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눅스122

728x90
LSMP 1.0.1 2010년 공개버전 (쉬운 리눅스 관리 프로그램) "(주)수퍼유저코리아 부설연구소 한국리눅스 연구소" 에서는 리눅스를 쉽고 편리하게 관리 할 수 있는 웹 및 TUI 기반의 리눅스 서버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습니다. 1.1.1. LSMP (Linux System Management Project) 소개 1.1.1.1. LSMP 개요 LSMP(Linux System Management Project)는 리눅스 시스템을 쉽고 편리하게 관리하기위한 프로그램이다. 인터넷 사용이 활발해 짐에 따라 인터넷 컨텐츠를 제공하는 웹서비스의 비중이 커졌으며 웹서버를 구동하는 OS중 반 이상이 리눅스를 사용하고 있다. 그리하여 리눅스를 사용하는 부류도 전문 리눅스 사용자에서 일반 사용자로 그 분포가 확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일반 사용자는 리눅스 시스템 구축 후 기본적.. 2011. 9. 1.
CentOS 6.0 i386 and x86_64 CD / DVD ISO 64비트 CentOS-6.0-x86_64-bin-DVD1.iso(이미지 미러 1) 07-Jul-2011 15:18 3.9GB CentOS-6.0-x86_64-bin-DVD2.iso(이미지 미러 2) 07-Jul-2011 15:18 1.1GB CentOS-6.0-x86_64-netinstall.iso(네트워크 설치) 07-Jul-2011 15:07 211MB 32비트 CentOS-6.0-i386-bin-DVD.iso(이미지 미러) 07-Jul-2011 14:52 4.4GB CentOS-6.0-i386-netinstall.iso(네트워크 설치) 07-Jul-2011 14:49 173MB CentOS Summary 배포본 CentOS 홈페이지 http://www.centos.org/ 메일링리스트 http://.. 2011. 7. 12.
TUX - "웹서버" 만나기 (옛날이야기) 리눅스의 행운의 마스코트인 Tux 펭귄에 대한 글을 기대했다면 실망했을 것이다. 그러나 기다려봐라: TUX 웹서버가 성능면에서 무엇을 할 수 있는지 읽어보면 만족할 것이다. 또, 무엇인가 해킹 혹은 가지고 놀 것을 발견하게 될지도 모른다. 이 글은 리눅스 커널에 포함된 웹서버 TUX에 대한 글이다. TUX이란 이름은 'Threaded linUX webserver'에서 나왔다. TUX은 Red Hat에서 만들었고, 커널 2.4에 기반한다. TUX은 커널에 포함된 HTTP 하위시스템이다. 짐작했듯이 TUX은 현재 GNU GPL로 발표되있다. 공개 소프트웨어 전통에 따라 특정 목적에 알맞게 자유로이 수정할 수 있다. TUX을 목적에 부합하게 만드는 방법중 하나는 TUX 모듈을 작성하는 것이다. TUX 모듈은 .. 2011. 7. 5.
리눅스 RAM Disk 사용하기 초기 RAM 디스크 사용하기 (initrd) http://wiki.kldp.org/Translations/Initrd-KLDP 1. RAM Disk 생성 (10M 크기로 가정) $ dd if=/dev/zero of=ramdisk bs=1k count=10240 => ramdisk 라는 파일이 생성됨 2. Format (ext2 type으로 format할 경우) $ mke2fs ramdisk 3. Copy Root Filesystem (rootfs의 내용을 ramdisk 로 복사) $ mkdir mnt $ mount -t ext2 -o loop ramdisk mnt $ cp -rf rootfs mnt $ umount mnt 4. 압축 $ gzip -fv9 ramdisk => ramdisk.gz 생성되고 r.. 2011. 5. 13.
리눅스 계정관리 명령어 도움말 1. 사용자(User)에 대하여 (1) 개요 사용자에는 일반계정 사용자와 root계정사용자가 있다. 일반적으로 root계정은 시스템운영에 있 어서 모든 권한을 행사하므로 슈퍼유저(Super User)계정이라고 한다. 그러나, 꼭 root라는 계정만 슈퍼유저가 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유저도 슈퍼유저의 권한행사가 가능하다 (2) 시스템 계정 /etc/passwd 파일의 세번째필드가 UID값을 나타내는 데 그 값이 500번(일반적으로 100번이하)미만 의 계정들을 보면 daemon, mail, lp, nobody라는 계정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계정을 시스템 계정 이라고 한다. 시스템 계정이 존재하는 이유는 해당 서비스로 인한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이다. 예를 들면 games 이라는 것이 있다고 가정하자. ga.. 2011. 4. 28.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