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480

728x90
「홈페이지 개인정보 노출방지 가이드라인」2014년 개정판 2014년 개정판은 개인정보 보호법 개정[2011.3.29 공포, 2014.8.7시행]으로주민등록번호 수집 법정주의, 주민번호 유출에 대한 과징금제도가 반영되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경각심이 강화됨에 따라 주민등록번호 대체수단, 보안서버 구축 등 안전한 홈페이지 운영 및 개인정보 노출방지를 위한 개인정보취급자 교육, 유의사항 및 준수해야 할 사항을 제공하여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개정되었습니다.▶주민등록번호 수집 법정주의 ▶주민등록번호 대체수단(I-PIN, My-PIN 등) ▶국내 검색엔진(Naver. Daum)에 노출된 개인정보 삭제 방법 ▶구글 검색엔진(Google)에 노출된 개인정보 삭제 방법 ▶관리적·기술적 측면에서의 방지대책 ▶개인정보 및 정보보호 관련 온라인 교육 ▶보안서버 구축방법.. 2015. 2. 5.
기초노령연금 제도안내 현재 기초노령연금을 받고 계시는 분은 별도로 기초연금을 신청하지 않으셔도 됩니다.제도안내대상만65세 이상 어르신 중 소득인정액이 선정기준액 이하인 어르신선정기준액(소득인정액) : 단독가구 87만원, 부부가구 139만 2천원소득인정액 계산법§ 소득평가액+{(일반재산액-기본재산액)+(금융재산-2,000만원)-부채}×5%(소득환산율)/12개월소득평가액 : {월소득-48만원(기본공제액)}×0.7(30% 추가공제)+국민연금지급액 등 기타소득일반재산액 : 토지, 건물, 주택, 자동차 등의 가액기본재산액 : 최소한의 생활을 위해 소득인정액 계산시 빼주는 재산액(대도시 1억800만원)주요 개정내용자녀명의 고가주택(6억원 이상)에 살 경우 임차소득이 있다고 간주임차소득산정액 (만원)3945.55258.56597.5130.. 2015. 2. 4.
어도비 플래시 신규 제로데이 취약점 공격 세번째 발견 트렌드마이크로 위협 연구팀은 올해 들어 세번째로 악성 광고 사이트 공격에 사용되는 어도비 취약점을 또다시 발견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번에 밝혀진 제로데이 취약점은 CVE-2015-0313으로 명명되었습니다. 지난 1월 23일에 블로그를 통해 밝힌 취약점과는 다른 새로운 취약점입니다. 해커는 이미 이 취약점을 이용하여 유명한 웹사이트인 dailymotion.com의 방문자들을 자동으로 hxxp://www.retilio.com/skillt.swf로 리다이렉트시키고 악성코드들을 다운로드하게 했습니다. 트렌드마이크로는 이 악성코드들을 SWF_EXPLOIT.MUST로 명명하고 해당 웹사이트에 접속이 차단되도록 했습니다. 트렌드마이크로는 본 취약점을 발견하는대로 어도비에 통보했으나 아직 패치가 만들어지지는 않았으며 .. 2015. 2. 3.
Apple (OS X, Safari, iOS, Apple TV) 보안 업데이트 □ 개요 o Apple社는 자사 제품에서 발견된 임의코드 실행 및 원격제어 가능 취약점을 해결한 보안 업데이트를 발표[1] o 공격자가 취약점을 이용하여 원격조종 등 피해를 발생 시킬 수 있으므로 해당 Apple 제품을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 설명 o 임의코드 실행 및 Apple 제품에 대한 원격제어 가능 취약점 □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 o OS X : Mountain Lion v10.8.5, Mavericks v10.9.5, Yosemite v10.10, v10.10.1 [2] o Safari : Mountain Lion v10.8.5, Mavericks v10.9.5, Yosemite v10.10.1 [3] o iOS : iPhone 4s 이상, iPod Touch 5세대 이상, iPad 2 이상.. 2015. 1. 29.
리눅스 Ghost 취약점 보안 업데이트 □ 개요 o 미국 US-CERT는 리눅스 GNU C 라이브러리(glibc)에서 임의코드를 실행할 수 있는 취약점(CVE-2015-0235)이 발견되었다고 발표 ※ CVE-2015-0235는 해당 라이브러리의 gethostbyname( ) 함수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버퍼오버플로우 취약점 ※ GNU C 라이브러리 : 리눅스 계열 운영체제에서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소프트웨어 □ 취약점 내용o 라이브러리에 존재하는 특정 함수(__nss_hostname_digits_dots( ))의 잘못된 메모리 사용으로 인해 오버플로우가 발생하여 프로그램의 실행 흐름 변경이 가능 ※ __nss_hostname_digits_dots( ) 함수 : 도메인 주소를 IP 주소로 변환할 때 사용하는 함수인 gethostbyname( ).. 2015. 1. 28.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