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증서14

728x90
각종 인증서 기본이 되는 SHA-1에 충돌 공격 비상 이론상 취약점 항상 지적당해온 SHA-1의 위기, 현실화 예전에 발표되고 인정받은 이론이라도 다시 살펴보아야http://www.boannews.com/media/view.asp?idx=48181 아주 오래 전부터 SHA-1의 불완전함은 보안 전문가들이 지적해온 바 있다. 그들이 지적한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SHA-1은 해시 알고리즘의 일종이며, 해시 알고리즘은 긴 메시지를 대표하는 하나의 짧은 값을 생성하는 암호화 방식이다. 그 짧은 값을 보통 해시값(hash value)이라고 부른다. 긴 메시지의 대표 이미지 혹은 썸네일 이미지라고 이해하면 된다. 2) 해시 알고리즘의 특성은 두 가지다. 하나는 해시값만 가지고 최초의 입력 값 즉, 데이터를 알아내기가 불가능하다는 것이고 또 다른 하나는 .. 2015. 10. 13.
OpenSSL 취약점 보안업데이트 개요OpenSSL에서는 인증서 검증을 우회할 수 있는 취약점을 보완한 보안업데이트를 발표[1] 설명신뢰할 수 없는 인증서를 유효한 인증서로 사용할 수 있는 취약점(CVE-2015-1793) 해당 시스템영향 받는 제품 및 버전 - OpenSSL 1.0.2b - OpenSSL 1.0.2c - OpenSSL 1.0.1n - OpenSSL 1.0.1o 해결 방안해당 취약점에 영향 받는 버전의 사용자는 아래 버전으로 업데이트[2] - OpenSSL 1.0.2b/1.0.2c 사용자 : 1.0.2d로 업데이트 - OpenSSL 1.0.1n/1.0.1o 사용자 : 1.0.1p로 업데이트 기타 문의사항한국인터넷진흥원 인터넷침해대응센터 : 국번없이 118 [참고사이트]https://www.openssl.org/news/s.. 2015. 7. 10.
이메일 인증을 통한 SSL 인증서 발급 주의 개요SSL 인증서 발급 기관은 인증서 발급을 위해 ‘이메일 인증’을 지원인증에 이용되는 이메일 주소가 공격자 또는 제3자에 의해 사용이 가능할 경우, SSL 인증서 발급을 통해 HTTPS 통신 데이터의 변조 등이 가능[1] 설명SSL 인증서 발급 기관은 이메일 인증을 사용할 수 있는 관리자용 이메일 계정을 특정 계정(admin@yourdomain.com 등)으로 제한하여 인증을 제공인증서 발급 기관에서 허용한 관리자용 이메일 주소를 공격자 또는 제3자가 사용이 가능한 경우, 해당 이메일을 통해 유효한 SSL 인증서를 발급받아 사용자 모르게 HTTPS 통신 내용을 변조하거나 도청 해결 방안이메일 계정을 생성하는 관리자는 SSL 인증서 발급 기관이 허용한 특정 이메일 계정의 생성을 제한- 일반 사용자에 대해.. 2015. 3. 30.
신규 애플 iOS 취약점 주의 개요SMS 등을 통해 알 수 없는 링크를 클릭할 경우 사용자의 iOS 디바이스에 악성앱이 설치 될 수 있는 취약점이 발견됨 [1,2]공식 애플 앱스토어 이외의 신뢰할 수 없는 곳으로부터 악성앱이 설치될 수 있으므로 주의를 권고 [1,2] 내용 정상 iOS 앱과 동일한 번들 ID를 가지고 있는 악성앱을 설치할 경우, 앱의 인증서를 추가적으로 검증하지 않아 동일한 앱으로 판단하여 정상앱이 교체가 되는 취약점 해당 시스템영향을 받는 제품 iOS 7.1.1, 7.1.2, 8.0, 8.1, 그리고 8.1.1 beta를 실행하는 모든 iOS 디바이스 해결 방안해당 취약점에 영향 받는 버전 사용자웹페이지 열람 중에 팝업창에 뜨는 설치 버튼을 클릭하지 않음앱을 실행시킬 때 “신뢰할 수 없는 앱 개발자”라는 경고가 뜰 .. 2014. 11. 17.
DigiNotar Root CA 잘못된 인증서 발급으로 인한 피해 주의 □ 개요 o 네덜란드 최상위 인증기관(Root CA)중 하나인 ‘DigiNotar’에서, google.com에 대한 잘못된 SSL인증서가 발급됨 o 공격자는 발급된 사기 “Google.com” 도메인 디지털 인증서를 이용하여, 스푸핑, 피싱 등에 악용하고 있어 사용자 주의가 요구됨 □ 해당 시스템 o 영향 받는 환경 - 윈도우 XP, 2003 환경에서 동작하는 MS Internet Explorer 제품군 - 파이어폭스 브라우저 o 영향 받지 않는 환경 ※ 자동으로 문제가 발생한 인증서(DigiNotar Root CA)가 제거됨 - 윈도우 Vista, 7, Server2008, Server2008 R2 환경에서 동작하는 MS Internet Explorer제품군 - 구글 크롬 브라우저 □ 임시 조치방안 o.. 2011. 8. 31.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