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oar12

728x90
SIEM & SOAR 사이버위협 공동대응 플랫폼, KISA 참여기업 파트너 모집 🔐 민간 사이버위협, 함께 대응할 파트너를 찾습니다!KISA 사이버위협 공동대응 플랫폼 참여기업 모집 안내 (SIEM & SOAR 기반)사이버 위협이 점점 고도화되고 실시간 대응의 중요성이 커지는 지금, 민간 서비스 환경에서도 함께 방어할 수 있는 협력체계가 필요합니다. 한국인터넷진흥원(KISA)는 SIEM & SOAR 기반의 실시간 공동대응 플랫폼을 함께 구축하고 운영할 참여기업을 모집합니다.다중이용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실시간 위협 탐지와 대응이 필요한 기업이라면 지금 바로 신청해보세요!📌 사업 개요사업명: 사이버위협 공동대응 플랫폼 구축을 위한 솔루션 도입접수 마감일: 2025년 7월 10일(목)까지제출처 및 문의: 이메일 lazly@kisa.or.kr: 문의전화 02-405-4736✅ 참여 대.. 2025. 6. 26.
실시간 보안 이벤트 모니터링 시스템 (SIEM) 아키텍처와 운영 전략 1. SIEM 개요 및 필요성1.1 SIEM의 정의SIEM(Security Information and Event Management)은 조직의 IT 인프라에서 발생하는 보안 이벤트를 실시간으로 수집, 분석, 대응하는 통합 보안 관제 시스템입니다.1.2 도입 배경증가하는 사이버 위협: 랜섬웨어, APT 공격, 제로데이 공격 등 고도화복잡한 IT 환경: 클라우드, 온프레미스, 하이브리드 환경의 통합 관리 필요규제 준수 요구: GDPR, 개인정보보호법, PCI-DSS 등 컴플라이언스 대응보안 인력 부족: 자동화를 통한 효율적인 보안 운영 필요2. 핵심 구성 요소2.1 데이터 수집 계층2.2 실시간 분석 엔진3. 핵심 기능 상세3.1 위협 탐지 메커니즘시그니처 기반 탐지알려진 공격 패턴 매칭: 정규식, 문자열.. 2025. 6. 8.
차세대 SOC와 보안 전략: SOAR와 EDR의 역할 및 최신 동향과 전망 현대 보안 환경의 도전과제와 문제점현대 기업들은 복잡하고 다양한 보안 위협에 직면하면서 차세대 SOC(Security Operation Center)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습니다.1. 구조적 도전과제하이브리드/멀티클라우드 환경 확산가트너 전망: 2030년까지 기술 인프라의 60%가 IT 조직의 직접 통제 밖에 놓일 것원격/모바일 근무 확산으로 기업 네트워크 외부 엔드포인트 보안 중요성 증대클라우드 전환으로 인한 공격 표면의 기하급수적 확장공격 기법의 고도화APT(Advanced Persistent Threat) 공격의 증가파일리스(Fileless) 공격 등 회피 기술을 포함한 정교한 공격 확산제로데이 취약점을 이용한 공격 증가2. 운영적 문제점보안 가시성 저하SIEM의 로그 통합만으로는 모든 위협 탐지 .. 2025. 5. 12.
공격표면 관리(ASM) 및 ASMS 구축과 운영 방안, MCP(Model Context Protocol) 기반 자동화 적용 공격표면 관리(ASM)란?공격표면 관리(ASM, Attack Surface Management)는 기업이 보유한 외부 및 내부 자산(IT 인프라, 웹 애플리케이션, API, 클라우드 리소스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보안 취약점을 자동으로 탐색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위협을 사전에 차단하는 보안 프로세스입니다. ASM은 기업의 디지털 자산을 지속적으로 감시하여 다음과 같은 주요 기능을 수행합니다.공개된 자산 탐색: 도메인, IP, 클라우드 인프라, 외부 시스템 등을 자동으로 스캔취약점 분석: 알려진 보안 취약점, 잘못된 구성(Misconfiguration), 공개된 크리덴셜 등을 식별리스크 평가 및 대응: 위험도가 높은 자산을 우선순위로 설정하고 보안 조치를 권장지속적인 모니터링: 새로운 취약점.. 2025. 3. 25.
API Gateway로 MCP와 연계한 양방향 생성형 AI 프롬프트 (AI Agent) 활용 Agentic AI(에이전틱 AI), Generative AI(생성형 AI), Model Context Protocol(MCP)는 모두 최신 AI 기술과 관련된 개념이지만, 각각의 목적과 특성이 다릅니다. 각 개념에 대한 기본 정의와 특성, 차이점, 활용 사례 등을 통해서 비교해 봅니다.1. Agentic AI (에이전틱 AI)기본 정의와 배경정보Agentic AI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자율적으로 계획을 세우고 능동적으로 행동하는 인공지능 시스템을 의미합니다.기존 AI는 입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정적인 결과를 도출하는 반면, Agentic AI는 목표 설정, 상황 인지, 의사 결정, 계획 실행, 결과 평가까지 스스로 수행 가능한 자율성이 강조된 형태입니다.주요 특성자율성 (Autonomy): 독립적으로.. 2025. 3. 24.
728x90
728x90