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패치43 728x90 국내 공개 웹게시판(익스프레스엔진) XSS 취약점 보안 업데이트 개요 국내 PHP기반의 공개 웹 게시판인 익스프레스엔진에서 XSS 취약점이 발견됨 [1] 취약한 버전을 사용하고 있을 경우, 악의적인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관리자 권한탈취, 피싱사이트 유도, 악성코드 경유지/유포지 사이트 유도 등의 피해를 입을 수 있으므로 웹 관리자의 적극적인 조치 필요 해당 시스템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1] - 익스프레스 엔진1.5.1.8(1.4.5.10포함) 및 이전 버전 해결방안 기존 익스프레스 엔진 사용자는 업데이트가 적용된 상위 버전으로 업그레이드 [2] ※ 패치 작업 이전에 반드시 Database 및 원본 소스코드파일은 백업 필요 익스프레스 엔진을 새로 설치하는 이용자 - 반드시 보안패치가 적용된 최신버전(1.5.1.10)을 설치 용어 정리 PHP : 동적인 웹사이트를 구현을 .. 2012. 3. 2. MIDI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 이용한 악성코드 유포중! MS 보안 패치 적용과 함께 최신 버전으로 백신 업데이트 해야 [보안뉴스 호애진] MIDI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CVE-2012-0003)을 이용한 악성코드가 유포되고 있어 사용자의 주의가 요구된다. MIDI(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는 컴퓨터로 음악을 들을 때 많이 사용되는 파일 포맷으로, 공격자는 이 MIDI 파일을 악의적으로 조작한다. MIDI의 노트 넘버(Note number)의 경우 음계의 음이름과 음역번호에 대한 데이터 값으로 0에서 127까지 지정해야 하지만 공격자는 노트 넘버가 127을 넘도록 조작하는 것이다. 이에 사용자가 해당 파일을 열어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 재생 시 공격자는 영향을 받는 시스템을 완전히 제어할 수 있다. 윈도우가 미디어 파.. 2012. 1. 31. 해시 테이블 구현 취약점 관련 보안 업데이트 □ 개요 o 해시 테이블 구현 오류로 인해 해당 기능을 사용하는 다양한 응용프로그램 및 서비스를 대상으로, 장애를 유발시킬 수 있는 취약점이 발견됨 o 공격자는 해당 취약점에 영향 받는 시스템에 특수하게 조작된 요청을 전송 할 경우, 서비스 거부 상태를 유발시킬 수 있음 □ 해당 시스템 o 영향 받는 시스템 - .NET Framework MS11-100 보안패치 이전 버전 - PHP 5.3.8, 5.4.0RC3 및 이전버전 - Apache Tomcat 5.534, 6.0.34, 7.0.22 및 이전버전 □ 해결방안 o 취약한 .NET Framework 버전 사용자 - 최신 윈도우 보안패치를 적용하여 MS11-100 업데이트 수행 [1] o 취약한 PHP 버전 사용자 - PHP 5.3.9, 5.4.0RC4.. 2012. 1. 3. 2011년 12월 MS 정기 보안업데이트 [MS11-087] Kernel-Mode Drivers 에서 발생하는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코드 실행 문제 □ 영향 o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에 대해 완전한 권한 획득 □ 설명 o 특수하게 제작된 TrueType 글꼴파일이 포함된 문서나 웹페이지 등을 열람할 경우, 원격코드가 실행될 수 있는 취약점이 존재 o 관련취약점 : - TrueType Font Parsing Vulnerability - (CVE-2011-3402) o 영향 : 원격코드실행 o 중요도 : 긴급 □ 해당시스템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 - Windows XP 서비스 팩3 - Windows XP Professional 64-bit 서비스 팩2 - Windows Server 2003 서비스 팩2 - Windows Server 2003 6.. 2011. 12. 14. 구글 안드로이드폰, 정보유출 취약점 공격 코드 주의! 구글 안드로이드 진저브레드 2.3.3 버전 이하의 모든 스마트폰에서 이용자의 정보를 유출시킬 수 있는 취약점에 대한 공격 코드가 공개돼 주의가 요구된다. 스마트 플랫폼 보안 전문 업체인 아이넷캅에서는 지난달 28일 해외 보안 포럼을 통해 공개된 ‘Google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콘텐츠 프로바이더 URI를 통한 파일 유출 취약점’을 분석하여 그 위험성을 확인했다. 해당 취약점은 이미 지난해인 2010년 11월 18일 최초로 발견된 취약점으로써 1년이 지난 시점에 실제 취약점을 공격하는 코드가 외부에 공개된 것이다. 공격자가 이번 취약점을 악용하여 SMS 스팸 문자나 모바일 메신저 링크, QR 코드 등을 통해 특수하게 조작된 웹 페이지를 사용자가 열어보도록 유도할 경우 정보를 유출하는 공격 스크립트가 실행되.. 2011. 12. 6.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