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207

728x90
최근 악성코드 유형, 트로이목마가 대세! 총 62종 악성코드 중 트로이목마가 50건(80%) 차지 [보안뉴스 김경애] 최근 수집된 악성코드 샘플의 분석 결과 총 62종의 악성코드 중 트로이목마 계열이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최근 발생한 3.20 전산망 사이버테러와의 연관성도 주목되고 있다. 빛스캔은 지난 수요일 발생한 방송국 및 금융권 해킹 사고와 더불어 발생 가능한 추가적인 해킹사고의 발생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국내외 보안 기업 및 유관기관에 3.11~3.17일 기간 동안 수집하여 보유하고 있던 악성코드 수 백 여종을 제공한 바 있다. 현재 빛스캔에서는 180여만 개의 웹 서비스에서의 악성코드 감염현황을 관찰하고 있으며, 웹 서비스를 통한 자동감염(Drive by Download)에 대해 악성링크와 악성코드를.. 2013. 3. 25.
KISA, 사이버경보 관심에서 주의로 상향 사이버위기 경보 단계를 관심에서 주의로 상향 조정 [보안뉴스 김경애] 정부는 KBS, MBC, YTN 신한은행 등 언론 및 금융사 전산망 마비와 관련하여 외부로부터의 해킹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3월 20일 15:00부로 사이버위기 ‘주의’ 경보를 발령한다고 밝혔다. 사이버위기 경보단계는 ‘정상→관심→주의→경계→심각’으로 구분해 주의 경보가 발령되면 모니터링 인력이 3배이상 증원되며, 정부합동조사팀이 구성되어 현장조사 및 대응 추진할 계획이라고 KISA 홈페이지를 통해 고지했다. 정부는 3월 20일 방송통신위원회, 행정안전부, 국방부, 국가정보원 등 10개 부처 담당관 참석 아래 ‘사이버위기 평가회의’를 개최, 사이버위기 ‘주의’ 경보를 발령하였으며 원인 조사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정부통합전산센터 등 국.. 2013. 3. 20.
파밍 악성코드 감염 PC, 3가지 치료법! 파밍캅 등으로 호스트 파일 변조여부 확인 후 삭제 또는 초기화해야 [보안뉴스 권 준] 최근 인터넷 뱅킹 등의 전자금융거래에 있어 파밍(Pharming) 공포가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파밍 사기에 악용되는 악성코드 감염 PC의 구체적인 치료방법에 대한 홍보가 부족해 피해가 더욱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파밍은 PC가 악성코드에 감염되어 호스트 파일이 변조된 경우 발생하는데, 이로 인해 이용자가 정상적인 홈페이지 주소를 입력해도 제3의 홈페이지로 연결되어 개인정보 또는 금융정보를 탈취하는 수법에 악용된다. 이와 관련해 한국인터넷진흥원 인터넷침해대응센터 측은 파밍 악성코드 감염 PC의 치료방법 3가지를 제시했다. 첫 번째 방법은 파밍캅으로 PC의 호스트 파일 변조 여부를 확인하고 삭제하는 것이다. 경남지방경찰청.. 2013. 3. 19.
김연아 남장 변신 '환상의 갈라쇼' 2013. 3. 18.
SharePoint 2010 with Windows PowerShell Remoting Step by Step With all the improvements in SharePoint 2010 for IT Professionals, I always put Windows PowerShell support as the number one. Maybe this has something to do with my past Linux/Unix background, but the main reason is, I’m a really really lazy person. If something can be put into automation, then why bother to click through it manually every time? Schedule it to run at certain time everyday can sa.. 2013. 3. 16.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