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커널15

728x90
Rust 단일 코드베이스로 GPU/CPU 크로스플랫폼 컴퓨팅 구현하기 목적: 한 벌의 Rust 커널 코드를 유지하면서 다양한 GPU/CPU 백엔드에서 동일하게 실행하는 방법을, 아키텍처→예제 코드→빌드/운영→성능/보안까지 실무적으로 정리합니다.대상: 그래픽/컴퓨트 혼합 워크로드, 크로스플랫폼 앱/엔진, 사내 라이브러리 표준화, GPU 도입 PoC 담당자.1) 큰그림 한 장 — 무엇을 만들 것인가커널(crate) = no_std RustRust 코드를 SPIR-V(Vulkan/Metal/DX12/WebGPU) 또는 PTX/NVVM(CUDA)로 빌드타입/레이아웃을 명시(예: #[repr(C)])해 호스트와 데이터 호환호스트(crate) = 런타임 실행기멀티백엔드용: wgpu (Vulkan/Metal/DX12/WebGPU 자동 선택)NVIDIA 전용: rustacuda/CUDA.. 2025. 8. 22.
리눅스 커널 로컬 권한 상승 취약점 □ 개요 o 리눅스 커널의 DCCP 프로토콜에서 use-after-free을 악용해 로컬 사용자가 루트 권한을 얻거나 서비스 거부를 유발하는 취약점 (CVE-2017-6074)발견[1] o 해당 취약점에 영향을 받는 버전 사용자는 인가되지 않은 사용자가 루트 권한을 획득할 수 있으므로 해결방안에 따라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 권고 □ 해당 시스템 o 영향을 받는 소프트웨어 - Linux Kernel 4.9.11을 포함한 이전 버전을 사용하는 시스템 □ 해결 방안 o 해당 취약점에 해당되는 커널 버전 사용자는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수행 [2] o 보안 업데이트가 공개된 운영체제를 운영하고 있을 경우, 참고 사이트의 내용을 참조하여 보안 조치 또는 업데이트 수행 - Debian [3] - Ubuntu [4] .. 2017. 3. 9.
리눅스 커널 로컬 권한 상승 취약점 □ 개요 o 리눅스 커널의 af_packet에서 Race condition을 악용해 권한이 없는 로컬 사용자가 루트 권한을 얻도록 허용하는 취약점(CVE-2016-8655)발견[1] o 해당 취약점에 영향을 받는 버전 사용자는 인가되지 않은 사용자가 루트 권한을 획득할 수 있으므로 해결방안에 따라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 권고 □ 해당 시스템 o 영향을 받는 소프트웨어 - Linux Kernel 4.8.12 이전 버전을 사용하는 시스템 □ 해결 방안 o 해당 취약점에 해당되는 커널 버전 사용자는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수행 [2] o 보안 업데이트가 공개된 운영체제를 운영하고 있을 경우, 참고 사이트의 내용을 참조하여 보안 업데이트 수행 - Debian [3] - Ubuntu [4] - Red Hat [5].. 2016. 12. 12.
MS “윈도 8월 업데이트 삭제하세요“ '죽음의 블루스크린' 에러 발생 후 삭제 권장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40818075732&type=xml 지난 8월12일 배포된 윈도 업데이트에는 몇가지 보안 패치가 포함됐다. 폰트, 윈도 커널, 윈도운영체제에 각각 취약점에 관련된 것들이다. 하지만 배포 후 몇 시간 만에 일부 시스템에서 '0x50 중지 에러'를 발생시킨 것으로 보고됐다. 대부분이 윈도7에 64비트 버전을 사용하는 경우로 알려졌다. 업데이를 설치하고 재부팅하는 것까지 잘 작동하다가 PC를 끌 때 오류가 나타났다는 사용자들이 많았다. MS 측 대변인은 지디넷에 "최근 업데이트와 관련된 문제를 인지하고 있으며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출처 : zdnet 2014. 8. 18.
2013년 4월 MS 정기 보안업데이트 [MS13-028] Internet Explorer 에서 발생하는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코드 실행 문제 □ 영향 o 공격자가 영향 받는 시스템에 대해 완전한 권한 획득 □ 설명 o 사용자가 Internet Explorer를 이용하여 특수하게 제작된 웹페이지를 열람할 경우, 원격코드가 실행될 수 있는 취약점이 존재 o 관련취약점 : - Internet Explorer Use After Free Vulnerability (CVE-2013-1303), (CVE-2013-1304) o 영향 : 원격코드 실행 o 중요도 : 긴급 □ 해당시스템 o 영향 받는 소프트웨어운영체제구성요소IE6IE7IE8IE9IE10Windows XP 서비스 팩 3○○○ Windows XP x64 서비스 팩 2○○○ Windows Serv.. 2013. 4. 10.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