼.. 2008. 10. 20.
[공개 네트워크 모니터링 툴 활용] ③ NTOP NTOP은 소스까지 공개돼 있는 공개 네트워크 모니터링 툴로 상용 제품과 같은 다양한 기능과 강력한 분석 기능은 제공하지 않지만, 네트워크 관리자에게 꼭 필요한 기능을 무료로 제공해 많이 사용되는 툴이다. 실시간으로 현재의 네트워크에 대한 전체적인 상황을 한 눈에 보여주는 NTOP은 네트워크 관리자와 보안 담당자에게는 빠질 수 없는 툴로 자리잡고 있다. 다소 추상적으로 들릴 수 있겠지만 네트워크를 구축, 운영, 관리하다보면 담당자는 ‘최소’와 ‘최대’사이에서 많은 고민에 빠지게 된다. ‘최소’라 함은 ping이나 traceroute, MRTG 등을 이용해 주로 네트워크의 연결 여부와 사용량 정도 등을 확인하고 모니터링하는 수준이고, ‘최대’라 함은 주로 대규모 사이트에서 별도의 네트워크 담당자가 대형화면.. 2008. 10.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