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멀웨어10

“타깃화된 공격의 절반 이상이 금융사기 유발” 체크포인트 보안 설문조사 결과, ‘디도스·봇넷 공격’ 증가 [보안뉴스 김태형] 보안공격을 당한 기업들 중 65%가 금융사기를 목적으로 한 해커들에 의해 사업방해나 지적재산권, 영업 기밀과 같은 중요 정보유출 등의 피해를 겪은 것으로 조사됐다. 체크포인트가 발표한 ‘사이버범죄가 기업에 미치는 영향’에 따르면 기업들은 일주일 평균 66 차례의 새로운 보안 공격을 당하며 이 공격이 성공할 경우 10만 달러에서 30만 달러 상당의 피해가 발생한다고 밝혔다. 기업들에게 가장 큰 위험을 안겨준 주요 공격 유형은 ‘디도스 공격’이 꼽혔다. 최근 사이버범죄자들은 멀웨어, 봇, 기타 여러 유형의 첨단공격을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경제적 이득이나 기업운영 방해에서부터 데이터 탈취나 정치적 목적 등 다양한 이유.. 2012. 5. 29.
Comodo Cleaning Essentials (CCE) Comodo Cleaning Essentials (CCE) is a set of computer security tools designed to help users identify and remove malware and unsafe processes from infected computers. Comodo Cleaning Essentials (CCE) is a set of powerful security tools designed to help users identify and remove malware and unsafe processes from Windows computers. Designed as a portable application, the software requires no instal.. 2011. 10. 25.
Another Android Malware Utilizing a Root Exploit Another Android malware utilizing the root exploit "Rage Against The Cage" has been found. We were able to find a sample ourselves and we now detect it as Trojan:Android/DroidKungFu.A. This new malware was embedded on a trojanized application that may require a root access in order to conceal itself. The infection occurs in two parts: Infection: Part 1 The first part is the installation of a tro.. 2011. 6. 9.
[멀웨어] Ahnsoft ? - ahnsbsb.exe, ahnfgss0.dll, ahnfgss1.dll, ahnxsds0.dll, ahnxsds1.dll 국내 온라인 게임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한 악성코드가 안철수 연구소 모듈처럼 위장하여 사용하고 있는 것이 지속적으로 발견되고 있다. 보통 다음과 같은 파일명을 사용한다. ahnsbsb.exe ahnfgss0.dll ahnfgss1.dll ahnxsds0.dll ahnxsds1.dll 이 악성코드는 위장된 가짜 RAR 포맷을 통해서 지속적으로 변종을 감염시키고 있다. 또한 감염되면 레지스트리에 ahnsoft 라는 이름으로 자신을 등록한다. BHO(Browser Helper Objects)에는 ahnxsds0.dll 파일이 등록되어 작동된다. 해당 파일들은 다음과 같은 온라인 게임 계정 탈취를 시도한다. 엄청나다... 십이지천 미르의 전설 던전 앤 파이터 메이플 스토리 바람의 나라 대항해 시대 마비노기 라그나.. 2010. 6. 6.
특정 악성코드만 찾아서 제거해주는 Norman Malware Cleaner 멀웨어[ malware ] 사용자의 의사와 이익에 반해 시스템을 파괴하거나 정보를 유출하는 등 악의적 활동을 수행하도록 의도적으로 제작된 소프트웨어로, malicious software(악의적인 소프트웨어)의 약자이다. 보통 '악성코드'로 번역된다. 자기 복제와 파일 감염이 특징인 바이러스를 포함하는 더 넓은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른바 비(非)바이러스 악성코드(non-viral malware)라고 불리는 악성코드들 중에는 바이러스 못지않은 파괴력과 위험성을 가진 것들도 많다. 트로이 목마, 키보드 입력 유출 프로그램 등이 비바이러스 악성 코드이다. 또 원격관리 프로그램과 각종 스파이웨어 등을 꼽을 수 있다. 이들은 아직까지는 일반에게 대량 유포되거나 큰 피해를 야기했다는 보고는 없지만 대형사고의 잠.. 2009. 2. 23.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