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T28 728x90 폴더 와처를 사용하여 파일 생성, 변경, 삭제 등 모든 이벤트 트리거 방법 Home Assistant에서 폴더 워처(Folder Watcher)를 사용하여 파일 생성, 변경, 삭제 등 모든 이벤트를 트리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폴더 워처 컴포넌트를 사용하면 지정된 디렉토리의 파일 시스템 변경을 감지할 수 있습니다.폴더 워처 컴포넌트 설정configuration.yaml 파일에 폴더 워처를 추가합니다. 이 때, 감시할 폴더 경로를 지정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config/www 폴더를 감시하고자 한다면 다음과 같이 설정합니다.folder_watcher: - folder: /config/www patterns: - '*.*'이 설정은 모든 파일 변화를 감지하도록 합니다. 패턴을 조정하여 특정 파일 형식만 감시할 수도 있습니다.자동화 설정automation.. 2024. 6. 17. [Paloalto] ML기반 NGFW의 4가지 주요요소 Palo Alto Networks의 ML 기반 NGFW(Next-Generation Firewall)는 네트워크 보안에 혁신적인 접근을 제공합니다. 이 시스템은 네 가지 핵심 요소로 구성됩니다. 인라인 ML 기반 방어: 실시간으로 멀웨어를 탐지하고 차단합니다. 이를 통해 멀웨어 변종과 신종 위협에 대한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합니다. 대규모 클라우드를 활용한 지연 없는 시그니처: 클라우드 기반의 분석을 통해 신속하게 위협을 탐지하고 대응합니다. 이는 새로운 멀웨어와 진화하는 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해줍니다. IoT 및 기타 연결된 디바이스에 대한 ML 기반 가시성: IoT 디바이스의 확산에 대응하여, ML을 사용해 네트워크 내의 모든 IoT 및 OT 디바이스를 식별하고 분류합니다. 자동화된 지능적.. 2024. 2. 12. ESPHome 이용한 스마트홈 맞춤형 IoT 장치 제작 및 자동화 ESPHome은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로, 사용자가 ESP8266, ESP32 등의 마이크로컨트롤러를 이용해 자신만의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기기를 만들고 커스터마이즈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이 소프트웨어는 특히 DIY(Do It Yourself) 커뮤니티에서 인기가 높으며, Home Assistant와 같은 스마트 홈 플랫폼과의 통합을 통해 사용자가 집안의 다양한 기기를 자동화하고 제어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ESPHome의 기능과 작동 방식코드 작성 없는 설정: YAML 형식의 구성 파일을 사용하여 프로그래밍 지식이 없어도 기기를 쉽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와이파이 연결: ESP8266 또는 ESP32 기반의 기기들은 Wi-Fi를 통해 인터넷에 연결됩니다.다양한 센서 및 장치.. 2024. 2. 2. Zigbee2MQTT 구조를 이해하고 사용을 위한 설치 및 설정 방법 Zigbee2MQTT를 사용하기 위한 설치 및 사용 방법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단계별로 정리해봤습니다. 필요한 장비 ZZHA Zigbee 어댑터: 이것은 컴퓨터와 Zigbee 무선통신을 연결하는 장치입니다. USB, GPIO, WIFI 또는 이더넷을 통해 연결할 수 있습니다. CC2652 또는 CC1352로 시작하는 칩이 포함된 어댑터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Raspberry Pi 또는 다른 서버: Zigbee2MQTT를 실행할 컴퓨터나 라즈베리 파이입니다. MQTT 브로커(통신을 중계해주는 프로그램)가 필요하며, 대표적으로 Mosquitto를 사용합니다. Zigbee 장치: Zigbee2MQTT와 연결할 Zigbee 장치입니다. USB 케이블 (선택 사항): 네트워크 범위와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2024. 2. 1. 가정 홈IoT 장치(가전제품) 센서 정보 수집 및 시각화 가정에서 가전제품이나 온습도계와 같이 사용중인 다양한 IoT 센서로부터 정보를 자동으로 수집할 수 있는데, 이러한 센서와 통신하고 데이터를 수집하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해야 합니다. 이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단계를 따라야 합니다. 아래에는 IoT 센서 데이터 수집의 단계별 설명과 예시 코드를 제공합니다. 단계 1: IoT 센서와 통신하기 위한 하드웨어 설정 IoT 센서와 통신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를 설정합니다. 대부분의 IoT 센서는 통신을 위해 Wi-Fi, Bluetooth, Zigbee 등의 프로토콜을 사용하므로 이에 맞는 하드웨어 모듈을 연결하거나 내장된 모듈을 사용합니다. 단계 2: 통신 프로토콜 및 라이브러리 설정 센서와 통신하기 위해 사용할 통신 프로토콜을 선택하고 관련 라이브러리.. 2023. 10. 16. 이전 1 2 3 4 5 6 다음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