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3443 728x90 Bash Script: How read file line by line (best and worst way) Input: $ cat sample.txt This is sample file This is normal text file Source: $ cat readfile.sh #!/bin/bash i=1; FILE=sample.txt # Wrong way to read the file. # This may cause problem, check the value of 'i' at the end of the loopecho "###############################" cat $FILE | while read line; do echo "Line # $i: $line" ((i++)) done echo "Total number of lines in file: $i" # The worst way to r.. 2014. 9. 19. 2014년 SW 보안약점 진단원 양성교육 . 2014년 SW 보안약점 진단원 양성교육 안내 안전행정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은 SW보안약점 진단 업무를 수행할 「SW 보안약점 진단원」 양성 3차 교육을 아래와 같이 실시하고자 하오니, 관심 있으신 분들의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 교육 개요 o 교 육 명 : SW보안약점 진단원 양성과정 3차 o 교육대상 : SW 개발경력 6년 이상 또는 SW취약점 진단 3년 이상 o 교육기간 : 2014년 10월 13일 ~ 10월 17일 o 신청기간 : 2014년 9월 15일 ~ 9월 19일 o 교육내용 : SW보안약점 이론 학습 및 SW보안약점 진단 실습 o 접수방법 : 온라인 접수(http://academy.kisa.or.kr) ※서류 제출 : 온라인교육신청 후 신청기간 종료 후 안내메일 수령 확인 → 경력증명.. 2014. 9. 18. Adobe Reader/Acrobat 취약점 보안 업데이트 개요Adobe社는 Adobe Reader 및 Acrobat에 영향을 주는 취약점을 해결한 보안 업데이트를 발표[1]낮은 버전의 Adobe Reader/Acrobat 사용자는 악성코드 감염에 취약할 수 있으므로 해결방안에 따라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 권고 설명Adobe社는 Adobe Reader/Acrobat의 취약점 6개에 대한 보안 업데이트를 발표[1]임의코드 실행으로 이어질 수 있는 메모리 할당 해제(use-after-free) 취약점(CVE-2014-0560)맥 플랫폼에서 발생하는 크로스 사이트 스크립팅(Cross-Site Scripting(XSS)) 취약점(CVE-2014-0562)메모리 손상과 관계된 서비스 거부 취약점(CVE-2014-0563)임의코드 실행으로 이어질 수 있는 힙 오버플로우 취약.. 2014. 9. 17. Cisco Unified Computing System SSH 서비스 거부 취약점 보안 업데이트 개요CISCO社는 Cisco UCS(Unified Computing System) E-Series 블레이드 서버의 IMC(Integrated Management Controller) SSH(Secure Shell) 모듈에서 발생한 서비스 거부 취약점을 해결한 보안 업데이트를 발표(CVE-2014-3348) [1]공격자가 특수하게 조작한 패킷을 IMC(Integrated Management Controller)의 SSH 모듈이 탑재된 취약한 장비에 전송할 경우, 서비스 거부 등을 유발할 수 있음해당 취약점에 영향을 받는 제품은 서비스 거부 공격 등에 영향을 받을 수 있어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 권고 해당 시스템영향을 받는 제품Cisco UCS E140DCisco UCS E140DPCisco UCS E160D.. 2014. 9. 16. Adobe Flash Player 신규 취약점 보안 업데이트 개요Adobe社는 Adobe Flash Player에 영향을 주는 취약점을 해결한 보안 업데이트를 발표[1]낮은 버전 사용자는 악성코드 감염에 취약할 수 있으므로 해결방안에 따라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 권고 설명Adobe Flash Player에서 발생하는 12개의 취약점을 해결하는 보안 업데이트를 발표[1]랜덤 메모리 주소 기능을 우회할 수 있는 메모리 정보 노출 취약점(CVE-2014-0557)보안 기능을 우회할 수 있는 취약점(CVE-2014-0554)임의코드 실행으로 이어질 수 있는 메모리 할당 해제(use-after-free) 취약점(CVE-2014-0553)임의코드 실행으로 이어질 수 있는 메모리 손상 취약점(CVE-2014-0547, CVE-2014-0549, CVE-2014-0550, CVE.. 2014. 9. 15. 이전 1 ··· 338 339 340 341 342 343 344 ··· 689 다음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