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제로데이19

728x90
신규 취약점 신고 포상제 운영 안내 방송통신위원회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은 해킹사고에 악용될 수 있는 취약점을 사전에 조치하고 관련 전문가의 취약점 발굴을 활성화하기 위해 신규 취약점 신고 포상제를 운영합니다. • 참가대상 : 국내외 거주하는 한국인 • 접수기간 : 10월 8일 이후 상시 접수 • 신고대상 : 미발표된 신규 보안 취약점으로 소프트웨어 및 웹 솔루션에 대한 취약점 • 제출 방법 : 인터넷침해대응센터 홈페이지(http://www.krcert.or.kr)의 취약점 신고 코너에서 신고 양식을 다운받아 작성하여 제출 [바로가기] ※ 신고양식을 이용하지 않는 기존 방법으로 신고 가능하나, 이 경우 포상금 지급 대상에서 제외됨 • 접수 진행상황 통지 : 취약점 신고 접수 이후 신고자에게 문자메세지와 이메일로 진행상황.. 2012. 10. 8.
IE 제로데이 취약점 발견! 이탈리아 쇼핑몰 통해 악성파일 유포 정황 보안 패치 미발표 상태, 사용자 각별한 주의 필요!패치 없는 제로데이 취약점, 현실 위협으로 떠오르다지난 9월 14일, 이탈리아의 한 겨울용품 쇼핑몰 웹사이트에서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의 인터넷 익스플로러(IE) 브라우저의 제로데이(Zero-Day) 취약점을 악용한 악성파일이 유포된 사실이 확인되었습니다. 해당 공격은 아직 보안 패치가 제공되지 않은 상태에서 발생했으며, 짧은 시간 내 급속히 확산될 수 있는 위험한 보안 위협입니다.발견 경로: 이탈리아 겨울용품 사이트가 최초 출발지이번 제로데이 취약점은 이탈리아의 특정 겨울용품 판매 웹사이트에서 처음 발견되었습니다. 공격자는 웹사이트 내 특정 경로에 악성파일을 등록했고, 사이트 방문자들이 이 악성 스크립트를 통해 감염될 수 있도록 조작했습니다... 2012. 9. 18.
Adobe Flash Player 제로데이 취약점 주의 □ 개요 o Adobe社의 Flash Player에 영향을 주는 제로데이 취약점이 발견됨[1] o 해당 취약점은 웹브라우저의 샌드박스 및 OS의 보안 기능(DEP, ASLR 등)을 우회할 수 있음 o 공격자는 특수하게 조작된 Flash파일이 포함된 웹페이지, 스팸 메일 등을 사용자가 열어보도록 유도하여 악성코드 유포 가능 o Adobe Flash Player 최신 버전에서도 해당 취약점이 존재하므로, 신뢰할 수 없는 Flash파일을 열어보지 않는 등의 사용자 주의가 요구됨 □ 해당 시스템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 - Internet Explorer, Firefox, 크롬 브라우저에서 동작하는 Adobe Flash Player 11.1.102.55 버전 ※ 다른 버전도 해당 취약점에 영향을 받을 수 있음 .. 2011. 12. 13.
MS MHTML 정보유출 취약점 주의 [긴급]모든 윈도우에서 XSS공격 가능한 제로데이 주의보! - 정보 유출뿐만 아니라 임의 스크립트 실행으로 이어질 수 있어 - 조치 : http://go.microsoft.com/?linkid=9760419 다운 후 설치 - 원복 : http://go.microsoft.com/?linkid=9760420 다운 후 설치 □ 개요 o Microsoft社의(이하 MS) 윈도우에서 MHTML을 이용하여 정보를 유출 시킬 수 있는 취약점이 발견됨[1] o 공격자는 웹 페이지 은닉, 스팸 메일, 메신저의 링크 등을 통해 특수하게 조작된 웹페이지를 사용자가 열어보도록 유도하여 악성 스크립트 실행과 정보유출 가능 ※ XSS(Cross-Site Script)공격과 유사한 효과를 가짐 o 해당 취약점의 개념증명코드[2]가.. 2011. 2. 1.
MS 윈도우 쉘 .lnk(바로가기) 취약점 주의 □ 개요 o 마이크로소프트사(MS)는 윈도우 쉘(Shell)의 .lnk 취약점[1,2]을 발표 o 윈도우 쉘이 특수하게 조작된 바로가기(lnk) 파일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원격코드실행 취약점이 존재함 o 현재 해당 취약점을 이용한 공격이 이루어지고 있고 MS 윈도우의 국내 이용자 비율이 높음으로 이용자 주의 필요 □ 설명 o MS 윈도우의 쉘(Shell) 원격코드실행 취약점 발표 - 윈도우 이용자가 특수하게 처리된 윈도우 바로가기 파일(lnk)을 클릭할 경우 공격자가 의도한 악성코드에 감염될 수 있음 - 해당 취약점은 USB 등의 이동식 저장매체에서도 동작하기 때문에 이동식 저장매체를 통한 전파에 유의 - 현재 MS에서 지원하는 공식 보안 업데이트는 발표되지 않음 □ 영향을 받는 시스템 o 모든 윈도우 버.. 2010. 7. 19.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