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37 728x90 워크플로우 자동화 툴을 통한 취약점 점검 및 대응 자동화 수행 n8n은 워크플로우 자동화 툴로, 다양한 API, 데이터베이스, 그리고 시스템과 연동하여 복잡한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 서버 취약점 점검 결과를 분석하고 처리하는 것도 n8n을 활용하여 가능합니다. n8n을 사용하여 보안 취약점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본적인 접근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데이터 수집: n8n은 HTTP 요청, 데이터베이스 쿼리, 파일 읽기 등 다양한 방법으로 취약점 점검 결과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습니다.데이터 가공: 수집한 데이터에 대해 JavaScript 코드 노드를 사용하거나 내장된 데이터 변환 기능을 사용하여 필요한 가공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동일한 유형의 취약점을 통합하거나, 특정 조건에 따라 불필요한 항목을 제거하는 작업 등을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결과 분석 .. 2024. 6. 9. 자동화된 결정에 대한 정보주체의 권리 안내서 추진 배경목적: 인공지능(AI) 시스템을 통해 자동화된 결정 과정의 투명성을 높이고, 정보주체의 권리를 보호하여 개인의 존엄성과 가치를 구현하기 위해 도입되었습니다.필요성: 자동화된 결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정보 비대칭 문제를 해소하고, 정보주체의 자기결정권을 보장하려는 목적이 있습니다.자동화된 결정의 대상정의: 인공지능 기술을 포함한 완전히 자동화된 시스템으로 개인정보를 처리하여 이루어지는 결정.대상 여부 판단 기준인적 개입이 없는 완전히 자동화된 시스템에 의한 결정해당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실질적으로 처리하는 결정개인정보처리자가 정보주체의 권리 또는 의무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정보주체에 대한 최종적인 결정일 것자동화된 시스템에 의한 개인정보의 처리와 결정 사이의 실질적인 관련성정보주체의 권리거부권자동화된.. 2024. 6. 5. GPTs 시스템 보안강화 방법과 인스트럭션 유출방지 프롬프트 추가 방법 GPTs (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s)는 다양한 인공지능 응용 분야에서 사용되며, 특히 자연어 처리에서 뛰어난 성능을 발휘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시스템은 보안 위협에도 취약할 수 있으며, 특히 프롬프트 인젝션(Prompt Injection)과 같은 해킹 기법을 통해 취약점이 드러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GPTs 시스템의 보안을 강화하기 위한 방법과, 특히 인스트럭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프롬프트 추가 방법에 대한 조사를 요약해 보겠습니다. GPTs 보안 취약점 검사 방식 GPTs 시스템의 보안 취약점을 검사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방식 중 하나는 자동화된 보안 테스트 봇을 구현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봇은 GPTs 모델을 대상으로 다양한 해킹 기법을 시뮬레이션.. 2024. 4. 8. Generative AI 시스템 보호를 위한 도구 PyRIT 툴킷 MS 출시 Microsoft가 PyRIT(Python Risk Identification Tool)라는 새로운 오픈 소스 자동화 프레임워크를 출시했습니다. 이 도구는 생성 인공지능(AI) 시스템 내의 위험을 사전에 식별하기 위해 설계되었으며, 모든 조직이 최신 인공지능 발전을 책임 있게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PyRIT는 특히 큰 언어 모델(LLM) 엔드포인트의 강건성을 다양한 해로운 카테고리, 예를 들어 조작(예: 환각), 오용(예: 편견), 금지된 내용(예: 괴롭힘)에 대해 평가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또한, 맬웨어 생성에서 탈옥에 이르기까지 보안 해로움, 그리고 신원 도용과 같은 개인정보 해로움을 식별하는 데에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PyRIT는 다섯 가지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 2024. 3. 30. GoLang 멀웨어(Malware) 탐지 및 분석 대응 Go 언어로 만들어진 멀웨어(Malware)의 탐지와 대응은 복잡한 과제입니다. Go의 크로스 플랫폼 컴파일, 정적 바이너리 생성, 고유한 바이너리 특성, 그리고 탐지 우회 기술을 사용하는 멀웨어의 특성 때문에 보안 연구원과 멀웨어 분석가는 지속적으로 새로운 도전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멀웨어는 금융 정보 탈취, 데이터 유출, 랜섬웨어 공격 및 봇넷 활동과 같은 다양한 악의적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Go 언어 멀웨어의 특성 크로스 플랫폼 컴파일: 다양한 운영 체제를 대상으로 하는 멀웨어 생성을 용이하게 합니다. 정적 바이너리: 외부 의존성 없이 실행될 수 있는 단일 파일을 생성, 실행 환경에 덜 의존적입니다. 고유한 바이너리 특성: 전통적인 바이러스 탐지 시그니처나 행위 기반 분석에 어려움을.. 2024. 3. 25.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