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446 728x90 Oracle Java JRE 신규 취약점 주의 □ 개요 o 오라클社의 Java JRE에서 원격코드 실행이 가능한 취약점이 발견됨[1] o 공격자는 웹 게시, 스팸 메일, 메신저의 링크 등을 통해 특수하게 조작된 Java애플릿을 로드하는 HTML파일을 사용자가 열어보도록 유도하여 악성코드 유포 가능 o 해당 취약점을 악용한 공격 코드가 유포되고 있어, 사용자 주의가 특히 요구됨 □ 해당 시스템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 - Oracle JRE 1.7 Update 6 ※ 타 버전에서도 동일한 취약점이 발생할 수 있음 □ 권장방안 o 취약점에 의한 피해를 줄이기 위하여 사용자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준수해야함 - 신뢰할 수 없는 웹사이트 방문 및 첨부파일을 열어보지 않음 - 사용하고 있는 백신프로그램의 최신 업데이트를 유지하고, 실시간 감시기능을 활성화 □ .. 2012. 8. 30. Adobe Flash Player 취약점 보안 업데이트 개요Adobe社는 Adobe Flash Player에 발생하는 취약점을 해결한 보안 업데이트를 발표[1]공격자는 취약점을 이용하여 시스템을 멈추거나 시스템의 제어권한을 획득할 수 있음해당 시스템영향 받는 소프트웨어 - Adobe Flash Player가 설치된 모든 플랫폼해결방안윈도우, 매킨토시 환경의 Adobe Flash Player 11.3.300.271 및 이전버전 사용자 - Adobe Flash Player Download Center(http://get.adobe.com/kr/flashplayer/)에 방문하여 Adobe Flash Player 11.4.402.265버전을 설치하거나 자동 업데이트를 이용하여 업그레이드리눅스 환경의 Adobe Flash Player 11.2.202.236 및 이전.. 2012. 8. 23. Microsoft CHAP v2 프로토콜 취약점 주의 □ 개요 o 마이크로소프트(이하 MS)는 MS-CHAP v2 프로토콜의 암호화 취약점을 악용한 공격코드가 공개되었음을 확인함 [1] o 공격자는 해당 취약점을 악용한 MITM 공격 등을 통하여 사용자 자격증명을 획득할 수 있음 ※ MS-CHAP v2 프로토콜 : Microsoft Challenge Handshake Authentication Protocol version 2의 약어로 PPTP(Point-to-Point Tunneling Protocol) 기반 VPN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인증 방법□ 영향을 받는 환경 o PPTP 기반 VPN의 인증방법으로 MS-CHAP v2만을 사용하는 경우 해당 취약점에 영향을 받음□ 권장 해결방안 o MS는 PPTP 기반 VPN 인증으로 MS-CHAP v2 대신 PE.. 2012. 8. 21. 2012년 8월 MS 정기 보안업데이트 [MS12-052] Internet Explorer 누적 보안업데이트 □ 영향 o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에 대해 완전한 권한 획득 □ 설명 o 사용자가 Internet Explorer를 사용하여 특수하게 조작된 웹 페이지를 열람할 경우, 원격코드가 실행될 수 있는 취약점이 존재 o 관련취약점 : - Layout Memory Corruption Vulnerability - CVE-2012-1526 - Asynchronous NULL Object Access Remote Code Execution Vulnerability - CVE-2012-2521 - Virtual Function Table Corruption Remote Code Execution Vulnerability - CVE-2012-2522.. 2012. 8. 16. 알마인드 DLL하이재킹 취약점 보안 업데이트 □ 개요 o 이스트소프트社에서 개발한 ‘알마인드’에서 DLL하이재킹 취약점이 발견됨 o 사용자가 특수하게 조작된 DLL파일과 동일한 디렉토리 경로에 존재하는 정상 파일을 알마인드 프로그램을 통하여 열람할 경우, 원격코드가 실행될 수 있는 취약점이 존재 o 낮은 버전의 알마인드 사용자는 악성코드 감염에 취약할 수 있으므로 해결방안에 따라 보안업데이트 권고 □ 해당 시스템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 - 알마인드 1.21.2.58 및 이전버전 □ 해결방안 o 취약한 알마인드 소프트웨어 사용자 - 알툴즈 홈페이지를 방문하여 알마인드 최신버전을 재설치 하거나, 자동업데이트를 통해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 * 알마인드 1.23.2.5 및 이후 버전 □ 문의사항 o 한국인터넷진흥원 인터넷침해대응센터: 국번없이 118 [참.. 2012. 8. 1. 이전 1 ··· 45 46 47 48 49 50 51 ··· 90 다음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