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 발생부터 진화까지 상황별 국민행동요령, 비상 대피령과 신고방법
산불 발생 시 준비사항✅ 집안에 있을 경우대피정보 청취 및 소통 유지TV, 라디오, 스마트폰 등으로 지역 대피 안내 방송에 귀를 기울이고 이웃과 수시로 연락합니다.대피 준비물 확인 및 준비식수, 비상식량, 손전등, 응급약품, 신분증, 현금 등을 비상가방에 담아 준비합니다.집안 안전조치모든 창문과 문을 닫고 가스를 차단하여 불씨 유입과 폭발 위험을 예방합니다.✅ 산행 또는 야영(캠핑) 중일 경우상황 확인 및 정보공유휴대전화, 라디오, 안내방송을 통해 산불 정보를 확인하고 주변 사람들에게 상황을 알립니다.위험지역 신속 이탈즉시 산행과 야영을 중단하고 산불 확산 경로와 바람 방향을 피하여 산과 먼 쪽으로 신속히 이동합니다.✅ 집 밖에서 준비할 사항집 주변에 놓인 가연성 물질(가스통, 목재, 쓰레기 등)을 가능..
2025. 3. 26.
공격표면 관리(ASM) 및 ASMS 구축과 운영 방안, MCP(Model Context Protocol) 기반 자동화 적용
공격표면 관리(ASM)란?공격표면 관리(ASM, Attack Surface Management)는 기업이 보유한 외부 및 내부 자산(IT 인프라, 웹 애플리케이션, API, 클라우드 리소스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보안 취약점을 자동으로 탐색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위협을 사전에 차단하는 보안 프로세스입니다. ASM은 기업의 디지털 자산을 지속적으로 감시하여 다음과 같은 주요 기능을 수행합니다.공개된 자산 탐색: 도메인, IP, 클라우드 인프라, 외부 시스템 등을 자동으로 스캔취약점 분석: 알려진 보안 취약점, 잘못된 구성(Misconfiguration), 공개된 크리덴셜 등을 식별리스크 평가 및 대응: 위험도가 높은 자산을 우선순위로 설정하고 보안 조치를 권장지속적인 모니터링: 새로운 취약점..
2025. 3. 25.
API Gateway로 MCP와 연계한 양방향 생성형 AI 프롬프트 (AI Agent) 활용
Agentic AI(에이전틱 AI), Generative AI(생성형 AI), Model Context Protocol(MCP)는 모두 최신 AI 기술과 관련된 개념이지만, 각각의 목적과 특성이 다릅니다. 각 개념에 대한 기본 정의와 특성, 차이점, 활용 사례 등을 통해서 비교해 봅니다.1. Agentic AI (에이전틱 AI)기본 정의와 배경정보Agentic AI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자율적으로 계획을 세우고 능동적으로 행동하는 인공지능 시스템을 의미합니다.기존 AI는 입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정적인 결과를 도출하는 반면, Agentic AI는 목표 설정, 상황 인지, 의사 결정, 계획 실행, 결과 평가까지 스스로 수행 가능한 자율성이 강조된 형태입니다.주요 특성자율성 (Autonomy): 독립적으로..
2025. 3.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