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3491 728x90 2014년 11월 MS 정기 보안업데이트 ※ "Microsoft OLE 원격코드실행 취약점 주의 권고(14.10.22)" 취약점을 해결한 KB3011443 업데이트 배포 [MS14-064] Windows OLE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코드 실행 문제 □ 영향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에 원격코드 실행 □ 설명사용자가 특수하게 조작된 웹페이지를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이용하여 열람할 경우 원격코드가 실행될 수 있는 취약점관련취약점 :Windows OLE Automation Array 원격코드 실행 취약점 – (CVE-2014-6332)Windows OLE 원격코드 실행 취약점 - (CVE-2014-6352)영향 : 원격 코드실행중요도 : 긴급 □ 해당시스템참조사이트 참고한글 : http://technet.microsoft.com/ko-kr/securit.. 2014. 11. 12. 정부, ‘사물인터넷 정보보호 로드맵’ 수립 스마트 안심국가 실현 위해 7대 핵심 분야에 정보보호 내재화http://www.boannews.com/media/view.asp?idx=43847&kind=2 사람과 사물, 데이터 등 모든 것이 연결되는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환경에서는 기존 사이버공간의 위협이 현실세계로 전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가전·의료기기 및 자동차 등 사물인터넷의 활용분야가 우리 실생활의 모든 사물에 직접 접목되기 때문에 사물인터넷 보안위협은 오동작·정지 등 사람의 생명을 위협할 만큼 치명적이다. ①안전한 구조설계 - IoT 서비스의 지속적인 보안수준 제고 및 침해사고 위험의 도미노적 전이·확산방지를 위한 보안 아키텍처(Secure Architecture) 확립 ②핵심요소의 안전한 개발 .. 2014. 11. 11. 수요자 맞춤형 개인정보보호 방문 교육 [공지] 지방사업자 대상 수요자 맞춤형 방문교육 안내 / [한국인터넷진흥원] 장시영 안녕하세요. 방송통신위원회와 한국인터넷진흥원에서는 지방사업자의 개인정보보호 교육 기회를 높이고자 “수요자 맞춤형 개인정보보호 방문 교육”을 아래와 같이 실시할 예정입니다. 이에 관심 있으신 사업자 분들의 많은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교육일정 및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 아 래 - o 교육명 : 수요자 맞춤형 개인정보보호 방문 교육 o 교육대상 : 정보통신망법 대상 기업의 개인정보 취급 사업자(수도권 이외 지역) ※ 단일 사업자는 교육 신청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o 교육내용 : 개인정보보호 기본 교육 및 업종별 맞춤 교육 o 지원내역 : 강사파견, 교육자료 제공, 교육 수료증 발급 등(별도 비용 없음) o 교육일시 : .. 2014. 11. 10. USB는 PC보안 구멍..취약성 심각하다 "USB는 PC보안 구멍..취약성 심각하다"http://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510977 독일 보안 업체 시큐리티리서치랩의 암호보안 전문가 카르스텐 놀(Karsten Nohl)은 6일 서울 양재동 더케이 호텔에서 개최된 국제해킹컨퍼런스 'POC 2014'에서 "USB 저장장치의 보안 취약성이 심각한 상황"이라고 설명하면서 이같이 말했다. 카르스텐 놀의 설명에 따르면, USB 저장장치는 USB 컨트롤러 부분과 컨트롤러 펌웨어, 플래시 스토리지로 구분된다. 컨트롤러 펌웨어의 설계 취약점을 이용해 펌웨어를 변조하면, USB 저장장치에 원격으로 악성코드를 담을 수 있다. 문제는 이렇게 변조된 USB 저장장치가 저장 기능 이외의 용도로도 쓰일 수 있다는 것이다. 출처 :.. 2014. 11. 7. nProtect Netizen v5.5 원격코드 실행 취약점 보안업데이트 개요잉카인터넷社의 nProtect Netizen v5.5에서 원격코드실행이 가능한 취약점이 발견됨공격자는 특수하게 제작한 웹 페이지를 취약한 nProtect Netizen이 설치된 사용자에게 방문을 유도하여 악성코드에 감염시킬 수 있음낮은 버전의 nProtect Netizen v5.5 사용자는 악성코드 감염으로 인해 정보유출 등의 피해를 입을 수 있으므로 해결방안에 따라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 권고 해당 시스템영향을 받는 제품 - nProtect Netizen v5.5 (npenkInstaller5.dll 파일 버전이 2014.11.4.6 이전인 경우) 해결 방안nProtect Netizen v5.5 프로그램 삭제 - 제어판 > 프로그램 제거 또는 변경 > nProtect Netizen v5.5 선택 > .. 2014. 11. 6. 이전 1 ··· 341 342 343 344 345 346 347 ··· 699 다음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