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령어13 728x90 find + xargs + ls 명령어 몇가지 활용 작성자 : 김칠봉 작성일 : 2001.03.12 목차 1. 가장 일반적인 find 명령어 2. find 명령어 일반적인 옵션 2-1. 사용법 개요 2-2. 일반적으로 표현식 옵션 구분 3-3. 자주 사용되는 표현식 옵션 3-4. path(find 명령어 다음의 path) 3-5. 표현식-연산자 3. 예제 3-1. 다른 명령어와 결합형태(ls,xargs) 3-2. 퍼미션 관련 예제 3-3. 유저와 관련된 예제 3-4. 팁 - 최근 하루(1) 동안(-)에 변경(change)된 파일을 찾을려면(-ctime)? - 오래된 파일을 찾을려면(30일 이상 수정(modify))되지 않은)? - 최근 30일(30) 안에(-) 접근(access)하지 않은 파일과 디렉토리를 리스트로 만들려면(-atime)? - 자신의 홈디.. 2010. 1. 6. 파일을 작은 조각으로 분할(split), 주어진 argument에 의한 파일 분할(csplit) 1) 파일분할 split 명령어의 문장 형식은 다음과 같다. % split [-n] [-number] [infile [outfile]] options -n 화일을 n라인씩 분할하며 이 옵션을 생략하면 1000라인씩 분할 위의 문장은 infile을 읽어서 number 수 만큼씩 라인을 분리하며(기본값은 1000라인) outfile 이름에 aa문자를 첨부하고 계속 이어서 ab, ac, ......와 같은 파일 이름을 첨부하여 여러 개의 파일로 분할된다. 파일을 분할할 때 출력 파일 이름을 지정하지 않으면 출력 파일의 이름을 'x' 문자와 계속해 서 두 문자를 사용하여 만들어진다. 처음 출력 파일 이름은 'xaa'이고 두 번째는 'xab'이고, 세 번째부터는 'xac'.....'xaz'이고 다음은 'xba'... 2009. 1. 2. Sed(streamlined editor) 명령행 편집 기능 Sed(streamlined editor) ㅇ 제작 : 리눅스포털(www.superuser.co.kr) 수퍼유저코리아 서버팀 ㅇ SULINUX 홈페이지 : www.sulinux.net ㅇ 리눅스포털 홈페이지 : www.superuser.co.kr Sed(streamlined editor) sed는 대화형 기능이 없는 편집기이다. 명령행에서 직접 편집 명령어와 파일을 지정하여 작업한 후 결과를 화면으로 확인한다. sed 편집기는 원본을 손상하지 않는다. 리다이렉션을 이용하여 편집 결과를 파일로 저장하여 확인할 수 있다. 1. 주소 지정 주소 지정이란 편집하고자 하는 행을 선택하는 것을 말한다. 이 주소는 숫자나 정규표현식 또는 둘의 조합으로 표현한다. 주소를 지정하지 않은 경우 입력 파일 전체 행에 대하여.. 2009. 1. 2. 이전 1 2 3 다음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