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눅스122

728x90
Bash: Pass Shell Variables To awk How do I pass shell variables to awk command or script under UNIX like operating systems? The -v option can be used to pass shell variables to awk command. Consider the following simple example, root="/webroot" echo | awk -v r=$root '{ print "shell root value - " r}' In this example search file using awk as follows: #!/bin/bash # Usage : Search word using awk for given file. # Syntax: ./script ".. 2012. 7. 18.
awk 명령어 필드구분 및 필드수 1. awk 필드를 구분하는 방법은 두가지이다. 하나는 FS를 세팅해주는 방법이고, 하나는 -F옵션을 통해 주는 방법이다. 주로 FS로는 여러가지 seperator를 설정하고 -F로는 하나의 seperator를 설정한다. FS를 세팅할땐, awk 'BEGIN { FS = ", \t" } ; { print $2 }' -> makes every area of an input line that consists of a comma followed by a space and a TAB into a field separator. 이렇게 설정이 가능하나, -F로 설정할 땐 quoting없이 -F\t 로 세팅하면 안된다, \가 쉘에서 다음 라인으로 이어진다는걸 의미하기 때문에 escape character 이기 때문에.. 2012. 6. 29.
Adobe Flash Player 취약점 보안 업데이트 □ 개요 o Adobe社는 Adobe Flash Player에 발생하는 취약점을 해결한 보안 업데이트를 발표[1] o 공격자는 특수하게 조작된 플래시 파일을 웹사이트 및 스팸 메일 등을 통해, 사용자가 열어보도록 유도하여 악성코드 실행 가능 □ 해당 시스템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 - 윈도우, 매킨토시, 리눅스, 솔라리스 환경에서 동작하는 Adobe Flash Player 11.2.202.233 및 이전 버전 - 안드로이드 4.x 환경에서 동작하는 Adobe Flash Player 11.1.115.7 및 이전 버전 - 안드로이드 3.x, 2.x 환경에서 동작하는 Adobe Flash Player 11.1.111.8 및 이전 버전 □ 해결방안 o 윈도우, 매킨토시, 리눅스, 솔라리스 환경의 Adobe Fl.. 2012. 5. 7.
Adobe Flash Player 취약점 업데이트 개요 Adobe社는 Adobe Flash Player에 영향을 주는 정보유출 및 코드실행 취약점을 해결한 보안 업데이트를 발표[1] 낮은 버전의 Adobe Flash Player 사용으로 악성코드 감염 등의 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주의 및 최신버전 업데이트 권고 설명 Adobe社는 Adobe Flash Player의 2개 취약점을 해결한 보안 업데이트를 발표[1] - Matrix3D 기능에서 발생하는 코드실행 취약점 (CVE-2012-0768) - 정수 오류로 인한 정보유출 취약점 (CVE-2012-0769) 해당 시스템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 - 윈도우, 매킨토시, 리눅스, 솔라리스 환경에서 동작하는 Adobe Flash Player 11.1.102.62 및 이전 버전 - 안드로이드4.X 환.. 2012. 3. 8.
Adobe Flash Player 및 AIR 다중 취약점 업데이트 □ 개요 o Adobe社는 Adobe Flash Player 및 AIR에 영향을 주는 다중의 취약점을 해결한 보안 업데이트를 발표[1] o 낮은 버전의 Adobe Flash Player 및 AIR 사용으로 악성코드 감염 등의 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주의 및 최신버전 업데이트 권고 □ 설명 o Adobe社는 Adobe Flash Player 및 AIR의 12개 취약점을 해결한 보안 업데이트를 발표[1] - 메모리 손상으로 인한 코드실행 취약점을 해결 * (CVE-2011-2445) * (CVE-2011-2451) * (CVE-2011-2452) * (CVE-2011-2453) * (CVE-2011-2454) * (CVE-2011-2455) * (CVE-2011-2459) * (CVE-2011-.. 2011. 11. 15.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