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암호화41

728x90
NTP 다중 취약점 보안 업데이트 □ 개요NTP(Network Time Protocol)에서 발생한 원격코드실행 등 총 4개의 취약점을 보완한 보안 업데이트를 발표[1]공격자는 취약점에 영향 받는 시스템에 악의적인 명령어 실행 등의 피해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해결방안에 따라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 권고 □ 설명ntp.conf파일에 인증키를 정의하지 않았을 때 취약한 기본 키를 생성하는 취약점(CVE-2014-9293)암호화에 취약한 난수를 사용하는 취약점(CVE-2014-9294) 3개 함수(crypto_recv, ctl_putdata, configure)에서 발생하는 스택오버플로우 취약점(CVE-2014-9295)특정 에러 발생 시 프로세스가 중지하지 않는 취약점(CVE-2014-9296) □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NTP 4.2.8 이전.. 2014. 12. 22.
방통위, 정보통신망법 시행령 개정안 마련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 일부 개정안개인정보 보관기간 3년→1년으로 단축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4111302100151104001정보통신망법 시행령 개정…본인확인 조항 ‘삭제’http://www.media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45408개인정보 누출 피해 배상.. 10년 안에 청구 가능http://www.dy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33412개인정보 누출 기업 과징금 3배로 상향http://www.metroseoul.co.kr/news/newsview?newscd=2014111200319① 개인정보 취급방침의 전자적 표.. 2014. 11. 13.
‘푸들’ 취약점으로 본 웹 암호화 보안 위험성 TLS 암호화기술, SSL과 하위 호환돼 푸들 공격 위험성 상존 SSL 3.0 기술을 서버·브라우저에서 비활성화, 하위 호환 차단해야 http://www.boannews.com/media/view.asp?idx=43838&kind=4 ▲ ProxySGs의 기본 설정은 클라이언트에서 SSLv3 커넥션을 차단하도록 되어 있으며, SSL 구성 메뉴에서 관련 정책을 설정할 수 있다. 구글 소속 연구원들이 SSL 3.0 웹 암호화 기술의 취약점을 발견해 ‘푸들’(Padding Oracle On Downloaded Legacy Encryption, POODLE)이라 이름 짓고 보안관계자들에게 주의를 당부했다. SSL 3.0은 만들어진 지 18년이 다 된 기술로, 대부분의 브라우저와 웹사이트들이 사용하고 있다. 그러.. 2014. 11. 3.
SSL 3.0 프로토콜 취약점 주의 개요SSL 3.0의 CBC 모드를 사용할 경우 중간자 공격(MITM)을 통해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있는 취약점(CVE-2014-3566)이 발견됨 [1,2]SSL 3.0은 1996년도에 공개된 버전으로 일부에서 하위 호환성을 위해 제공하고 있으나 보안이 취약하여 사용하지 않는 것을 권고 [1,2] 해당 시스템영향 받는 제품 및 버전SSL 3.0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 및 시스템 해결 방안해당 취약점에 영향 받는 버전 사용자SSL 3.0을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 및 시스템의 설정에서 SSL 3.0 지원 비활성화SSL 3.0을 지원해야하는 환경의 경우 TLS_FALLBACK_SCSV 프로토콜 확장기능을 사용하여 공격 예방(POODLE 공격) 용어 설명SSL(Secure Socket Layer.. 2014. 10. 22.
OpenSSL 다중 취약점 보안업데이트 개요취약한 OpenSSL 버전을 사용하는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에서 공격자가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있는 취약점, 서비스 거부 취약점, 임의코드 실행 취약점 등 6개의 취약점을 보완한 보안업데이트를 발표함[1] 설명조작된 핸드셰이크 전송을 통한 중간자(MITM) 공격으로 전송데이터를 복호화하고 서버/클라이언트 간 전송 데이터의 조작이 가능한 취약점 (CVE-2014-0224)비정상적인 DTLS 핸드셰이크를 OpenSSL DTLS 클라이언트에 전송하여 서비스 거부 공격이 가능한 취약점 (CVE-2014-0221)비정상적인 DTLS 프래그먼트를 OpenSSL DTLS 클라이언트 또는 서버에 전송하여 임의코드 실행이 가능한 취약점 (CVE-2014-0195)do_ssl3_write 함수의 결함으로 인해.. 2014. 6. 9.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